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데릭 코예트
Frederick Coyett프레데릭 코예트 | |
---|---|
![]() 타이난의 코예트 흉상 | |
제12대 포모사 주지사 | |
재직중 1656년 6월 30일 – 1662년 2월 1일 | |
선행자 | 코넬리스 시저 |
성공자 | 없는 |
데지마에서 14번째 오퍼후프드 | |
재직중 1652년 11월 4일 – 1653년 11월 10일 | |
데지마에서 9회 오퍼후프드 | |
재직중 1647년 11월 3일 – 1648년 12월 9일 | |
개인내역 | |
태어난 | c. 1615 또는 1620 스웨덴의 스톡홀름 |
죽은 | 1687년 10월 17일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
국적 | 스웨덴의 |
배우자 | 수잔나 부다엔스 (1645–1656) 헬레나 데 스테르케 (1658–?)[1] 지엠 고센스([2]1687-1687) |
아이들. | 발타사르 코예트 |
프레데릭 코예트(중국어: 揆一; 핀인: 쿠이ī; Pe̍h-oe-jī: Kûi-it는 1687년 10월 17일 스톡홀름 c. 1615년 또는 1620년에 태어나 암스테르담에 안장된 스웨덴 귀족이자 네덜란드의 식민지 포모사의 마지막 식민지 총독이었다. 그는 일본과 중국을 여행한 최초의 스웨덴인이었으며 네덜란드가 점령한 대만의 마지막 주지사(1656–1662)가 되었다.[3]
이름
그 시대의 많은 사람들과 공통적으로 코예트의 이름은 다른 시대와 다른 사람들에 의해 다르게 철자가 쓰여졌다.[citation needed] 프레드릭은 프레드릭이나 프레드릭일 수도 있고, 코예트는 코예트, 코이넷 또는 코이제트로도 표기되었다.
초기 경력
코예트는 1569년 브라반트에서 스웨덴으로 이주한 네덜란드/플레미쉬 뿌리를 가진 가정에서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태어났다고 추정된다. 그의 아버지는 1634년 모스크바에서 죽었다. 스웨덴의 저명한 외교관 피터 줄리어스 코예트는 그의 형이었다. 1643년부터 그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에서 일했다.[4] 코예트는 일본에서 VOC Opperhufd로 두 번 근무했으며,[5] 1647년 11월 3일에서 1648년[6] 12월 9일 사이에 데지마에서 최고 책임자로, 그 후 1652년 11월 4일에서 1653년 11월 10일 사이에 근무했다.
데시마
프레데릭 코예트는 프랑수아 카론의 처남으로, 둘 다 네덜란드 죄수 10명을 석방하는 데 관여했다. 이들의 논의는 1643년 남부 정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는데, 이때 이와테 현 야마다에서 선장 헨드릭 코넬리스 샤에프와 브레스켄스 승무원 9명이 포로로 잡혔다.
브레스켄스와 그녀의 자매선인 카스트리쿰(마아텐 게리츠 브리스 휘하의)은 네덜란드 동인도 총독인 안토니오 반 디멘의 명령으로 일본 연안의 북동쪽 어딘가에 놓여 있다고 전해지는 금은섬을 수색하기 위해 보내졌다. 그들은 또한 북아시아로 가는 항로를 조사할 예정이었다. 1643년 6월 폭풍우 속에서 카스트리쿰과 분리되어 있던 브레스켄족은 혼슈 동북부의 난부 번 야마다 만으로 들어갔다. 민물과 식량을 수색하던 중 셰프 선장 휘하의 선원 10명이 체포되어 모리오카 섬 수도로 끌려갔다. 그들은 후에 에도로 보내졌다. 불행하게도 브레스켄스 선원들은 일본 내 다른 지역에서 비슷한 시기에 일본에 잠입하려는 네 명의 예수교 신자들이 붙잡혔다. 그 결과, 바쿠푸 관리들은 해안 방어 문제에 대해 극도로 불안해했다. 그러나 선원들이 카톨릭 신자가 아닌 네덜란드인이라는 사실이 알려진 후, 바쿠푸의 두려움은 가라앉았고, 해결해야 할 문제는 어느 절차에 의해 네덜란드인을 석방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하나의 문제가 되었다.[7]
바타비아에 있는 코예트의 상급자들은 그의 서비스를 오퍼후드로 만족스럽게 여겼다. 그는 여러 가지 어려움과 도발에도 불구하고 바쿠푸와 맞서는 최적의 외교 기조를 유지할 수 있었다. 1649년 그와 그의 형 피터 율리우스가 스웨덴의 크리스티나 여왕에 의해 권좌에 오르자 그의 위상도 높아졌다.[8]
포르모사 주지사
코예트는 대부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Dutch: Verrinigde Oostindische Compagenie, VOC)의 마지막 주지사로 알려져 있다.
1662년 2월 10일, 그는 코싱가 휘하의 2만 5천 명과 1천 척의 선박으로 구성된 대규모 중국군으로부터 9개월 동안 포위당한 후 젤란디아 요새를 항복시킬 수밖에 없었다.[9] 코예트는 대만을 침공할 계획이 없다고 믿었을 때, 중국인들은 "매우 비열한 사람들의 가난한 표본보다 조금 낫다"고 말했다. 그러자 네덜란드는 침공이 진행되자 "포모사는 길을 잃었다"로 곡조를 바꾸었다.[10] 코예트는 코싱가 휘하의 중국군에 의해 결정적으로 격파된 군대를 이끌고 바타비아에 도달할 수 있는 충분한 보급품을 가지고 젤란디아 요새의 포위 후 대만을 떠났다. 그는 3년 동안 수감된 후 대만을 보유하거나 중요한 상업적 이익을 보존하지 못했기 때문에 대역죄로 재판을 받았다. 코예트는 1674년 석방되기 전에 사면을 받고 반다 제도의 가장 동쪽에 있는 로젠가인으로 유배되었다. 1684년 그는 헤모니 형제들이 그들의 주조 공장을 가지고 있던 곳에 있는 키이저즈그라흐트에 있는 집을 샀다.
코예트의 아들 발타사르 코예트는 1650년 첫 부인 수잔나 부다엔스에게서 태어나 아버지를 따라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에서 근무하게 되었고, 결국 암본 주지사가 되었다.[11]
바타비아의 유산
코예트는 인도 위원회의 일원이었다. 1704년 VOC에서 무역 총사령관으로 근무하기 전, 코예트는 랜드라드의 장관(1심 법정)이었다. 1658년 12월 8일 코예트는 피터 판 알펜의 선임 상인의 미망인 헬레나 데 스테레오케와 재혼했다. 1736년 그는 성벽이 있는 도시 바타비아의 남동쪽에 있는 큰 들판에 시골집을 지었다. 코예트는 힌두교와 불교 미술의 수집가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물건들로 그의 시골 집을 장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소장품 중 하나는 현재 인도네시아 국립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힌두교의 신 쿠베라의 동상이다.[2]
코예트는 죽기 며칠 전 지엠 고센스(웨스트팜의 위드)와 재혼하여 고센스는 코예트의 전 유산의 유일한 상속자가 되었다. 1762년 시골집을 중국 사찰(클렌텡)으로 개축하였다. 코예트의 조각품 중 일부는 현재 자카르타에 있는 비하라 불상(Vihara Buddayana)에 전시되어 있다.[2]
출판된 작품
1675년에 그는 방치된 포모사(Dutch:t Verwaerlossde Formosa)를 출판했다. 이 책에서 그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를 무지와 지원금 보내기를 거부했다고 비난했고, 이로 인해 대만을 잃게 되었다. 이 작품은 네덜란드어와 독일어로 처음 출판되었다. 1939년에 일본어 번역본이 나왔고, 1950년대에 중국어 번역본이 나왔다. 1903년에 출판된 윌리엄 캠벨의 네덜란드어 아래 포모사(Formosa Under the Dutch)에서 코예트의 책의 일부가 번역되었지만, 완전한 영어 번역은 1975년에야 끝났다.[12]
참고 항목
메모들
- ^ "Coyett, Frederik" (in Dutch). Nieuw Nederlandsch biografisch woordenboek (New Dutch Biographical Dictionary).
- ^ a b c "Frederik Julius Coyett". Ensiklopedi Jakarta. Dinas Komunikasi, Informatika dan Statistik Pemprov DKI Jakarta. 2017. Retrieved June 11, 2018.
- ^ 뮐러른, 군나르(1963) 퓌르스테 스벤스켄 i 일본. 한솜미스트 포모사. 스톡홀름: 색슨 & 린드스톰스 퓌를라그.
- ^ 뮐러른, 군나르(1963) 퓌르스테 스벤스켄 i 일본. 한솜미스트 포모사. 스톡홀름: 색슨 & 린드스트룀스 örlag, 페이지 28, 33.
- ^ "Nederlanders in Japan" (in Dutch). Retrieved 2009-03-05.
- ^ 역사학 연구소(시료 헨산조), 도쿄 대학 「프레데릭 코예트의 일기」; 2013-2-1.
- ^ http://www.hi.u-tokyo.ac.jp/tokushu/kaigai/Diaries/Volumes/D28C7BE5-C146-42F2-9FD9-0C729B86BA2D.html
- ^ 뮐러른, 군나르(1963) 퓌르스테 스벤스켄 i 일본. 한솜미스트 포모사. 스톡홀름: 색슨 & 린드스톰스 örlag, 페이지 69, 74.
- ^ "Ilha Formosa: the Emergence of Taiwan on the World Scene in the 17th Century". www.npm.gov.tw.
- ^ Macabe Keliher, Yonghe Yu (2003). Out of China or Yu Yonghe's tale of Formosa: a history of seventeenth-century Taiwan (illustrated ed.). SMC Pub. p. 55. ISBN 957-638-608-X. Retrieved Dec 20, 2011.
Coyett, declaring the news of an attack unfounded, and the Chinese soldiers "little better than poor specimens of very effeminate men." However, when Zheng and his epicine soldiers' ineluctable invasion became clear to the Dutch, the Batavia Council, and even the administrators in Holland, began to cry that "Formosa is lost."
CS1 maint: 작성자 매개변수 사용(링크) - ^ "Indonesia". WorldStatesmen.org.
- ^ Han Cheung (28 January 2018). "Taiwan in Time: The Swede who lost Formosa". Taipei Times. Retrieved 28 January 2018.
참고 문헌 목록
- Coyett, Frederick (1675). 't verwaerloosde Formosa [Neglected Formosa] (in Dutch). by Jan Claesz. ten Hoorn ... en Michiel Pieters ...
- Coyett, Frederick (1903) [First published 1675 in 't verwaerloosde Formosa]. "Part III: Chinese Conquest of Formosa". In Campbell, William (ed.). Formosa under the Dutch: described from contemporary records, with explanatory notes and a bibliography of the island. London: Kegan Paul. pp. 383–459. LCCN 04007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