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향색

Facing colour
붉은 외관을 가진 프랑스 라인 보병 수류탄 투척병 및 노란색 외관을 가진 볼티게르(c.1808)

페이스 컬러는 표준 군복, 코트 또는 튜닉의 안감이 겉으로 보이는 것과 의복 자체의 [1][2]색상이 다른 유럽 군복의 일반적인 맞춤 기법이다.재킷 라이닝은 다른 색상의 소재로 진화한 후 특정 색상으로 진화했습니다.따라서 재킷의 커프스, 옷깃, 꼬리 부분이 라이닝 또는 소재의 대비되는 색상을 드러냈기 때문에 각기 특수하고 눈에 띄는 색상을 가진 연대, 사단 또는 대대다른 단위를 시각적으로 쉽게 구분할 수 있었다.개별 연대를 위한 독특한 시설 사용은 18세기 군대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었지만, 나폴레옹 [2][3][4]전쟁 기간과 후에 보병 지부 내의 표준화는 더 흔해졌다.

프랑스.

푸른 바탕의 프랑스 레지멘트 디르 드 프랑스(1720)

앙시앵 레짐 기간 동안, 프랑스 전열 [5]보병의 표준 회색-흰색 유니폼에는 많은 다양한 얼굴 색깔(특히 파란색, 빨간색, 노란색, 녹색, 검은색)이 있었다.예를 들어, 레짐 뒤 랭귀지의 경우 파란색, 베아른의 경우 빨간색 등이 있었다.대향색깔을 고치거나 바꾸려는 주도권은 사실상 연대에 대한 소유권을 가진 각 대령에게 대부분 맡겨졌다.이러한 다양한 무늬의 배치에 대한 경향은 1776년 5월 31일의 "군대를 위한 복장 규정 배치"에서 극에 달했는데, 이때 프랑스 [6]보병들의 흰색 군복에 은회색, 오로레, "흰 반점이 있는 붉은색"과 같은 특이한 색조가 추가되었다.1791년, 최대 6개 연대의 집단을 하나의 색으로 구분하여 설비를 합리화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으며, [7]개별 단위를 구별하기 위해 배관이나 버튼 패턴과 같은 2차적 특징에 의존했다.

나폴레옹 전쟁 기간과 이후 대량 징집군의 증가는 경제와 보급 효율의 이유로 대면 색상의 표준화를 증가시켰다.따라서, 예를 들어, 19세기 초의 프랑스 라인 퓨실리그레나디어는 빨간색 테두리를 가지고 있었고, 한 연대와 다른 연대를 구별하기 위한 숫자만 있었다.볼티지어들은 노란색 또는/또는 초록색 바탕이 있었다.1854년부터 붉은색 장식은 프랑스 대도시의 군대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모든 보병에게 보편화되었지만, 비록 분리된 지부를 구성하는 샤수르들은 노란색 장식을 특별한 구별로 유지하였다.

영국

황색 바탕의 제8(왕의) 보병 연대 병사(1742년)

17세기 중반부터 영국 보병 병사들이 입었던 표준 빨간색 재킷("레드 코트")은 전투 중인 부대를 구별하기 어렵게 만들었다.같은 지점에서 집결할 때 색깔 보조 병사를 사용하는 것, 그리고 연대는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특정한 색상의 깃발 또는 색깔을 가지고 있었다.유니폼 재킷의 안감은 같은 연대 색상의 소재로 만들어졌으며 재킷의 커프스, 옷깃, 꼬리 부분의 소재를 뒤로 돌리면 안감이 드러나거나 "대면"을 향하게 됩니다.대부분의 유럽 군대들은 17세기 후반과 18세기 초반에 장식을 채택했다.

특정 색상과 특정 연대를 연관짓는 전통은 심지어 카키색을 선호하기 위해 붉은 튜닉의 일반적인 사용이 중단되었을 때에도 20세기까지 지속되었다.제1차 세계대전 이후 부대원, 악단원, 장교 및 기타 제한된 부류에 의해 유지된 의복의 일부로 남아 있었다.영연방군 부대에서도 영국 육군의 부속 부대와의 복장 구분을 채택했다.

1881년 영국 보병 연대(진녹색 제복을 입은 4개 소총 연대 제외)의 면색을 다음 시스템에 따라 표준화하려는 시도가 경제 조치로서 이루어졌다.

  • 근위병 및 "로열" 연대(즉, 제목에 "로열", "킹" 또는 "여왕"이 있는 연대) - 짙은 파란색
  • 잉글랜드 및 웨일스 연대 - 흰색
  • 스코틀랜드 연대 - 노란색
  • 아일랜드 연대 - 녹색 (실제로 이것은 코노트 레인저만을 의미)다른 모든 아일랜드 연대는 "로열"이었고 짙은 파란색 바탕이 있었다.)
잉글랜드와 웨일즈 라인 보병 연대의 흰색 외관을 가진 1914년의 정장 제복을 입은 맨체스터 연대.

이 표준화는 군복의 제조와 교체를 단순하게 만들었지만, 군 전체에서는 인기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버프그린 하워드같은 일부 연대는 그들의 부대 색깔에서 이름이나 별명을 따왔고, 웰링턴 공작 연대(빨간색 부대)는 영국 육군에서 유일하게 진정한 붉은 코트의 연대라는 권리를 잃었다.

이 명령에 대한 반대는 매우 광범위했고, 특별 예외의 요청이 너무 잦아서, 1914년 전쟁이 닥치면서 육군 전체의 정장이 마침내 사라지기 전까지, 원래의 형태의 계획은 결국 폐기되었고 역사적인 색채가 여러 연대로 다시 만들어졌다.많은 연대가 1881년 새 시설을 계속 사용했지만,[8] 전통적인 색상으로의 복귀가 승인된 예는 다음과 같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에도 이러한 역사적 시설로의 회귀 경향은 계속되었지만, 그 무렵에는 주홍색 유니폼은 연대 소속 밴드와 엉망진창과 제비 드레스를 입은 장교들만이 입었다.예를 들어, 노퍽 연대는 1925년에 이전의 노란 외관을 되찾았고,[9] 노스 스태퍼드셔 연대는 1937년에 1881년 이전의 검은 외관을 되찾았다.

다른 군대

푸른 바탕의 오스트리아 보병 (c.1804)

개별 연대를 구별하기 위해 서로 다른 면의 색을 사용하는 관습은 18세기 유럽 군대에서 널리 퍼져 있었고, 그러한 결정은 주로 지휘관에게 맡겨졌고 군복은 중앙 정부 의류 공장이 아닌 개별 청부업자들에 의해 만들어졌다.

19세기 후반까지 네덜란드, 스페인, 스위스, 벨기에, 일본, 포르투갈, 이탈리아, 루마니아, 스웨덴, 칠레, 멕시코, 그리스, 터키 군대는 프랑스의 표준화된 배치를 따르게 되었다. 비록 어떤 경우에는 다양한 종류의 보병(레나디어, 장총, 소총)이 여전히 사용될 수 있다.특정 군대 내에서 각각 독자적인 제복과 시설을 갖춘 보병 등).일반적으로, 기병 제복은 더 다양한 경향이 있었고, [10]각 기마 연대가 1914년까지 그들만의 향색을 유지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었다.1910년까지 스웨덴 포병 연대의 각 연대는 그들만의 향색을 가지고 있었지만, 포병, 기술자 및 지원대는 보통 하나의 분기 색상을 가지고 있었다.

남북전쟁 이후 미국 정규군은 각 연대가 숫자와 다른 휘장, 그리고 가지 색상으로만 구별되는 진청색 군복을 채택했다.후자는 기병대의 경우 노란색, 포병의 경우 빨간색, 보병의 경우 흰색(나중에 연한 파란색)이었다.공병대를 위한 흰색 파이프가 달린 주홍색, 신호대를 위한 흰색 파이프가 달린 주황색, 병무원을 위한 주홍색 파이프가 달린 검은색과 같은 색상의 조합은 육군이 기술과 [11]다양해짐에 따라 특징적인 분기 시설을 추가할 수 있는 넓은 범위를 제공했다.이 제도는 1917년 파란색 교복이 일반 문제가 될 때까지 계속 사용되었으며, 현대의 파란색 교복과 정장 교복에서 제한된 형태로 남아 있다.

지부 내에서 이러한 표준화에 대한 주목할 만한 예외는 영국 육군(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과 오스트리아-헝가리 군이었다.제1차 세계 대전까지 후자는 보병 시설에서 [12]10가지 다른 붉은 색조를 포함한 28가지 색상을 사용했다.

독일 제국군과 러시아군의 매우 큰 군대에서, 국기를 향하게 하는 보병은 종종 여단, 사단 또는 군단 내에 있는 특정 연대의 전투 순서에 따라 배치되었다.예를 들어, 러시아 라인 보병 중 각 사단 내의 2개 여단은 빨간색 또는 파란색 어깨끈으로 구분되었고, 각 사단 내의 4개 연대는 [13]각각 빨간색, 파란색, 흰색 또는 녹색 칼라 패치와 모자 띠를 착용했다.

레퍼런스

  1. ^ Otto Von Pivka, Michael Rope, Richard Hook, Gerry A. (Gerry A.) Embleton, Bryan Forsten, 나폴레옹의 독일 동맹자, Osprey 출판사: 1980, ISBN0-85045-373-9, 48페이지
  2. ^ a b René Chartrand, William Younghusband, Bill Younghusband, Gerry Embleton Spanish Army of Naponic Wars, Osprey Publishing: 1998, ISBN 1-85532-763-5, 48페이지
  3. ^ Hugh Chisholm, The Encyclopédia Britannica: 예술, 과학, 문학일반 정보 사전 제27권, "Uniforms", 대학 출판부: 1911, 페이지: 584-593
  4. ^ http://www.napoleonguide.com/infantry_austface.™[영구 데드링크]
  5. ^ Liliane et Fred Funken, 48-90쪽 1권 "L'Uniforme et les Armes des Soldats de la Guere en Dentelle, ISBN 2-203-14315-0"
  6. ^ 르네 샤르트랑, 21페이지, ISBN 1-85532-167-X "미국 독립전쟁 프랑스군"
  7. ^ Liliane et Fred Funken, 82-83페이지, 1권 "L'Uniforme et les Armes des Soldats de la Guere en Dentelle, ISBN 2-203-14315-0"
  8. ^ R.M. 반스, "영국 육군의 연대와 제복의 역사"
  9. ^ W.Y. 카르멘, 41페이지와 84페이지, "영국 육군 리처드 심킨의 군복 - 보병 연대", ISBN 0-86350-031-5
  10. ^ A.E. Haswell Miller, "Vanished Armies", ISBN 978 074780 739 1
  11. ^ 1902년과 1912년 미국 육군 제복 규정 및 주기
  12. ^ 제임스 루카스, "오스트리아-헝가리 군대와 1868-1914, ISBN 0-87052-362-7"
  13. ^ 리처드 노텔, 375쪽 세계의 유니폼, ISBN 0-684-163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