펠릭스 레굴라
Felix and Regula세인트 펠릭스, 레굴라 & 엑수페란티우스 | |
---|---|
![]() 예수와 펠릭스, 레굴라, 엑수페란티우스, 1506년 | |
순교자 | |
태어난 | 이집트 |
죽은 | 286년 9월 11일 스위스 그로스뮌스터 |
다음에서 존경됨 | 콥트 정교회 동방 정교회 동양 정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
주요 사당 | 주리히 성 펠릭스 레굴라 |
잔치 | 9월 11일 |
단골손님 | 취리히 |
펠릭스와 레굴라는 콥트 정교회 및 로마 가톨릭 성인으로, 그들의 종인 엑수페란티우스와 함께 콥트 달력 14번째인 율리우스력(양력 9월 24일)을 사용하여 같은 날 기념하는 잔치일인 그레고리력 9월 11일이 주리히의 수호성인이다.[1]
펠릭스와 레굴라는 3세기에 기독교로 개종했다는 이유로 충직한 신하 엑세페란티우스와 함께 참수된 형제였다.[2]
역사
펠릭스와 레굴라는 형제자매였고, 발레족의 아가우눔에 주둔하고 있는 생모리스 휘하의 테반 군단의 일원이었다. 286년 군단이 처형될 예정이 되자 그들은 도망쳐 글라루스를 거쳐 취리히에 이르렀다가 붙잡혀 재판을 받고 처형되었다. 참수 후 기적적으로 일어서서 자신의 머리를 들고 오르막길을 40보나 걸으며 기도한 뒤 죽어서 누웠다. 그들은 그들이 누운 곳, 그로스뮌스터의 현장이 될 언덕 꼭대기에 묻혔다.[3]
그 이야기는 플로렌티우스라는 승려에게 꿈속에서 드러났다. 이러한 지역 주민들의 대규모 기독교 개종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취리히에 이러한 영향을 끼쳐 오늘날에도 이 세 성도가 취리히의 국새에 나타나게 되었다.
9세기에는 림마트의 왼쪽에 위치한 취리히의 정착지 바깥에 작은 수도원이 있었다. 그로스뮌스터는 1100년경부터 그들의 무덤 위에 세워졌고, 그들의 처형 장소에는 와세르키르케가 서 있다. 13세기부터는 성도들의 모습이 도시의 공식 도장과 동전에 사용되었다. 성도들의 잔치날에는 그들의 유물이 그로스뮌스터와 프라우뮌스터 사이에서 행렬을 지어 운반되었고, 두 수도원은 그 유물을 차지하기 위해 경쟁을 벌였는데, 이 유물을 소유하기 위해 충분한 순례자들이 몰려들어서 쥬리히는 콘스탄츠 주교에서 가장 중요한 순례지로 삼았다. 취리히의 나벤스키에센은 9월 11일 성도들의 잔치날로부터 유래되었는데, 이 날은 근대 초창기 취리히 공화국의 '국가의 명절'이 되었다.
1524년 훌리치 즈윙글리에 의해 수도원이 해체되면서 그들의 소유물은 몰수되고 순교자들의 묘가 개방되었다. 그 때 일어났던 일에 대해 상반된 버전이 있다. 하인리히 불링거는 교회 밖 공동묘지에 아낌없이 묻힌 몇 개의 뼛조각을 위해 무덤이 비어있었다고 주장한다. 반면 가톨릭 신자들은 개혁파들이 성도들의 유물을 강물에 던질 계획이며, (우리에서 유배되어 사면을 받은) 우리당의 용기 있는 사람이 교회에서 유물을 훔쳐서 안데르마트로 운반해 갔다고 주장했는데, 그곳에서는 펠릭스와 레굴라의 두 두개골이 보인다. 오늘날 남아 있는 유물들이 1950년에 취리히에게 반환되는 동안, 새로 지어진 가톨릭 교회 성당에는 다시 반환되었다. 펠릭스 und 레굴라. 이 두개골은 탄소 14의 연대가 되었고, 한 두개골은 중세시대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다른 두개골은 사실 두 개의 분리된 두개골의 파편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중세시대로, 다른 하나는 로마시대로 연대가 될 수 있다.
문헌(독일어)
- Hansueli Etter, Urs Baur, Jürg Hanser, Jürg Schneider(Hrsg). 슈르처 스타드틸리겐 펠릭스 und 레굴라 레전든, 리리히엔, 게스키엔, 게쉬히트 und ihre Botschaft 임 리히트 온디멘더 포르스충. Hochbauamt der Stadt Zürich/Büro für Archéologie, Zürich 1988 ISBN3-905243-01-6
- 월터 나이그: 펠릭스 und Regula, Aneignung einer Legende. 취리히: SV 인터내셔널, 슈바이저 베를라그쇼스, 1983. ISBN 3-7263-6361-0
- 위르그 한서, 아르민 마티스, 울리히 루오프, 위르그 슈나이더: Das neue Bild des Alten Zürich. 주리히 1983년
- 세실 라머와 펠릭스, 레굴라와 엑수페란티우스, 이코노그래피 데르 슈트레스-와 스타드틸리겐 주리히스. 주리히: Antiquarische Gesellschaft, 1973.
참고 항목
참조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세인트 펠릭스, 레굴라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CPG 111, 1470년대에는 펠릭스와 레굴라의 전설뿐만 아니라 생마인라드의 전설이 담긴 원고.
- 취리히 대학교: «Die Stadt Zürich und ihre Mértyrer – ein 멀티메디얼러 Pfad » (독일어로)
- 성 베스페르 정교회 펠릭스, 세인트 리굴라, 세인트 리굴라. 엑수페란티우스
- 세인트제르맹 외 랜도알드, 순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