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럴드 C.토마스.
Gerald C.제럴드 C.토마스. | |
---|---|
![]() 제럴드 카르타레이 토마스, USMC | |
닉네임 | "제리" |
태어난 | 미주리 주 슬레이터 | 1894년 10월 29일
죽은 | 1984년 4월 7일 워싱턴 | (89세)
매장지 | |
얼리전스 | 미국 |
서비스/지점 | ![]() |
근속년수 | 1917–1956 |
순위 | ![]() |
보유된 명령 | 서부 태평양함대 해병대 해병 1사단 해병대 부사령관(1952~1954) 콴티코 해병대 학교 |
전투/와이어 | 제1차 세계 대전 *벨라우 우드 전투 *소이슨 전투 미국의 아이티 점령 *포르타우프린스 전투(1920) 제2차 세계 대전 *과달카날 전투 *툴라기 전투 한국 전쟁 |
수상 | 공로 십자가 공로훈장(해군) 공로훈장(미군) 실버스타 레지옹 공로(2) 퍼플 하트 프렌치 포레그레드르 |
제럴드 카르타레이 토마스(Gerald Cartrae Thomas, 1894년 10월 29일 ~ 1984년 4월 7일)는 미 해병대 장성으로 해병대 부사령관을 지냈다.그는 1956년 두 번의 세계 대전, 아이티, 한국전쟁을 거치며 4대륙에서의 의무와 같은 38년 이상의 공훈을 가지고 해병대에서 은퇴했다.제1차 세계 대전 중 벨라우 우드 전투 등 주요 공세에 출전해 은성, 보라색 하트 등을 수상하였다.
전기
제럴드 카르타레이 토마스는 1894년 10월 29일 미주리 주 슬레이터에서 태어났다.
토마스는 1차 세계대전이 시작될 때 일리노이 웨슬리언 대학에 다니고 있었다.미국이 전쟁에 뛰어들어 남자들에게 전화가 걸리자 당시 2학년이었던 제럴드는 병역에 입대했다.[1]1954년 2월 10일 모교로부터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해병대 복무
제럴드는 1917년 5월 28일 해병대에 입대했다.그는 패리스 섬에서 신병 훈련을 마치고 1대대 6 해병대에 입대했다.
제1차 세계 대전
1917년 9월 프랑스로 출항한 토마스는 베르둔, 벨라우 우드, 소이슨, 그리고 메우세 아르곤 공세(샹파뉴)에서 제6 해병대와 행동을 보였다.그는 하사관으로 승진하여 정보 하사관으로 근무했다.벨라우 우드에서 전투하는 동안, 그는 해병대를 이끌었고 용맹으로 은별을 받았다.[2]소아송에서 그의 회사는 큰 손실을 입었고 그는 소대장의 대행자가 되었다.1918년 9월, 그는 소위로 임관되었다.제1차 세계대전 중 용맹으로 은성상을 받은 것 외에 전투에서 받은 상처로 보라색 하트를 수여받았으며, 제6해병연대 소속으로 프랑스령 포레지르를 착용할 수 있는 자격을 얻게 되었다.독일 점령에 참가했다가 1919년 7월 미국으로 돌아왔다.
아이티
1919년 11월 아이티 제1임시해병여단에 입대하여 1921년 5월까지 아이티 도적부대에 대항하는 행동에 참여했다.이 시기에 포르토프랭스 전투(1920년)에 참가하여 카코 반군의 기둥을 매복하는 데 성공했다.[3]1921년 8월, 콴티코에 있는 해병대 막사에 배속되어 이후 2년간 머물렀다.그 기간 동안 그는 워싱턴에서 열린 군축회의에서 그 경비업체와 몇 달 동안 떨어져 있었다.그는 또한 해병대 학교에서 회사 임원 과정을 수료했다.
1920년대-1950년대
1923년 11월부터 1925년 10월까지 토마스는 털사호에 탑승한 해병 분대를 지휘했다.그 후 사우스캐롤라이나 찰스턴의 마린 막사, 해군 야드,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찰스턴, 캠프 홀라비드에서 2년간 주둔했으며, 1년 동안 메릴랜드 주 캠프 홀라비드에서 육군자동차운수학교 과정을 수료했다.1928년 12월 사우스캐롤라이나주 패리스섬 마린 막사에서 육상교통 담당 장교로 근무한 후 아이티에서 제1여단 해병대에 입대하여 사령관의 보좌관이 되었다.1931년 6월 미국으로 돌아와 이듬해 9월 조지아주 포트 베닝의 육군 보병학교에 입학했다.
1932년 6월에 졸업한 토마스는 필라델피아 해군 야드의 기초 학교 강사로 임명되었다.그는 1934년 8월까지 그곳에 남아 있었는데, 그 때 그는 시니어 코스에서 학생으로 콴티코로 돌아가라는 명령을 받았다.그 과정을 마친 후, 그는 1935년 7월, 피핑에 있는 미국 대사관의 해병대 분견대와 근무하기 위해 중국으로 명령을 받았다.그는 2년 후 미국으로 돌아와 캔자스주 포트 레븐워스의 지휘총무학교에 다녔으며, 1938년 6월 졸업 후 콴티코 해병대학교 교무원에 들어갔다.
제2차 세계 대전
1941년 5월 토머스는 해군 관측관으로 이집트 카이로로 전근되었으나, 두 달 뒤 콴티코로 소환되어 해병 1사단의 작전 부관이 되었다.1942년 3월 사단의 작전 책임자로 명명된 그는 두 달 후 그 자격으로 남태평양으로 항해했다.과달카날과 툴라기 등을 폭행하고 포로로 잡은 공로로 해군 공훈장을 받았다.1942년 9월 과달카날에서 사단 참모총장으로 임명되었고, 1943년 7월 제1해병양서군 참모총장이 되어 재무부-부게인빌 작전에서 전투 "V"를 받은 바 있다.부게인빌에서 열린 황후 아우구스타만 작전에 참가한 후, 워싱턴 D.C.의 해병대 사령부로 복귀하여 1944년 1월 계획 및 정책 국장으로 임명되어 1944년 1월부터 1946년 11월까지 뛰어난 봉사로 제2차 군단 공훈장을 수여하였다.
한국 전쟁
1947년 7월, 토마스는 서태평양의 해군 함대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1949년 3월 그 부대가 해체된 후 그는 콴티코 해병대 장비반장이 되었고, 이후 상륙부대 개발센터의 사령관으로 근무했다.
1951년 4월 한국전쟁 당시 해병 1사단을 지휘하면서 육군 공로훈장과 육군 공로훈장을 받았다.그는 1952년 1월까지 그 자격으로 복무했고, 그 때 그는 존 T 소령으로부터 안도했다. 셀던 그리고 미국으로 돌아왔다.다음 달에 그는 중장으로 승진하여 트루먼 대통령이 해병대 부사령관으로 임명했다.그는 1954년 6월까지 그 집에서 근무했고, 그 다음 달에는 해병대 학교인 콴티코의 사령관이 되었다.
은퇴, 죽음
해병대에서 퇴역하여 1956년 1월 1일 장군으로 진급하였다.
1957년부터 1958년까지 토마스 히키가 계승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순평가소위원회(NESC) 초대 국장을 지냈다.[4]
토마스 장군은 1984년 4월 7일 워싱턴 D.C.에 있는 자택에서 사망했다.그는 알링턴 국립묘지에 안장되어 있다.
시상 및 장식
토마스 장군의 메달과 훈장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열로 | 공로 십자가 | 해군 공로훈장 | 육군 공로훈장 | 실버스타 | 프렌치 포레가르 |
---|---|---|---|---|---|
2열로 | 1개의 수상 스타와 용맹이 있는 레지옹 오브 메리트 | 퍼플 하트 | 에어 메달(별 2개 포함) | 해군 및 해병대 표창장 | |
3열로 | 서비스 스타 1명 포함 해군 대통령 부대 표창장 | 해병대 선행훈장 | 해병대 원정훈장 | 제1차 세계 대전 승리 메달(5개) | |
사열로4길 | 독일 점령군 메달 | 중국 서비스 메달 | 베이스 걸쇠가 있는 미국 방위군 훈장 | 아메리칸 캠페인 메달 | |
5열로 | 서비스 스타 2명 포함 아시아 태평양 지역 캠페인 메달 | 제2차 세계 대전 승리 메달 | 국방훈장 | 서비스 스타 1명 포함 대한민국 서비스 메달 | |
6열로 | Orange-Nassau 훈장, 교차 검이 있는 사령관 | 국선훈장 | 대한민국 대통령부대 표창장 | 유엔 대한민국 메달 |
참고 항목
메모들
- ^ 사우소만, "전설 마린:제럴드 C 장군토마스."
- ^ Warren, James A. (2005). American Spartans; the U.S. Marines : A Combat History from Iwo Jima to Iraq. Simon and Schuster. p. 172. ISBN 978-0-684-87284-1. Retrieved June 14, 2009.
- ^ "많은 분쟁에서:제럴드 C 장군토머스와 미국 해병대, 1917-1956"의 앨런 R.밀레트 8장.
- ^ National Security Archive(인터넷), 2014년 7월 22일
참조
![]() |
- "General Gerald C. Thomas, USMC". Who's Who in Marine Corps History. History Division, United States Marine Corp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6-15. Retrieved 2009-02-18.
- "Gerald Carthrae Thomas, General, United States Marine Corps". Arlington National Cemetery. Retrieved 2007-01-13.
- Sausoman, Jim. "Legendary Marine: General Gerald C. Thomas". Gunny's Corner. Marine Corps League, Eugene S. Sara Detachme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26, 2011. Retrieved June 14, 2009.
추가 읽기
- Millett, Allan R.; Millett, Allan R. (October 1993). "In Many a Strife: General Gerald C. Thomas and the U.S. Marine Corps 1917–1956". The Journal of Military History. Society for Military History. 57 (4): 733–734. doi:10.2307/2944113. JSTOR 2944113.
- "Interview with E. Simons, author of Through The Wheat: The U.S. Marines in World War I by BG Edwin Simmons (USMC-Ret.) and Col. Joseph Alexander (USMC-Ret.)". U.S. Naval Institute. April 2009. Retrieved June 14, 2009.
Some of the Corps' most legendary NCOs stood to the fore in this desperate fighting, men like Dan Daly, Louis Cukela, Gerald Thomas, Charlie Dunbeck, and James Galliv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