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인왕피셔

Giant kingfisher
거인왕피셔
Giant kingfisher (Megaceryle maxima) male.jpg
케냐나이바샤 호수 남성
Megaceryle maxima -Zimbabwe-8-2c.jpg
짐바브웨삼각지대 여성
과학적 분류 edit
킹덤: 애니멀리아
망울: 코다타
클래스: 아베스
순서: 코라시목
패밀리: 알케딘과
하위 패밀리: 세리니아과
속: 메가커릴
종:
M. maxima
이항식 이름
메가케릴맥시마
(팔라스, 1769년)
Giant Kingfisher.png
분배

거대한 왕새(Megaceryle maxima)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왕새로, 건조한 남서부를 제외한 사하라 사막 이남 대륙의 대부분에 걸쳐 서식하는 사육새다.

분류학

거대한 왕피셔에 대한 최초의 공식적인 설명은 1769년 독일의 자연주의자 피터 시몬 팔라스(Peter Simon Pallas)에 의해 이항명 케도 막시마(Alcedo maxima)로 기술되었다.[2] 현재의 메가세릴 속은 1848년 독일의 자연주의자 요한 야콥 카우프에 의해 세워졌다.[3]

두 가지 아종이 있다.[4]

  • M. m. maxima (팔라스, 1769) – 에티오피아와 남아프리카로 가는 세네갈과 감비아
  • M. M. Gigantea(스웨인슨, 1837년) – 북부 앙골라 및 서부 탄자니아, 비오코

지명된 아종 M. m. m. m. maxima는 나무가 우거진 사바나에서 발생하며, M. m. giganta는 열대 우림을 선호한다.[5]

설명

거대한 왕피셔는 길이가 42~46cm(16.5~18인치)이며, 크고 텁수룩한 볏과 큰 검은 지폐, 검은 윗부분에는 고운 하얀 반점이 있다. 수컷은 밤색 가슴띠를 하고, 그 외에는 하얀 아랫부분과 어두운 옆구리 부분을 가지고 있다. 암컷은 흰점박이 검은 가슴띠와 밤색 배를 가지고 있다.[5] M. M. Gigantea 숲 경주는 지명을 받은 경기보다 어둡고, 위에서는 덜 눈에 띄며, 아래에서는 더 많이 금지되어 있지만, 두 형태는 숲 가장자리 지대를 따라 중간 등급으로 나뉜다.[5]

전화는 시끄러운 와크 와크 와크 입니다.

행동

사육

남아프리카에서는 9월부터 1월 사이에, 짐바브웨에서는 8월부터 3월까지, 잠비아에서는 3월부터 4월까지, 라이베리아에서는 12월부터 1월까지 사육이 이루어진다.[5]

이 거대한 사육사는 일부일처제이고 독거한 사육가다. 둥지는 남녀 모두 발과 지폐를 이용해 강둑으로 출토되는 긴 수평 터널이다. 입구 구멍은 높이가 11cm(4.3인치)이고 넓이는 15cm(5.9인치)이다. 터널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2m(6ft 7인치)이지만 8.5m(28ft)의 터널이 기록되어 있다. 터널 끝에 있는 한 방에 약 3개의 알이 클러치로 놓여 있다.[5]

먹이 주기

이 큰 종은 횃대에서 다이빙하여 잡은 게, 물고기, 개구리를 먹고 산다.

참조

  1. ^ BirdLife International (2016). "Megaceryle maxima".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6: e.T22683616A92991520. doi:10.2305/IUCN.UK.2016-3.RLTS.T22683616A92991520.en. Retrieved 11 November 2021.
  2. ^ Pallas, Peter Simon (1769). Spicilegia zoologica quibus novae imprimis et obscurae animalium species iconibus: descristionibus atque commentariis illustrantur (in Latin). Berolini [Berlin]: Prostant apud Gottl. August. fascicle 6, p. 14.
  3. ^ Kaup, Johann Jakob (1848). "Die Familie der Eisvögel (Alcedidae)". Verhandlungen des Naturhistorischen Vereins für das Großherzogthum Hessen und Umgebung (in German). 2: 68. OCLC 183221382.
  4. ^ Gill, Frank; Donsker, David, eds. (2017). "Rollers, ground rollers & kingfishers". World Bird List Version 7.2.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Retrieved 28 May 2017.
  5. ^ a b c d e Fry, C. Hilary; Fry, Kathie; Harris, Alan (1992). Kingfishers, Bee-eaters, and Rollers. London: Christopher Helm. pp. 231–232. ISBN 978-0-7136-8028-7.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