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랜시스 앤더슨

Frances Anderson

프랜시스 E. 앤더슨미술 치료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그녀는 미국 미술 치료 협회의 명예 평생[1] 회원이다.앤더슨은 연구원, 교수, 작가이며 그녀는 풀브라이트 시니어 스콜라 [2]상을 받은 최초의 미술 치료사였다.또한 아트 테라피 편집자, 미국 미술 치료 협회 저널, AATA 교육 및 프로그램 승인 [3]위원회 멤버로도 활동했습니다.그녀는 수십 편의 논문을 썼고 자신의 [4]작품에 대해 100개가 넘는 발표를 했다.앤더슨은 장애를 가진 아이들과 [5]근친상간에서 살아남은 어른들을 포함한 여러 집단과 함께 일해왔다.그녀는 또한 예술로 치유하는 커뮤니티(CHART)라는 단체를 통해 해외에서도 폭넓게 활동해 왔습니다.이 단체는 [2]자연재해 등의 피해를 입은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초기 생활

프랜시스 E.앤더슨의 아버지는 전도사였고 그녀는 나중에 예비학교에 다녔다.그녀는 '미술 치료의 건축가'라는 책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어린 시절의 유일한 친구가 중학교 2학년 [3]때 사망했다는 회고록과 인생이야기.그녀는 나중에 미술 치료를 공부하기 위해 대학에 갔다.

교육

앤더슨은 여자 대학인 아그네스 스콧 칼리지에서 영어 전공으로 교육 경력을 시작했다.앤더슨은 2학년 [3]때 전공을 미술로 바꾸기로 결심했다.그녀가 좋아하는 매체는 수채화, 점토,[5] 사진이었다.게다가 앤더슨은 많은 심리학 [3]수업을 들었다.그녀의 심리학 논문 중 하나를 위해 연구를 하던 중, 앤더슨은 미술 치료직업을 추구하게 된 미술 치료 게시판발견했다.1964년 앤더슨은 인디애나 대학교 블루밍턴으로 전학하여 학사 학위를 받은 [3]지 1년도 되지 않아 석사 학위교사 자격증을 동시에 취득하였다.그녀는 학부를 [3]마친 후 남부 인디애나에 있는 장애아동을 위한 작은 학교에서 교사로 일하기 시작했다.이것은 장애를 [3]가진 아이들과 함께 일하는 것에 대한 그녀의 관심을 이끌었다.앤더슨은 교사 생활을 시작한 직후 1968년 인디애나 대학교 블루밍턴으로 돌아와 미술 [3]교육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그녀의 박사학위 연구는 주로 정신병원에서 미술을 사용하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

앤더슨은 나중에 학습장애 [6]진단을 받았다.그녀는 [7]"장애아동을 위한 예술 중심 교육과 치료"라는 제목의 텍스트에서 모든 종류의 장애를 가진 아동 교사들에게 수십 가지의 적응과 제안을 제공했다.

그녀가 졸업한 후, 앤더슨은 계속해서 기사를 발표했다.그 때 그녀의 연구는 특별한 집단으로 초점을 옮기기 시작했고 어른들과 아이들에게 충격을 주었다.그녀는 미술, 음악, 무용, 연극 등의 수치화할 수 있는 장애인을 위한 모든 연구 논문의 리뷰를 포함하는 주요 연구 연구를 완성했다.전미 장애인 예술 위원회의 자금 지원을 받은 이 연구의 목표는 예술이 사람들에게 [3]가져다 주는 지식과 삶의 질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경력, 출판물 및 명예

앤더슨은 1969년 6월 29일 켄터키주 루이빌에서 열린 미국미술치료협회(AATA) 창립대회에 참석, 박사학위를 [3]받았다.AATA가 회원권을 지역별로 나누는 등록 절차를 시작했을 때 앤더슨은 연구 의장직을 거부하고 1972년 [3]최초의 중서부 표준 의장이 되었다.앤더슨은 예술 [3]치료의 효과와 이점에 대한 증거를 제공하기 위해 더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고 말하면서 연구에 대한 기대를 설정했다.

1972년 앤더슨은 헬렌 랜드가튼과 함께 중서부와 남부 캘리포니아[8]정신 건강 시설에서 예술 치료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을 문서화하는 연구를 수행했다.앤더슨과 랜드가튼은 오하이오주 콜럼버스에서 열린 제5회 AATA 컨퍼런스에서 연구 결과를 발표했으며, 그 결과에 대한 출판물도 미술 치료 [3]예술 교육의 연구 회보에 포함되었다.

1977년 앤더슨은 제7회 AATA 컨퍼런스에 참가하여 아트 테라피라는 제목의 패널 자리에 앉았습니다. 가치의 [3]탐구.여기서 그녀는 예술 교육의 몰입화를 주창했다.Anderson은 AATA의 Education and Program Approval Board(EPAB;[3] 교육 및 프로그램 승인 위원회)에서 활동함으로써 자신의 분야에 대한 연구를 계속 지지하고 제공할 수 있었습니다.

앤더슨의 연구는 1989년 일리노이 주립대학(ISU) 대학원 연수 프로그램을 만드는 데 도움을 주었다.앤더슨은 이 프로그램의 책임자가 되었고 보조직과 등록금 면제에 사용될 보조금을 받기 위해 일했다.그녀는 더 많은 예술 치료 교육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자금을 찾고 연구를 [3]계속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확장을 도왔다.앤더슨은 국제빙상연맹(ISU)[3]에서 주말 강좌를 가르치기 위해 마르시아 로잘, 도리스 아링턴, 발레리아 애플턴 등 저명한 박사급 미술치료사를 영입했다.

앤더슨은 ISU의 연구실에서 자원봉사를 하기 시작했고 청각, 시각, 신체, 정신 및 정서 장애를 가진 아이들을 위한 치료팀의 일원으로 일했다.그녀는 그녀의 멘토인 래리 [3]반필드로부터 아이들과 일하는 방법을 배웠다.Anderson은 또한 나중에 플로리다 [4]주립 대학에서 미술 치료 대학원 프로그램을 설립하는 것을 도왔다.

앤더슨은 그녀의 첫 번째 책을 썼다.모든 어린이를 위한 예술: 장애 어린이를 위한 창의적인 소스북.1988년 앤더슨은 그녀의 첫 번째 책을 개정하여 Art for the Children:[3] Approachs to Children with Children을 출판했습니다.

앤더슨의 세 번째 책에서 그녀는 "[9]예술로 자아 의식을 키운다"에 대한 추가 장을 썼다.

1982년 AATA가 첫 저널을 창간했을 때 앤더슨은 저널 위원회의 일원이 되었다.2000년에 앤더슨은 이 잡지의 편집장이 되었다.편집자로 일하는 동안, 그녀는 유방암으로 투병했고,[3] 그녀는 살아남았다.

샌드라 패커드와 함께 그녀는 "공유 정체성 위기:미술교육과 미술치료?"는 미술치료와 미술교육의 [3]유사성과 중복성을 상세히 기술했다.

그녀의 경력 중 한 시점에 앤더슨은 전직 학생에게 접근하여 아동 성학대 생존 여성 그룹과 함께 일하자고 요청받았는데, 이 프로젝트는 결국 8년간의 임상 [3]작업으로 끝났다.앤더슨은 이전에 직장 [3]내 성희롱의 영향을 받은 적이 있다.

앤더슨은 이러한 여성 그룹과 일하는 동안 그녀가 "피플 팟"[3]이라고 부르는 것을 개발했습니다.그녀의 첫 점토 그룹과 함께, 지시사항 중 하나는 애완동물이나 동물점토 조각을 만드는 것이었다.앤더슨은 그 경험을 "악"에 직면했다고 반성했고, 또한 그 과정에 정신적인 측면을 더하는 것이 [3]여성들에게 힘을 실어주는데 도움을 주었다.이 그룹들이 보조금 프로젝트의 일부였기 때문에 앤더슨은 저널 기사, 4개의 컨퍼런스 프레젠테이션, 모노그래프, 그리고 Courage!라는 제목의 비디오로 결과를 문서화했습니다. 우리는 함께 [3]치유한다.

어워드

2001년 4월 앤더슨은 풀브라이트 시니어 스콜라상(FSSA)[3]을 수상한 최초의 미술치료사로 인정받았다.2002년, 앤더슨은 AATA 저널의 편집장직을 사임하고, 부에노스 [3]아이레스에서 4개월간 연구 과정을 가르치기 위해 ISU에서 은퇴했습니다.여기서, 그녀는 또한 그녀의 예술적 발전 [3]척도를 추가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했습니다.2005년 앤더슨은 미술치료사로는 두 번째로 풀브라이트 스페셜리스트 그랜트를 수상해 대만, 태국, 파키스탄을 여행하고 대만 최초의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4]설립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Anderson은 CHART와 AATA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책들

  • 모든 어린이를 위한 예술: 장애아를 위한 창의적인 자료집[2][10]
  • 모든 어린이를 위한 예술: 장애아동을 위한 예술치료에 대한 접근[2][10]
  • 예술 중심의 장애아동 교육 및 치료[2][10]
  • 장애인 예술 [10]
  • 예술 및 장애인 관련 출판물 리뷰, 1971-1981[10]

레퍼런스

  1. ^ 로버트슨, M., & Wutzel, M. (2010년, 4월 23일)교직원이 3번째 풀브라이트 펠로우쉽을 획득.뉴스와 이벤트에서.2011년 3월 11일 취득.
  2. ^ a b c d e "FSU College of Fine Arts".
  3.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앤더슨, F.E., (2006)프랜시스 E.앤더슨: 추억.보로스키, M&Wadeson, H. (Eds.)에서 미술 치료의 건축가: 회고록과 인생 이야기. (p. 178-201)스프링필드, 일리노이주: 찰스 C 토마스 퍼브 주식회사
  4. ^ a b c "Agnes Scott College -". www.agnesscott.edu. Retrieved 2016-02-21.
  5. ^ a b 핀-칼리건, H., 샌즈-골드스타인, M. (1996년시작 사진:아트 테라피 선구자들의 예술 작품입니다.미국 미술 치료 저널, 35, 43-60
  6. ^ Borowsky-Jungge, M. & Wadeson, H. (2006)아트 테라피 설계자:회고록과 인생이야기.스프링필드, 일리노이주: 찰스 C.토마스 퍼브
  7. ^ 앤더슨, F.E., (1994년)예술 중심의 장애아동 교육 및 치료.스프링필드, 일리노이주: 찰스 C 토마스 퍼브 주식회사
  8. ^ 준지, M.B. (2010년)미국 미술 치료의 현대사. (p.181-182).스프링필드, 일리노이주: 찰스 C.토마스.
  9. ^ 앤더슨, F.E. (1992)모든 어린이를 위한 예술: 장애아동을 위한 예술치료에 대한 접근 (ed. 2) (p. 313-351).스프링필드, 일리노이주: 찰스 C.토마스.
  10. ^ a b c d e "WorldCat Identities".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