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BK 꼬콜라

GBK Kokkola
감라칼레비 볼클럽(GBK)
Gamlakarleby Bollklubb.png
풀네임감라칼레비 볼클럽
닉네임GBK
설립.1924년, 98년(연방)
코콜란 케스크스켄테
코코라
용량.3,000
회장님한스에릭 선드
부장님크리스 코코란
리그카코넨
2013C조 5위

감라칼레비 볼클룹코콜라를 연고지로 하는 핀란드의 축구 클럽이다.현재 핀란드 2부 리그(Kakkonen)에 속해 있으며, 이는 핀란드 축구에서 세 번째로 높은 리그이다.GBK는 약 3,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Kokkola의 Keskuskenttae에서 홈경기를 치른다.

GBK는 핀란드어와 스웨덴어로 활동을 조직하는 이중언어 클럽입니다.

클럽 역사

1920년 IV (Idrottens vénner)와 GUIK (Gamlakarleby Ungdomsförenings Idrotsklubbb)가 그들의 팀에 합류하였고 새로운 클럽 GIF (Gamlakarleby Idrotsförenig)가 창단되었다.

1921년 GIF의 후원자인 어거스트 킨첼은 영국을 방문했고 스토크 시티가 빨간색과 흰색 줄무늬 드레스를 입고 경기하는 것을 보았다.Kyntzell은 의상을 좋아하게 되었고 그의 팀(GIF와 이후 GBK)도 같은 색깔로 경기하기로 결정했다.1921년 여름에 GIF는 빨간색과 흰색 줄무늬 의상을 입고 등장했다.

1924년 2월 19일, GIF는 이름을 GBK로 변경하였고, 따라서 핀란드에서 가장 오래된 축구 클럽 중 하나이다.GBK의 활동은 현재 축구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1950년대까지 아이스하키밴디도 했다.코콜란 에르메스(현재의 에르메스 HT)는 1953년 GBK와 KPV 아이스하키 섹션이 합병되면서 창단되었다.

이 클럽은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1959년, 1964-66년, 1976년 핀란드 챔피언십에서 5시즌 동안 뛰었다.2부 리그에서는 39시즌, 3부 리그에서는 15시즌을 뛰었다.최근 GBK는 Ykkönen(1부 리그)과 Kakkonen(2부 리그)에서 뛰고 있다.2006년 9월에 Ykkönen으로 승격하였으나 2007년 시즌 말에 강등되면서 2부 리그로의 복귀는 단기간에 끝났다.2008년부터 그들은 카코넨에서 [1]뛰고 있다.

2000년 GBK는 핀란드 최초의 여자 비치사커 챔피언이 되었고 이듬해 새로운 챔피언 팀이 되었다.

1930년 이래의 분단 운동

최상위 수준(5시즌): 1959, 1964-66, 1976
2부 리그(39시즌): 1938-39, 1945-46/47, 1948-49, 1951-58, 1960-63, 1967-75, 1977-80, 1995-97, 2002-04, 2007
3부 리그(15시즌): 1981, 1984-85, 1990-91, 1993-94, 1998-2001, 2005-06, 2008-

시즌 투 시즌

시즌 투 시즌
계절 레벨 나누기 부분 행정부. 위치 움직임
1936 계층 3 마쿤타사르자 (제3중분류) 서쪽 핀란드 FA(수오멘 팔롤리토)
1937 계층 3 마쿤타사르자 (제3중분류) 서쪽 핀란드 FA(수오멘 팔롤리토) 프로모트
1938 계층 2 이테-란시-사르하 (제2중분류) 웨스트 리그, 노던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로리이토) 세 번째
1939 계층 2 이테-란시-사르하 (제2중분류) 웨스트 리그 4조 핀란드 FA(수오멘 팔로리이토) 세 번째
1940-41 계층 3 C-사르자 (제3중분류) 그룹 4 핀란드 FA(수오멘 팔롤리토) 두 번째
1945 계층 2 수오멘사르자 (제2중분류) 그룹 A 핀란드 FA(수오멘 팔로리이토) 첫 번째
1945-46 계층 2 수오멘사르자 (제2중분류) 핀란드 FA(수오멘 팔로리이토) 여섯 번째
1946-47 계층 2 수오멘사르자 (제2중분류) 노스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로리이토) 일곱 번째 강등.
1947-48 계층 3 마쿤타사르자 (제3중분류) 중부 오스트로보트니아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롤리토) 첫 번째 프로모션 플레이오프 - 프로모션
1948 계층 2 수오멘사르자 (제2중분류) 노스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로리이토) 넷째
1949 계층 2 수오멘사르자 (제2중분류) 웨스트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로리이토) 여덟 번째 강등.
1950 계층 3 마쿤타사르자 (제3중분류) A그룹 북부 핀란드 FA(수오멘 팔롤리토) 첫 번째 프로모션 그룹 서부 2차 - 프로모션
1951 계층 2 수오멘사르자 (제2중분류) 웨스트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로리이토) 다섯 번째
1952 계층 2 수오멘사르자 (제2중분류) 웨스트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로리이토) 다섯 번째
1953 계층 2 수오멘사르자 (제2중분류) 웨스트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로리이토) 여섯 번째
1954 계층 2 수오멘사르자 (제2중분류) 웨스트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로리이토) 일곱 번째
1955 계층 2 수오멘사르자 (제2중분류) 웨스트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로리이토) 두 번째
1956 계층 2 수오멘사르자 (제2중분류) 웨스트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로리이토) 두 번째
1957 계층 2 수오멘사르자 (제2중분류) 웨스트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로리이토) 다섯 번째
1958 계층 2 수오멘사르자 (제2중분류) 노스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로리이토) 첫 번째 프로모트
1959 계층 1 메스타루사르자 (프리미어리그) 핀란드 FA(수오멘 팔로리이토) 10번째 강등.
1960 계층 2 수오멘사르자 (제2중분류) 노스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로리이토) 두 번째
1961 계층 2 수오멘사르자 (제2중분류) 노스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로리이토) 세 번째
1962 계층 2 수오멘사르자 (제2중분류) 노스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로리이토) 여섯 번째
1963 계층 2 수오멘사르자 (제2중분류) 노스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로리이토) 첫 번째 프로모트
1964 계층 1 메스타루사르자 (프리미어리그) 핀란드 FA(수오멘 팔로리이토) 아홉 번째
1965 계층 1 메스타루사르자 (프리미어리그) 핀란드 FA(수오멘 팔로리이토) 넷째
1966 계층 1 메스타루사르자 (프리미어리그) 핀란드 FA(수오멘 팔로리이토) 11번째 강등.
1967 계층 2 수오멘사르자 (제2중분류) 노스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로리이토) 여덟 번째
1968 계층 2 수오멘사르자 (제2중분류) 노스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로리이토) 넷째
1969 계층 2 수오멘사르자 (제2중분류) 노스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로리이토) 다섯 번째
1970 계층 2 II 디비시오나 (제2중분류) 노스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로리이토) 여섯 번째
1971 계층 2 II 디비시오나 (제2중분류) 노스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로리이토) 두 번째
1972 계층 2 II 디비시오나 (제2중분류) 노스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로리이토) 세 번째 새로운 I Divisioona 자격 취득
1973 계층 2 디비시오나 (제1과) 핀란드 FA(수오멘 팔로리이토) 다섯 번째
1974 계층 2 디비시오나 (제1과) 핀란드 FA(수오멘 팔로리이토) 넷째
1975 계층 2 디비시오나 (제1과) 핀란드 FA(수오멘 팔로리이토) 첫 번째 프로모트
1976 계층 1 메스타루사르자 (프리미어리그) 핀란드 FA(수오멘 팔로리이토) 11번째 강등.
1977 계층 2 디비시오나 (제1과) 핀란드 FA(수오멘 팔로리이토) 넷째
1978 계층 2 디비시오나 (제1과) 핀란드 FA(수오멘 팔로리이토) 다섯 번째
1979 계층 2 디비시오나 (제1과) 핀란드 FA(수오멘 팔로리이토) 다섯 번째 강등 그룹 1위
1980 계층 2 디비시오나 (제1과) 핀란드 FA(수오멘 팔로리이토) 11번째 강등 그룹 8위 - 강등
1981 계층 3 II 디비시오나 (제2중분류) 노스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롤리토) 12번째 강등.
1982 계층 4 디비시오나 (제3중분류) 그룹 8 Vaasa & Keskipohjanmaa (수오멘 팔로리토) 세 번째 프로모션 플레이오프
1983 계층 4 디비시오나 (제3중분류) 그룹 8 Vaasa & Keskipohjanmaa (수오멘 팔로리토) 첫 번째 프로모션 플레이오프 - 프로모션
1984 계층 3 II 디비시오나 (제2중분류) 노스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롤리토) 일곱 번째
1985 계층 3 II 디비시오나 (제2중분류) 노스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롤리토) 10번째 강등.
1986 계층 4 디비시오나 (제3중분류) 그룹 8 Vaasa & Keskipohjanmaa (수오멘 팔로리토) 다섯 번째
1987 계층 4 디비시오나 (제3중분류) 그룹 8 Vaasa & Keskipohjanmaa (수오멘 팔로리토) 세 번째
1988 계층 4 디비시오나 (제3중분류) 그룹 8 Vaasa & Keskipohjanmaa (수오멘 팔로리토) 두 번째
1989 계층 4 디비시오나 (제3중분류) 그룹 8 Vaasa & Keskipohjanmaa (수오멘 팔로리토) 첫 번째 프로모트
1990 계층 3 II 디비시오나 (제2중분류) 노스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롤리토) 일곱 번째
1991 계층 3 II 디비시오나 (제2중분류) 노스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롤리토) 11번째 강등.
1992 계층 4 디비시오나 (제3중분류) 그룹 8 Vaasa & Keskipohjanmaa (수오멘 팔로리토) 첫 번째 프로모트
1993 계층 3 II 디비시오나 (제2중분류) 노스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롤리토) 다섯 번째
1994 계층 3 카코넨 (제2중분류) 노스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롤리토) 첫 번째 프로모트
1995 계층 2 이쾨넨 (제1과) 핀란드 FA(수오멘 팔롤리토) 10번째
1996 계층 2 이쾨넨 (제1과) 노스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롤리토) 다섯 번째
1997 계층 2 이쾨넨 (제1과) 노스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롤리토) 아홉 번째 강등 그룹 – 4위, 강등
1998 계층 3 카코넨 (제2중분류) 웨스트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롤리토) 세 번째
1999 계층 3 카코넨 (제2중분류) 노스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롤리토) 세 번째
2000 계층 3 카코넨 (제2중분류) 노스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롤리토) 넷째
2001 계층 3 카코넨 (제2중분류) 노스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롤리토) 두 번째 프로모트
2002 계층 2 이쾨넨 (제1과) 노스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롤리토) 세 번째 강등 그룹 – 3위
2003 계층 2 이쾨넨 (제1과) 핀란드 FA(수오멘 팔롤리토) 11번째
2004 계층 2 이쾨넨 (제1과) 핀란드 FA(수오멘 팔롤리토) 14일 강등.
2005 계층 3 카코넨 (제2중분류) 노스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롤리토) 다섯 번째
2006 계층 3 카코넨 (제2중분류) 그룹 C 핀란드 FA(수오멘 팔롤리토) 첫 번째 프로모트
2007 계층 2 이쾨넨 (제1과) 핀란드 FA(수오멘 팔롤리토) 13일 강등.
2008 계층 3 카코넨 (제2중분류) 그룹 C 핀란드 FA(수오멘 팔롤리토) 두 번째
2009 계층 3 카코넨 (제2중분류) 그룹 C 핀란드 FA(수오멘 팔롤리토) 여덟 번째
2010 계층 3 카코넨 (제2중분류) 그룹 C 핀란드 FA(수오멘 팔롤리토) 일곱 번째
2011 계층 3 카코넨 (제2중분류) 그룹 C 핀란드 FA(수오멘 팔롤리토) 두 번째
2012 계층 3 카코넨 (제2중분류) 노스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롤리토) 두 번째
2013 계층 3 카코넨 (제2중분류) 노스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롤리토) 다섯 번째
2014 계층 3 카코넨 (제2중분류) 노스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롤리토) 넷째
2015 계층 3 카코넨 (제2중분류) 노스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롤리토) 다섯 번째
2016 계층 3 카코넨 (제2중분류) 노스 그룹 핀란드 FA(수오멘 팔롤리토) 넷째
2017 계층 3 카코넨 (제2중분류) 그룹 C 핀란드 FA(수오멘 팔롤리토) 두 번째
2018 계층 3 카코넨 (제2중분류) 그룹 C 핀란드 FA(수오멘 팔롤리토) 두 번째 프로모션 플레이오프
2019 계층 3 카코넨 (제2중분류) 그룹 C 핀란드 FA(수오멘 팔롤리토) 여섯 번째

[3]

코코라 컵

코콜라 컵으로 알려진 축구 토너먼트는 GBK에 의해 조직되며 매년 7월 중순에 열린다.4일간 열리는 이 대회에는 약 300개 팀이 코콜라에 몰려 헬싱키컵 다음으로 핀란드에서 두 번째로 큰 축구 토너먼트로 알려져 있다.

코콜라컵은 1981년 라스-에릭 스텐포르스에 의해 시작되어 50개 팀에서 최고조에 달한 330개 팀으로 성장했다.현재 코콜라 컵에 참가한 프로 선수로는 앤디 마샬, 지미 닐슨, 크레이그 벨라미, 아담 드루리, 대니 밀스, 사이먼 데이비스, 매튜 에더링턴 등이 있다.

2014 시즌

GBK는 핀란드 축구협회(수오멘 팔로리토)가 관리하는 카코넨의 C조(로코 C)에 출전하고 있다.2013년에는 카코넨 C조에서 5위를 차지했다.

GBK II는 Keski-Pohjanma SPL에 의해 관리되는 Nelonen 섹션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GBK III는 Keski-Pohjanma SPL이 관리하는 Kutonen 섹션 B(Lohko B)에 참가하고 있습니다.

현 스쿼드 레전드 GBK 꼬콜라

참고: 깃발은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정의된 국가 대표팀을 나타낸다.선수들은 둘 이상의 비 FIFA 국적을 보유할 수 있다.

No. Pos. 국가 플레이어
1 GK Finland 올리 니룬드
2 MF Finland 쥬시 로이코
3 MF United States 미국 로렌스 스미스
4 MF Finland 페테리 조키하라
5 DF Poland 브렐라 마테우스
6 MF Russia RUS 셸렌스키 니콜
7 FW Poland 코차노스키 야쿱
8 DF United States 미국 크리스 코코란
9 FW Finland 벤자민 스토르바카
10 MF Finland 니코 투케바
11 FW Sweden SWE 데이비드 칼슨
12 MF Finland 호엔탈 미이카
13 GK Finland 조나스 홀름
14 FW Finland 덩말월
15 MF Finland 톰 오스트란드
No. Pos. 국가 플레이어
16 MF Finland 폴 아두르
17 MF Finland 주호 알라스타리
18 DF Finland 타투 매키
19 FW Finland 토바이어스 웬틴
20 MF Finland 키미오그렌
21 MF Finland 알프레드 쇠데르만
22 MF Finland 아로 헤드먼
23 FW Finland 아트 헨투
24 FW Finland 라이너스 샌델
25 DF Finland 빌 질헤
26 DF Finland 토미 비외르클룬드
27 MF Finland 안길로도
28 GK Finland Oskari Wikström
29 GK Russia RUS 바이스키 비투슬라프
30 MF Brazil 브라 토로

참고 자료 및 출처

각주

  1. ^ "Finland – Divisional Movements 1930–2009". RSSSF Archives. 2010. Retrieved 3 April 2010.
  2. ^ "Finland – Divisional Movements 1930–2009". RSSSF Archives. 2010. Retrieved 3 April 2010.
  3. ^ http://www.finlandfootbal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