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레노클라미스 이스브리다
Selenochlamys ysbryda고스트 민달팽이 | |
---|---|
![]() | |
셀레노클라미스 이스브리다의 살아있는 개인으로, 왼쪽 아래쪽을 향해 머리끝을 향한다. | |
과학적 분류 | |
킹덤: | |
망울: | |
클래스: | |
(랭킹되지 않음): | |
슈퍼 패밀리: | |
패밀리: | |
하위 패밀리: | |
속: | |
종: | S. ysbryda |
이항식 이름 | |
셀레노클라미스 이스브리다 Rowson & Symondon, 2008년[1] |
유령 민달팽이 셀레노클라미스 이스브리다(Selenochlamys ysbryda)는 약탈적인 공기호흡 육지 민달팽이의 일종이다.트리고노클라미디아과에 속하는 껍데기 없는 풀몬산염 위스트포도 연체동물이다.
이 종은 웨일스의[2] 여러 유적지에서 처음 인정받았으며 2008년 국립박물관 웨일스(Amgueddfa Cymru)의 분류학자 벤 로우슨과 카디프 대학의 생태학자 빌 시몬슨이 공식적으로 설명하고 이름을 지었다.[3]이후 사우스웨일스 주의 수많은 추가 유적지와 영국의 몇몇 유적지에서 발견되었지만, 영국에서 도입되었으며, 주로 정원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여겨진다.[4]
이 종으로 추정되는 표본도 우크라이나 크림반도의 자연산림 2곳에서 확인돼 크림반도가 원산지임을 알 수 있다.[5][6]
설명 및 생태학
이 민달팽이는 몸통이 확장된 상태에서 크기가 6.4cm(2.5인치)에 이를 수 있다.눈은 없고, 색깔은 흰색이다.그것은 주로 굴을 파고 지하 1미터까지 살며, 드물게 밤에 수면 위로 올라온다.[4]대다수의 민달팽이와 달리 칼날 같은 이빨을 이용해 지렁이를 먹고 사는 육식동물이다.[7]맨틀과 호흡구멍 모두 몸의 꼬리 끝에서 발견된다.[8]
민달팽이의 하얀 색과 야행성 때문에, 그리고 그것이 매우 드물기 때문에, 그것은 웨일즈 언어로 유령을 의미하는 "ysbryda"라는 단어인 ysbryda라는 종 이름을 얻게 되었다.이것은 차례로 "유령 민달팽이"라는 통칭이 생겨났다.이것은 웨일스어에서 종 이름을 따온 첫 사례로 보인다.
분배
이 과의 다른 민달팽이 종은 터키와 조지아에서 발견되지만 영국에서 발견되기 전에는 서유럽에서 대표자가 발견되지 않았다.[3]이 종은 거의 확실히 소개되고 있지만, 원산지와 어떻게 영국으로 진출했는지는 원래 서술 당시 알려지지 않았다.빌 시몬슨은 이 민달팽이가 원래 영국과는 다른 동굴 시스템에서 진화했으며, 아마도 화분에 심어진 식물의 흙으로 웨일스에 도착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3]
첫 번째 표본은 2004년 12월 29일 브레콘 대성당 교회 야적장에서 수집되었으나, 당시 그 중요성은 간과되었다.[9]두 번째 표본은 2006년 10월 29일 Caerphilly의 한 차선에서 발견되었다.[10]이 단 하나의 표본은 사진 찍혔다가 방출되었다.1년 뒤 웨일스 카디프 인근에서 또 다른 민달팽이가 정원사에 의해 발견되어 국립박물관 웨일스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2014년 8월까지 이 종은 25개 이상의 지역에서 알려졌으며, 대부분 사우스 웨일즈에 있었지만 옥스퍼드셔에 있는 특이치를 포함한 영국에 몇몇 지역에서 알려졌다.[4][11][12][13]영국의 기록은 보통 정원, 할당량 또는 인구 밀집 지역의 가까운 도로와 강가에서 나온다.[4]
이 민달팽이는 인간에게 해롭지 않지만, 소개된 것으로 추정되는 종으로서, 영국으로부터 더 많은 기록이 요청되고 있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대중에게 호소하는 것에 기초하고 있다.[4]더 많은 정보가 수집됨에 따라, 이 종의 분포는 그것이 아마도 사우스 웨일즈 전역으로 퍼졌을 것으로 추정되므로 침습적인 해충 종이 되지 않는지 확인하기 위해 감시될 것이다.
우크라이나 크림 산맥의 두 유적지에서 아마도 같은 종(그들은 미성숙하고 식별이 매우 어려웠음)의 표본 2개가 발견되었다.[5][6]첫 번째 표본은 1989년에 자연산 숲의 바위 밑에서 채취되었다.[5]두 번째는 입구에서 10m 떨어진 동굴 바닥에서 발견됐다.[6]크림반도의 트리고노클라미디다이에 대한 첫 기록이다.크림반도의 표본은 S. ysbryda와 같은 방식으로 셀레노클라미스 팔리다와 다르기 때문에 후자일 가능성이 높다.크림 산맥의 자연 서식지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S. ysbryda는 아마도 그곳 토착지일 것이고 풍토일 것이다.[5][6]
셀레노클라미스 ysbryda는 2008년 국제종종탐사연구소와 국제분류학위원회가 기술한 '신종 10위권'에 선정됐다.[14][2]
어원
구체적인 표현인 ysbryda는 유령이나 영혼을 뜻하는 Walesysbryd에서 유래되었다.이 단어는 여성적인 결말 a를 추가하여 라틴어화되었으며, 동격에서 명사로 취급된다.그 이름은 그 종의 유령 같은 외모, 야행성, 약탈적 행동, 그리고 그 기원을 둘러싼 미스터리의 요소를 암시한다.[2]
참조
- ^ Rowson B. & Symondon O. C. (2008) "영국 웨일스에서 온 Selenochlamys ysbryda sp. nov: 서유럽에 새로 들어온 테스타셀라 같은 민달팽이(Stylommatophora:트리오노클라미디아)."학술지 제39호(5) : 537-552. 추상적
- ^ a b c "Welsh rare bit: top 10 new species of 2009".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pecies Explor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College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Forestry. Retrieved 13 January 2017.
- ^ a b c "'Ghost slug' is a mystery - New species of slug surfaces in the UK". National Museum Wales. 10 July 2008. Retrieved 29 October 2012.
- ^ a b c d e Rowson, B. (2014). "The Long Reach of the Ghost Slug". National Museum Wales. Retrieved 8 May 2015.
- ^ a b c d Balashov, I. (2012). "Selanochlamys ysbryda in the Crimean Mountains, Ukraine: first record from its native range?". Journal of Conchology. 41 (2): 141–144.
- ^ a b c d Turbanov, I.; Balashov, I. (2015). "A second record of Selanochlamys (Stylommatophora: Trigonochlamidae) from Crimea" (PDF). Malacological Bohemoslovaca. 14: 1–4.
- ^ BBC 뉴스의 정원에서 발견된 벌레 먹는 민달팽이.2008년 7월 10일 발행.2008년 7월 10일 검색됨
- ^ 신비로운 외계인 "고스트 슬러그"에 대해 더 많이 알아낼 수 있도록 도와줘.
- ^ Reise, H.; Hutchinson, J.M.C. (2009). "An earlier record of the slug Selenochlamys ysbryda from Brecon, UK". Journal of Conchology. 40: 103. Retrieved 4 December 2009.
- ^ 알비노 달팽이? (iii),petsnails.co.uk 포럼.2006년 10월 29일 발행.2008년 7월 15일 검색됨
- ^ 2008년 7월 9일, 인용 2008년 10월 7일 출간된 신비로운 외계인 "고스트 슬러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도와주십시오.
- ^ 고스트 슬러그 업데이트, 2010년 봄 6월 6일 출판, 2010년 5월 11일 인용.
- ^ Reise & Hutchinson 2009 업데이트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May 2009. Retrieved 17 February 2016.
{{cite web}}
: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