FN 베이비 브라우닝

FN Baby Browning
FN 베이비 브라우닝
Baby Browning.jpg
유형피스톨
원산지벨기에
서비스 이력
사용자프랑스 저항군, 미 공군
전쟁제2차 세계 대전
생산이력
디자이너디우도네 사이브
설계된1927
제조사
생산됨1931 – 현재
사양
미사275g(9.7온스)
길이104mm(4.1인치)
배럴 길이53.6mm(2.11인치)
22.352mm(0.8800인치)[1]
높이72mm(2.8인치)

카트리지.25 ACP(6.35x15 mm)
액션블로백 작동 반자동
입마개 속도230–500m/s(750–1,520ft/s)
공급 시스템6 라운드 밀봉된 바닥의 평평한 팔로워 매거진; 둥근 팔로워와 탈착 가능한 내부 및 외부 바닥 플레이트가 1984년에 통합되었다.
볼거리노치 및 블레이드 고정

1931년 파브리케 내셔널(FN) 베이비 브라우닝은 벨기에 태생의 디유도네 사이브가 0.25 ACP(6.35x15 mm)로 만든 소형 블로백 작동 반자동 권총이다. 권총은 6회전 매거진 용량이 특징이며 스트라이커로 발사되는 단발성 블로백 메커니즘이다. 수동 엄지손가락 작동식 안전장치는 측면 엄지손가락 압력으로 미끄럼틀을 체결할 때 미끄럼틀을 닫힌 위치에 고정시킨다.[2]

역사

FN은 미국의 무기 디자이너 존 브라우닝(John Browning)의 면허를 받아 제작한 혁명 모델 1905 포켓 권총이다. 이 권총에 사용된 FN이라는 이름에도 불구하고, 이 권총은 나중에 FN 1906, V.P. .25 (V.P.는 조끼 주머니를 나타냄), 그리고 가장 혼란스럽게 Baby로 판매되었다.

이 기간 동안 25 ACP 카트리지는 널리 보급되었다. ACP라는 용어는 "자동 콜트 피스톨"을 의미한다. 이 카트리지는 전세계에서 최초로 사용된 자동 권총 카트리지 중 하나이다. 놋쇠로 만든 반테 껍데기 케이싱으로 디자인했다. 포탄 케이싱의 테두리는 카트리지의 밑부분보다 약간 큰 원주를 가지고 있었고 그 바로 위에 추출기 홈이 잘려져 있었다. 셸 케이스는 이 작은 림에 헤드 스페이스가 적용되었지만, 이 디자인에서 림의 활용은 카트리지의 메카트리지를 복잡하게 만들었다. 왜냐하면, 여전히 매거진에 있는 동안, 하나의 카트리지의 림이 때때로 다음 카트리지의 추출기 홈("림 잠금"이라고도 함)에 걸려 있기 때문이다.[3]

1905년식 조끼 포켓 권총에는 그립 안전 메커니즘과 프레임 왼쪽에 있는 작은 안전 레버가 통합되어 있어 방아쇠가 잠겼다. 게다가 이 안전지렛대는 쉽게 분해할 수 있도록 권총 앞쪽에서 약 반인치 뒤쪽으로 미끄럼틀을 잠갔다.

디자인

무허가 복사본의 확산에 압력을 받은 FN은 1905년식 조끼 포켓 권총의 후속 제품에 대한 작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그것의 기본 디자인은 새로운 디자인의 출발점으로 사용되었다. FN의 디우도네 사이브 운영국장(나중에 브라우닝 하이파워 권총과 FN PAL 소총을 설계할 사람)은 1926-1927년에 새로운 버전을 개발했다.[4]

그의 디자인은 더 작고 가벼웠고 1905년 조끼 포켓 권총의 여러 가지 정교함과 개선점을 통합했다. 그립 안전을 없애고 프레임 왼쪽의 작은 안전 레버를 그립 플레이트 아래 방아쇠 쪽으로 뻗어서 오른손잡이 슈터의 엄지가 쉽게 맞물리고 풀 수 있도록 했다. 이 기능은 사용자가 권총을 쥔 손을 놓지 않고도 안전을 조작할 수 있게 했다. 프레임에는 슬라이드 끝까지 확장되는 전체 길이 방진 가드가 있으며, 방아쇠 뒤 부분은 사용자가 1905년 버전보다 더 큰 그립을 유지할 수 있도록 완화되었다. 새 디자인은 비슷한 빈티지 소재의 콜트 조끼 포켓에 활용되는 것과 유사한 자동차 안전장치도 도입해 잡지를 제거하면 권총이 발사되는 것을 막았다. 코킹 인디케이터도 통합되어 있으며, 점화 핀 맞은편에 있는 점화 핀 스프링에 부착되어 있다. 권총이 장전되면 프레임 뒤쪽의 핀 구멍을 통해 튀어나온다.

새로운 버전은 베이비(Baby)라는 이름으로 시판되었으며, 원래의 열경화 플라스틱 그립 플레이트 중 일부는 그립 플레이트 상단에 "FN"이라는 이니셜과 위로 올라간 초승달 아래 그립 플레이트 하단에 "베이비(Baby)"라는 단어를 둘 다로 성형하였다. 이 특별한 권총은 전세계적으로 베이비 브라우닝 권총으로 알려지게 되었고, 나일론 함침 검정 폴리머 그립 플레이트를 활용한 보다 최신(Circa 1960년 이상) 생산 런을 나타내는 "브라우닝" 마킹 그립 플레이트를 제외하고 상단 사진에 보이는 권총이다.[3]

생산이력

Baby Browning caliber 0.25 ACP/6.35 mm Browning. 1968년 날짜

유럽의 생산

FN은 1931년부터 1979년까지 Baby Browning을 제조하고 판매했지만, 미국에 대한 수출은 1953-1968년 사이에 이루어졌다. '르네상스'라고 새겨진 손 끌과 '경량' 버전 등 약 55만 대가 제작됐다. 라이트급은 6061 T6 알루미늄 프레임과 육각 크롬 도금(무전기 니켈) 슬라이드와 외부 디테일 부품을 활용했다. 특별 주문 니켈 도금 유닛과 위에서 언급한 버전을 제외하고 1931년 베이비 브라우닝스는 모두 화학적 핫 블루로 마감되었다. 1968년 미국에 대한 수출 중단은 1968년 총기 규제법에 의해 강제되었다. 이 법은 로버트 케네디가 아이버 존슨 제조 리볼버를 사용한 암살로 촉발되었다. 이 법률안은 당시 린든 존슨 대통령에 의해 법으로 제정되었다. 그것은 1931년 베이비 브라우닝이라는 특정 화기의 수입을 금지했지만, 이와 같은 무기의 국내 생산을 금지하지는 않았다. FN은 1979년 베이비 브라우닝의 생산을 MAB(Manufacturing d'armes de Bayonne)로 이전했다. 프랑스 바이욘에 본사를 둔 MAB는 1979년부터 파산 때문에 생산을 중단해야 했던 1983년까지 권총을 생산했다. 베이비 브라우닝의 생산은 그 당시 유럽에서 중단되었다.[3]

북미 생산 – FN 라이센스

1982년 FN과 북미 지역 대표 짐 스톤은 턴키 방식으로 베이브 브라우닝을 제조할 북미 지역 계약자를 확보하는 데 초점을 맞춘 논의를 시작했다. 1984년 캐나다 스위스 스크류 기계점인 정밀소형부품회사(PSP)가 FN과 권총 제조를 위한 기술 이전 및 생산 계약을 체결했다. 온타리오 주 오로라에 본사를 두고 버지니아 주 샬러츠빌에 자회사를 유지했다.

FN은 총 4만개의 권총에 대해 PSP에 명령을 내렸으며, 모두 브라우닝 로고로 오스트리아로 수출되어 앞으로 유통될 것이다. PSP의 소유주 조지프 메이가 스르는 2차 세계대전의 헝가리 저항운동 당시부터 FN과 오랜 기간 협력 관계를 맺고 있었다. PSP는 FN을 위한 보조 기관총뿐만 아니라 화기 부품도 생산했다. 1985년, 캐나다 연방 당국은 회사의 캐나다 측에서 권총용 슬라이드 및 세부 부품(잡지 제외)을 계속 제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PSP에게 베이비 브라우닝 권총 프레임(화기의 법적 정의에 따른 필수 부품)의 생산을 미국 버지니아 공장으로 이전하도록 강요했다. 이탈리아의 멕가르와 계약했다. PSP의 미국 자회사가 오스트리아 중개인을 통해 권총을 FN에 양도하기 위해 국무부에 연방 수출허가를 신청했을 때 허가가 거부되었다. 당시 오스트리아는 중동 지역의 군비 환적지점으로 알려졌으며, 아마도 국무부는 많은 수의 베이비 브라우닝 권총이 그 지역에서 끝나는 것을 원치 않았을 것이다.

국무부의 일부에 대한 이러한 조치는 PSP를 부실화시켰다. 이 회사의 부실은 결국 1991년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 본부를 둔 상인 은행가인 레논 크리스탈이 조직한 미국/캐나다에 본사를 둔 투자자 그룹에 대한 매각을 촉발시켰다. 1995년 FN Baby Browning 프로젝트의 기술과 부품 재고는 투자자 그룹에 의해 Kristal의 통제와 지시에 따라 새로운 법인으로 분리되었고, 이는 PSA-25 Baby로 알려지게 되었고, 그 당시 권총은 PSA-25 Baby로 다시 브랜드되었다.

2019년 현재 PSA는 오렌지, 녹색, 노란색 금을 사용한 전시 등급 버전, 핸드 끌 판화, 희귀 재료 등 1931년형 베이브 브라우닝의 27개 버전을 제공하고 있다.[5] PSA-25 Baby의 모든 금속 부품은 4축과 5축 전산화된 숫자 제어 가공 센터와 공정 치수 제어 프로브 기술을 사용하여 가공된다. 모든 금속 부품은 수작업으로 마감되었다. 2008년에는 303개의 스테인레스강 권총 버전이 도입되었고, 2009년에는 핸드 드롭으로 7075-T652 알루미늄 액자판("Featherweight")이 위조되었다. 한정판 주행은 다마스쿠스 강철티타늄으로 만들어진다. 2017년 11월 현재 네바다 주 민덴에서 모든 PSA 버전의 Baby Browning의 마무리 작업과 조립 작업이 진행 중이다.[6] 미국 특허청은 2015년 아기 브라우닝 구성을 위해 PSA에 구성 특허를 발급했다.

PSA와 그 전 모기업 PSP는 미국에서 복사본이 생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984년부터 유일하게 파브릭 내셔널 6.35mm 포켓 권총의 라이선스 제조업체였다(아래 참조).

북미 생산 – 무면허

바우어 0.25 오토 포켓 권총

1972년부터 1984년까지 미시간주 프레이저사의 바우어 화기는 416개의 투자 주조 스테인리스강을 가공한 베이비 브라우닝의 모조품인 바우어 오토매틱을 제조하여 판매했다.[7] 1984년부터 1986년까지 이 권총은 Fraser-25로 판매되었다.[8]

Bauer Automatic은 Baby Browning의 대략적인 복사본으로, FN의 저작권 침해 주장을 피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당시 1931 Baby Browning의 다양한 구성요소에 대한 미국 특허 보호가 여전히 있었다. 예를 들어 바우어 오토매틱은 416개의 스테인리스 스틸 투자 주물을 사용하여 제작되었으며, FN 베이비 브라우닝 슬라이드와 프레임은 원래 8620개의 탄소강 바 스톡에서 제작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초 유럽 기반의 투자 주조 공장을 매입하면서, 8620개의 탄소강 투자 주조로부터 FN 권총 프레임과 슬라이드가 생산되었다.)[9] 바우어 오토매틱은 다른 자동차 안전 스프링을 활용했고, FN 베이비 브라우닝의 경우처럼 배럴을 시계 반대방향 대신 시계방향 45도로 비틀어 분리(그리고 프레임에서 풀린 슬라이드)했다. 바우어 오토매틱은 미끄럼틀 양쪽에 판화가 되어 있고, FN 베이비 브라우닝은 배출 포트 반대쪽에만 판화가 되어 있다.[8] Baby Browning의 이 복사본은 일관된 가공 공차로 알려져 있지 않다.[citation needed] 그립, 잡지, 다양한 내부 부품을 포함하여 많은 부품이 FN Baby Browning과 교환된다.[8]

참고 항목

참조

  1. ^ "Precision Small Arms, Inc. > Technicals".
  2. ^ Shideler, Dan (2009). The Gun Digest Book of Modern Gun Values: The Shooter's Guide to Guns 1900–Present. Iola, Wisconsin: Gun Digest Books. p. 109. ISBN 978-0-89689-824-0.
  3. ^ a b c Hogg, Ian; Walter, John (2004). Pistols of the World. David & Charles. pp. 29, 115. ISBN 0-87349-460-1.
  4. ^ "Precision Small Arms Histo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March 2009. Retrieved 6 April 2009.
  5. ^ Kristal, Lenn (2019). "Craft is at the Center of What We Do". precisionsmallarms.com.
  6. ^ Ramage, Ken; Sigler, Derrek (2008). Guns Illustrated 2009. Iola, Wisconsin: F+W Media, Inc. p. 29. ISBN 978-0-89689-673-4.
  7. ^ Lee, Jerry (2012). Standard Catalog of Handguns. Iola, Wisconsin: Gun Digest Books. p. 53. ISBN 978-1-4402-3009-7.
  8. ^ a b c Wood, J B (2007). Automatic Pistols Assembly/Disassembly. Iola, Wisconsin: Gun Digest Books. pp. 49–56. ISBN 978-1-4402-2630-4.
  9. ^ Shideler, Dan (2011). Gun Digest Book of Semi-Auto Pistols. Iola, Wisconsin: Gun Digest Books. p. 91. ISBN 978-1-4402-2439-3.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