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마(레슬러)

Gamma (wrestler)
감마
Gamma2016.jpg
2016년 11월 감마
출생명스가모토요시토
태어난 (1973-05-16) 1973년 5월 16일 (48세)
후쿠시마시 이와키
프로레슬링 경력
링 이름감마
감마다이우
기시와다킹
뷰티풀 조
빌링 높이1.70m(5ft 7인치)
빌드 웨이트82kg(181lb; 12.9 st)
교육 대상슈퍼델핀
데뷔1996년 4월 23일

스가모토 요시토(松本人, 스가모토 요시토, 1973년 5월 16일 일본 후쿠시마 이와키에서 출생)는 일본프로레슬러로, 반지름감마(ガ馬, 간마)로 더 잘 알려져 있다.[1]그는 현재 용문 프로모션에 종사하고 있다.

프로레슬링 경력

스가모토 요시토는 사이토 마코토, 모치즈키 스스무와 함께 그들의 도조에 들어가면서 미치노쿠 프로레슬링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그는 웰링턴 윌킨스와의 몇 번의 어두운 경기에서 레슬링을 했지만, 결국 승진을 떠나 어떤 지위도 획득했다.1년 후 오사카 프로레슬링에 입단하였다.

오사카 프로레슬링(1999~2005)

스가모토는 2001년에 마침내 헤어질 때까지 오사카 프로의 낮은 카드에서 몇 년을 보냈고, 그곳에서 감마라는 반지명과 어린 펑크의 속임수를 채택했다.뒤꿈치를 돌린 는 토고가 떠난 후 물려받은 리더십인 딕 토고의 안정적인 FLUSxx에 합류했다.빅보스 MA-G-MA와 다이오 QALLT를 필두로 OPW의 최고 힐 지위를 획득했고 슈퍼델핀과 나머지 베이비페이스 레슬링 선수들과 불화를 겪었다.이것은 2003년까지 지속되었는데, 이때 그의 심복들이 그를 배반하고, 그를 파벌에서 내쫓고, 기시와다 구렌타이(Kishiwada Gurentai)로 개명하였다.이제 얼굴로서 감마는 델핀과 그의 백성들과 동맹을 맺고 무라하마 다케히로와 태그팀을 구성했다.그러나 재발한 어깨 부상으로 인해 기세를 회복하지 못했고, 2005년 4월 그는 승진을 떠나기로 결정했다.

독립 회로(2005-2006)

OPW를 떠난 후 감마는 미치노쿠 프로레슬링과 프로레슬링 제로1에서 프리랜서로 출연하기 시작했고, 다시 악역으로 출연했다.M-Pro에서의 활동은 주로 링 밖이었지만, 사토 형제를 타락시켜 발뒤꿈치를 틀게 하여 The Great Sasuke를 공격하고 그룹 STONED를 결성하는 것을 도왔다.동시에 스가와라 다쿠야 제로원 태그팀 파트너에게 영향력을 행사해 명예 STONED 멤버로 변신했다.감마는 드래곤도어에 나타나 또 다른 STONED 신병인 카게토라와 팀을 이루었는데, 그는 감마가 드래곤 게이트와 계약한 후 마굿간의 다음 지도자로 임명했다.

드래곤 게이트(2006-현재)

그는 2006년 3월 19일 드래곤 게이트에 나타났고, 리퀴드 기시와다(이전엔 빅 보스 MA-G-MA)가 데려와 심각한 어깨 부상에서 회복하는 동안 블러드 제너레이션의 자리를 물려받았다.그러나 그와 안정감 있는 CIMA 대표는 순간적으로 서로를 싫어했고, 그는 곧 파벌에서 쫓겨났다.나루키 도이, 요시노 마사토, 다니사키 나오키가 그의 뒤를 따르며 블러드 제너레이션이 둘로 갈라졌고, 한쪽은 CIMA, 돈 후지이, 신고 다카기 등이 그 뒤를 이었다.2006년 4월 23일, 그와 도이는 태그매치에서 CIMA와 후지이를 꺾고 블러드 제너레이션의 이름에 대한 전권을 획득하였으나, 즉시 이를 포기하여 대신 머슬 무법자 파벌을 형성하였다.나루키 도이가 지도자로 보였지만, 감마는 공동 지도자나 심지어 진짜 지도자로까지 여겨졌다.그 분열은 또한 그가 CIMA와 맺게 될 오랜 불화의 시작이기도 했다.

2007년 9월이 다가오자, 그는 다마오카가 단백질 분말 공격을 잘못 받아 그룹에게 몇 경기를 빼앗긴 후, 9월 22일, 무스무스 무로즈에서 패자가 추방되는 경기에 도전했다.그는 마굿간 전체가 다마오카를 대신해 놀라울 정도로 간섭하자 시합에 패해 마굿간을 떠났고, 곧 계약이 파기되자 드래곤 게이트를 떠난 것으로 보인다.하지만 그는 한 달 후에 돌아와 태풍과 뉴 아자르를 MO'z 구타로부터 구했고, 태풍에 충성을 맹세했다.그가 즉시 CIMA를 공격하고 MO'z에 다시 합류한 다음, 그와 다른 회원들이 다마오카를 폭도하여 쫓아낸 것은 모두 계략이었다.

복귀 후 더 이상 톱라인 대접을 받지 못하고 대신 주로 미드카드에서 태그매치에서 씨름을 했다.하지만 연말에는 결승전에서 CIMA를 제치고 관문왕 토너먼트에서 우승했다.그 승리는 심판이 CIMA를 낮게 쳐서 경기를 계속할 수 없게 만든 후에 중단되었다.이것이 경기의 의도된 결승전이었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추측이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승리는 2008년 2월 3일로 정해진 그의 꿈의 관문 오픈 타이틀로 CIMA와 맞붙을 수 있는 권리를 얻었다.CIMA가 그를 격파했고, 그 과정에서 그들의 오랜 불화가 해결되었다.

4월 27일, 그는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이전의 챔피언 앤서니 W. 모리를 제치고, 비어있는 Open the Brave Gate Championship을 사로잡았다.우승 후 벨트 얼굴에 로고판을 구성하는 8점을 버리고 자신의 플레이트로 교체한 뒤 타이틀을 오픈 더 감마문 챔피언십으로 개칭했다.재위 기간 동안, 그는 주로 약한 상대들에 대해 허리띠를 지켰고, 때로는 터무니없는 수단을 통해 자신의 직함을 유지했는데, 그것은 그가 본명으로 가서 허리띠의 부패한 위원 역할을 한 덕택으로, 안정된 동료인 호리구치 겐키(Horiguchi)가 위원장으로서 규칙을 집행하는 것이었다.5월 14일, 듀얼 챔피언이 된 그는, 신고 다카기, 야마토 등이 새롭게 비워진 오픈 더 트라이앵글 게이트 우승을 차지하면서, 결정전에서 나루키 도이, 요시노 마사토, BxB 헐크를 제쳤다.6월 28일과 29일 두 번의 재위 기간이 모두 끝났다:그와 그의 팀은 전일(낙하한 곳)에 아라이 겐이치로, 이와사 타쿠, 시노부에게 삼각문을 빼앗겼고, 후일에는 요시노 마사토 박사 때 감마문 타이틀을 빼앗겼다.머슬, 그를 물리치고, 브레이브 게이트의 얼굴판은 벨트로 복원되었다.는 7월 12일 간다 야스시, 야마토와 함께 다시 트라이앵글 게이트 우승을 차지했고, 9월 28일 모치즈키 마사아키, 후지이 돈, 기시와다 마그니티에게 패했다.이후 BxB 헐크의 '킬러 헐크' 페르소나와 잠시 불화를 빚었고, 심지어 자신만의 '킬러' 페르소나인 감마 다이우까지 떠올랐지만 헐크가 E.V.O. 마무리 투수로 외곽의 테이블을 통과시킨 후 11월 16일 카운트아웃으로 그들의 경기를 패하게 된다.

트라이앵글 게이트 우승을 놓친 지 얼마 되지 않아 칸다 야스시에게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다.이러한 문제들은 Kanda가 태그매치 도중 단백질 분말 공격을 잘못하기 시작했을 때, 그들의 상대팀 대신에 그를 맹목적으로 공격하여, 그들에게 돈을 지불하기 시작했을 때 확대되었다.그는 칸다가 자신보다 사이버 콩시토와 팀을 이루겠다는 말을 할 정도로 칸다를 꾸짖기까지 했다.결국, 2009년 1월 18일 YAMO의 요청으로 그와 칸다 사이에 패자가 레알 아자르에서 쫓겨나는 경기가 이루어졌다.그는 승리를 거두었지만, 그때 아라이 겐이치로가 나와, 자신과 나머지 레알 아자르의 구타로부터 칸다를 보좌하기 위해서인 것 같다.그러나 아라이가 그를 공격하자, 아라이와 칸다, 그리고 다른 그룹 멤버들이 그를 때려눕히고 그들의 대열에서 쫓아냈다.

그는 생애 처음으로 얼굴 쪽으로 천천히 돌리기 시작했지만 드래곤 게이트에서 그의 앞날에 대해 의심의 그림자가 드리워졌다.2월 15일, 사이토 료에게 레알 아자르에 합류하라고 등을 돌린 후, 그와 마굿간에서 그를 때려눕히고 있던 요코스카 스스무의 도움을 받게 되었다.이로 인해 그와 요코스카는 3월 1일 야마토&사이버콩이 개최하는 트윈게이트 타이틀에 도전하게 되었지만, 패하면 드래곤 게이트에서 영구 추방된다는 조항이 추가되었다.하지만, 요코스카와 함께 레알 아자르 멤버 카게토라의 어느 정도 도움을 받아 우승을 차지했고, 그날 밤 CIMA가 복귀하자, 그들과 카게토라를 새 워리어스-5 마구간으로 데려왔다.On April 15, he, CIMA & KAGETORA won the Open the Triangle Gate titles from Shingo Takagi, Taku Iwasa & Dragon Kid, but on May 5 he and Yokosuka lost the Twin Gate titles to Ryo Saito & Genki Horiguchi in a three-way Match, which included Kenichiro Arai & Yasushi Kanda.한 달 후, CIMA & KAGETORA는 요시노 마사토, BxB Hulk & PAC에게 삼각문을 빼앗기게 된다.

2009년 8월 CIMA와 함께 연례 서머 어드벤처 태그리그 토너먼트에 참가하였으나 8전 1승에 그쳐 꼴찌를 하는 등 매우 저조한 성적을 거두었다.하지만, 그들은 12월 29일에 열린 트윈 게이트 타이틀에서 챔피언 신고 다카기 & 야마토에게 승리할 것이다.그러자 이상하게도 벨트를 돌려 자신들은 잠정적인 챔피언에 불과하다고 선언하고, 실제 챔피언을 가리기 위해 강팀을 상대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2월 10일, CIMA와 함께 나루키 도이&요시노 마사토를 꺾고 풀 챔피언이 되었다.3월 22일 그들은 신고와 사이버콩에게 타이틀을 빼앗겼다.2010년 5월 13일, 감마, CIMA, 호리구치 겐키가 돈 후지이, 모치즈키 마사아키, 아케보노를 꺾고 오픈 더 트라이앵글 게이트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2010년 10월 25일, 감마, CIMA, 호리구치 등이 타니사키 나오키, 간다 야스시, 스가와라 다쿠야에게 오픈 더 트라이앵글 게이트 챔피언십에서 패했다.[2]11월 13일, 감마는 도이의 이름 없는 부대에 합류하면서, 곧 있을 트윈게이트 오브 데스티니 챔피언쉽 경기에서 파트너를 나루키 도이라고 공개함으로써 전사를 배신했다.2010년 11월 23일, 감마와 도이는 K 네스요코스카 스스무를 꺾고 트윈 게이트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3]그들은 2011년 1월 10일에 돈 후지이, 모치즈키 마사아키에게 타이틀을 빼앗길 것이다.2011년 1월 14일, 도이의 이름 없는 부대는 그 과정에서 뒤꿈치를 꺾은 워리어스 마굿간과 보조를 맞추었다.[4]1월 18일, 이 새로운 그룹은 블러드 워리어스로 명명되었다.[4]5월 27일, 나머지 블러드 워리어들은 감마에게 불을 켜고 그룹 내 자리를 키지에게 내주었다.[5]그 후 감마는 모치즈키 마사아키의 3번 분기점 마굿간에 합류했다.[6]6월 18일, 감마, 요시노 마사토, 야마토 등이 CIMA, 나루키 도이, BxB 헐크의 블러드 워리어스 팀을 꺾고 빈 오픈 더 트라이앵글 게이트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그들은 계속해서 9월 2일에 키지, 타니사키 나오키, 도이 나루키의 블러드 워리어 팀에 타이틀을 빼앗길 것이다.1월 21일, 감마는 6명으로 구성된 "로저 리프즈 유닛" 경기에서 핀으로 맞아 결국 3번 접점을 떠나야 했다.가엣키타 베테랑 군과 제휴한 후, 감마와 스테이블메이트 HUB와 리퀴드 기시와다는 10월 21일 열린 트라이앵글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7]이들은 불과 한 달 뒤 요시노 마사토, 도이 나루키, 보이 샤치호코에게 타이틀을 빼앗겼다.2015년 6월 14일, CIMA, 돈 후지이 등이 지미즈(Ryo "지미" 사이토, 호리구치 H.A 겐키)를 꺾었다.Gee.Mee!!, 그리고 지미 수스무)가 오픈 더 트라이앵글 게이트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10월 8일, 감마는 CIMA, 에이타, 엘 린다만, 펀치 토미나가, 신인 야마무라 다케히로, 이시다 카이토와 함께 새로운 부대를 결성했다.11월 1일, 이 유닛은 Over Generation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같은 날, CIMA, 돈 후지이 등은 지미즈(지미 스스무, 지미 K-네시스, 료 '지미' 사이토)를 상대로 열린 트라이앵글 게이트 챔피언십을 수비하고 이후 우승을 비웠다.

선수권 대회 및 성과

루차스 데 아푸에스타스 레코드

승자(내리기) 패자(내리기) 위치 이벤트 날짜 메모들
감마(헤어) CIMA(헤어) 일본 오사카시 라이브 이벤트 2006년 11월 23일
앤서니 W. 모리(헤어 감마(헤어) 일본 나고야시 라이브 이벤트 2007년 8월 11일 [주 1]

메모들

  1. ^ 여기는 태그팀 헤어 vs.모리가 드래곤 키드, 감마와 킨타 다마오카가 팀을 이룬 마스크 매치.

참조

  1. ^ "Profile at Puroresu Central". Puroresu Central. Retrieved 2013-12-03.
  2. ^ Boutwell, Josh (2010-10-29). "Viva La Raza! Lucha Weekly". WrestleView.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0-10-30. Retrieved 2010-10-31.
  3. ^ Boutwell, Josh (2010-11-26). "Viva La Raza! Lucha Weekly". WrestleView. Retrieved 2010-11-26.
  4. ^ a b Boutwell, Josh (2011-01-21). "Viva La Raza! Lucha Weekly". WrestleView.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4-10. Retrieved 2011-01-22.
  5. ^ "5/27 AGGRESSIVE GATE - 27 May 2011". iHEARTdg. 2011-05-27. Retrieved 2011-05-28.
  6. ^ "6/8 Gate of Maximum Kickoff - 08 Jun 2011". iHeartDG. 2011-06-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August 2011. Retrieved 2011-06-08.
  7. ^ "10/21 The Gate of Destiny 2012 - 21 Oct 2012". iHeartDG. 2012-10-2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1-03. Retrieved 2012-10-23.
  8. ^ "Pro Wrestling Illustrated (PWI) 500 for 2012". The Internet Wrestling Database. Retrieved 2012-08-2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