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a goo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커먼 룬

Common loon
커먼 룬
Gavia immer -Minocqua, Wisconsin, USA -swimming-8.jpg
위스콘신 주의 깃털 사육 성인
Loon, common 04-24 a.jpg
노스캐롤라이나의 비육종 깃털에서
과학적 분류 edit
킹덤: 애니멀리아
망울: 코다타
클래스: 아베스
순서: 가비목
패밀리: 가비과
속: 가비아
종:
지임머
이항식 이름
가비아 임메르
(Brunnich, 1764)
Gavia immer map 2.svg
근사 분포도
사육
마이그레이션
비교배
동의어[2]
  • 콜렘부스 몰입형 브룬니치, 1764년
  • 콜렘부스 빙하 리나에우스로1766번길

보통 loon 또는 위대한 북쪽 diver(Gavia immer)는 loon, 즉 diver, 의 큰 가족이다.번식 성인은 넓은 검은 머리와 목덜미에 초록색, 청록색 또는 푸르스름한 광택, 검거나 검게 빛나는 회색 윗부분, 그리고 꼬리 덮개와 통풍구에 검게 그을린 부분을 제외한 순백색의 아랫부분을 포함한다.비육종 성인은 짙은 목과 머리가 짙은 회색갈색으로 표시된 갈색이다.그들의 윗부분은 어깨에 네모 무늬가 불분명한 짙은 갈색의 회색이며, 아랫부분과 아래 얼굴, 턱, 목은 희끗희끗하다.성별은 비슷해 보이지만, 수컷은 암컷보다 상당히 무겁다.번식기에는 캐나다, 미국 북부(알래스카 포함), 그린란드와 아이슬란드 남부 등지의 호수나 다른 수로에서 새끼 곰들이 서식한다.스발바르와 북극 유라시아의 다른 곳에서는 적은 수의 개체수가 번식한다.흔한 겨울은 미국의 남쪽 먼 해안과 유럽의 대서양 해안에서 겨울을 난다.

일반적인 암탉은 물고기, 갑각류, 곤충 애벌레, 연체동물, 그리고 때때로 수생 식물 생물을 포함한 다양한 동물 먹이를 먹는다.그들은 먹잇감의 대부분을 물속에서 삼키는데, 그 곳에서 잡히지만, 어떤 더 큰 것들은 먼저 수면 위로 떠오른다.부랑자는 일부일처제다. 즉, 암컷과 수컷 한 마리가 함께 한 지역을 방어하고 10년 이상 함께 번식할 수 있다.한 쌍의 두 멤버는 죽은 습지 풀과 다른 식물들로 큰 둥지를 만들고 식물들이 있는 호숫가를 따라 산으로 형성된다.매년 한 마리의 새끼가 양부모에 의해 약 28일 동안 배양된 짙은 갈색 반점이 있는 올리브 갈색 타원형 알 한두 개로 구성된 클러치로부터 길러진다.양가 부모에게 먹이를 먹인 병아리는 70-77일 만에 이 텄다.병아리들은 생후 며칠만 되면 물속에서 다이빙을 할 수 있고, 가을에는 얼음이 얼기 전에 겨울잠을 설 수 있다.

IUCN의 멸종위기종 적색목록에서 가장 우려하지 않는 종으로 평가된다.아프리카-유라시아 철새 보호협정이 적용되는 종 중 하나이다.미국 산림청은 서식지 손실과 미국 내 독성 금속 중독으로 인한 위협 때문에 이 공동체를 특별한 지위의 종으로 지정했다.

흔히 볼 수 있는 은 온타리오 주의 지방 새로, 1달러짜리 "루니" 동전과 이전 시리즈인 20달러 지폐를 포함한 캐나다 화폐에 나타난다.1961년 미네소타의 주 조류로 지정되어 미네소타 주 쿼터에 등장한다.

분류학

그 흔한 룬은 유라시아의 위대한 북쪽 다이버로도 알려져 있다.(또 다른 이전의 이름인 위대한 북방광은 국제 조류학 위원회가 제안한 절충안이었다.)[3]가비과의 유일한 속인 가비아속(Gavia)을 구성하고 가비오목(Gaviiformes)을 주문하는 5개의 룬종 중 하나이다.가장 가까운 친척은 또 다른 큰 검은 머리의 종인 황새의 룬이나 백새의 다이버(가비아 아담시이)이다.[4]일반 베틀에는 공인된 아종이 없다.[5]

덴마크의 동물학자광물학자 모텐 스레네 브뤼니치는 1764년 처음으로 이 흔한 광물을 콜리브스가 그의 오르니톨로지아 보렐리스몰입한 것처럼 묘사했다.[6]그 옛 로사 Colymbus과 use[를]에 국제 위원회에 동물원 품목 분류 표에기 전까지 추가적인 활용을 위해 Colymbus 억압된 이름이 부적합하다는과 유효한 속 n.로 Gavia, 요한 라인홀트 포스터에 의해 1788년에 창조된 설립한다고 선언하면서 1956년에 명명 법을 명확히 하기 위해 시도했다 grebes뿐만 아니라 loons,[7]에 포함ame f아니면 빈털터리가 될 수 있지.[8]

현재의 속명 가비아는 정체불명의 바다새의 라틴어 용어였고, 특정한 임메르는 현대의 아이슬란드어 단어 "hembrii"[10]와 유사한 [9]노르웨이의 새 이름에서 유래되었다.그 단어는 스웨덴의 몰입상징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불의 잿빛이나 검게 그을린 재 (노의 어두운 깃털을 가리킴) 또는 라틴의 몰입, 몰입, 그리고 물에 잠긴 몰입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11]

유럽식 이름인 "diver"는 다이빙을 통해 물고기를 잡는 새의 관행에서 유래되었다.[12]북미의 이름 "loon"은 윌리엄 우드 (1580년-1639년)에 의해 뉴잉글랜드 프로스펙트 (1634년)에서 이런 의미로 처음 기록되었다;[13][14] "loone은 코모란트 (코모란트)와 같은 병든 것이다."그것은 현대적인 스웨덴어와 덴마크 lom과 마찬가지로 각각의 경우에 독특한 호출을 언급하면서 올드 노르드 로름에서 파생될 수 있다.[15][16]

플리오세에서는 많은 종류의 룬 화석이 알려져 있으며, 캘리포니아플로리다플리스토세에서 추출한 샘플은 일반적인 툰의 고생종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17]

설명

비행중

성인용 룬은 길이가 66~91cm(26~36인치)에 달하며,[2] 비슷한 노란색 룬보다 약간 작은 127~147cm(4ft 2인치~4ft 10인치) 날개 폭이다.[18]평균적으로 길이는 81cm(32인치) 정도며 날개 길이는 136cm(54인치)이다.무게는 2.2~7.6kg(4.9~16.8lb)까지 다양하다.[19][20]크기는 지역적으로, 특히 신체 질량에 따라 다양하며, 캐나다 중하부와 오대호에서 평균적으로 가장 작은 몸집인 황토와, 서쪽에 사는 새들은 비슷하거나 약간 더 크며, 더 동쪽에서 번식하는 황토들은 훨씬 더 큰 것으로 보일 수 있다.게다가, 일부 인구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평균 27% 더 거대하다.[21]메인 주의 사육용 룬은 암컷이 평균 4.65kg(10.3lb), 수컷이 평균 5.97kg(13.2lb)으로, 비록 노란 주름이 메인주 룬보다 선형 치수(특히 지폐 길이)보다 더 크지만 본질적으로 노란 주둥이와 같은 무게다.[20]온타리오 주에서는 암컷 20명이 평균 4.5kg(9.9lb), 수컷 20명이 평균 5.46kg(12.0lb)이었다.[22]이와는 대조적으로 알래스카만에서는 남녀 성인의 평균 몸무게가 4.13kg(9.1lb)인 것으로 알려졌다.[23]성인 사육 매실은 넓은 검은 머리와 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녹색, 청록색 또는 청록색 광택이 있다.[2]그것은 때때로 끝이 창백한 검은색 지폐와 빨간 눈을 가지고 있다.[2][19]목에는 특징적인 검은 반지가[24] 둘러져 있고 위쪽 앞목에는 8~10개의 짧은 줄무늬가 있는 두 개의 하얀 목걸이가 있고, 목 옆에는 커다란 타원형을 이루는 흰색 평행선의 눈에 띄는 깃이 있다.[2][19]중앙 하부 포레넥은 순백색이며, 하단 목 사이드는 세로 흰색 선이 작은 점들이 줄지어 있고 검은색 선이 매우 좁아진다.윗부분은 검거나 검게 그을린 회색이며, 깃털마다 작은 흰 점이 있다.상부동은 검게 그을리고 비주상 커버에는 작은 흰 점이 있는 반면, 하부윙은 축장 위의 길고 검은 샤프트 스트릭을 제외한 흰색 커버가 더 창백하다.언더 파트는 순백색이지만, 언더테일 커버와 통풍구에 검은 부분이 있다.[2]체크무늬 흑백 맨틀[24] 검붉은 꼬리를 가지고 있다.다리는 안쪽 반쪽은 옅은 회색으로, 바깥쪽 반쪽은 검게 물들어 있으며, 발가락 사이의 거미줄은 살색으로 물들어 있다.[2]

커먼 루온 스트레칭

성인 비육종 깃털은 갈색으로 목과 머리가 짙은 회색갈색으로 표시되어 있다.[2][24]눈은 흰색으로 둘러싸여 있고,[2] 눈꺼풀은 창백하다.[24]이 지폐는 대부분 옅은 회색이며, 암수들과 팁이 있지만 이른 봄에는 팁이 하얗게 변할 수도 있다.아랫부분, 아랫면, 턱, 목도 희끗희끗하다.포목(foreneck)은 희고, 대개 어두운 목 사이드에 쐐기 모양의 노치를 형성하며,[2] 목고리나 옅은 칼라의 그림자 같은 흔적을 드러내기도 한다.[24]짙은 갈색의 회색 윗부분과 어깨의 사각형 무늬가 불분명한 부분이 있고, 흰색으로 얼룩진 날개 덮개가 일부 있는데, 주로 수영할 때 감추어진다.비록 수컷과 암컷은 암컷보다 크고 현저하게 무거운 수컷과 함께 신체적 차원에서 성적인 이형성을 보이기는 하지만 비슷한 외모를 가지고 있다.[2][18]

묵직한 단검 같은[19] 지폐는 고르게 가늘고 회색으로 되어 있으며, 때로는 검은 끝이 나기도 한다.[24]지폐의 색깔과 각도는 이 종과 노란색의 목걸이를 구별한다.목이 짧고 굵다.[24]그것은 물속에서 매우 낮게 헤엄쳐, 때때로 머리만 위와 수평으로 물 위에 고정시킨다.[19]그것은 수면을 가로질러 달려야 비행할 수 있다.비행 중 머리는 몸보다 약간 낮고, 발은 뒤로 처진다.[19]그것은 다수의 단단한 뼈로 구성된 골격 구조를 가지고 있다(이는 보통 가비이목과 펭귄의[25] 경우지만, 뼈를 가볍게 하기 위해 광범위한 폐렴을 가지고 있고, 속이 비어 있고 공기로 가득 찬 대부분의 날새와는 달리), 이것은 무게를 더하지만 다이빙에 도움을 준다.[26]

메인 주 맥기섬 앞바다에서 수영하는 청소년

청소년은 종종 창백한 검은 깃털보다 더 어둡게 보일 수 있는 검고 갈색의 회색 나귀를 가지고 있다.[27]짙은 회색에서 검은 머리, 목, 윗부분이 있으며 목, 볼, 아랫부분이 흰색이다.[19]첫 번째 겨울에는 어른들의 지폐 모양이 완전히 발달되지 않을 수도 있고,[27] 두 번째 겨울에는 번식하는 어른과 많이 닮았지만 날개 덮개가 흰 반점이 부족한 경우도 있다.[2]

일반적인 룬은 주로 큰 사이즈에 의해 검은 (G. Arctica), 붉은 룬(G. stellata)과 구별된다.그것은 보통 더 가파른 이마와 불룩하게 솟은 전각을 가지고 있는데, 약간 검은 줄무늬의 전각과 비슷하다.지폐는 뒷목보다 무겁고 뒷목이 더 곱다.누런 부엉이로부터 분리하는 것은 더 어렵지만, 그 번식용 깃털은 목에 흰 자국이 더 많고 어깨의 사각형은 보통 더 작다; 비 번식용 깃털은 창백한 부분과 지폐 색상과 더 뚜렷하게 대비되는 어두운 목 부분을 가지고 있다.[2]

물트

비늘이 많은 청소년 깃털은 부화 후인 1월이나 2월까지 유지되는데, 그 때 긴 머리와 몸통의 깃털이 어른처럼 보인다.어른들은 이 시기에 모든 비행깃털을 동시에 털어서, 번식용 깃털을 얻기 전에 일시적으로 날지 못하게 하지만, 2학년 새들은 이 실질적인 털털을 여름까지 늦춘다.성인 겨울 깃털은 10월부터 1월 사이에 주로 머리, 몸, 꼬리 깃털로 이루어진 부분 연체 동물에 의해 달성된다.[28]

게노믹스

향상된 유전자 시퀀싱 기술로, 일반 루온의 게놈 초안이 적어도 14,169개의 공통 루온 유전자를 조립하고 식별했다.닭 유전자의 80.7%는 일반적인 루온 게놈에서 발견된다.심해 잠수 및 천막의 장거리 공중 이동에 따른 생리학적 비용이 천막 진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확인된 많은 유전자들은 9천만년 전 흔한 닭이 갈라진 이후 양성 선택의 후보 유전자들이다.이러한 후보 유전자는 산소에 대한 헤모글로빈 친화력, 용액 교환, 면역 방어와 관련된 면역글로불린 기능, 신경계 발달 및 DNA 대사 기능과 관련된 다수의 분자 경로, 저조도 시력에 잠재적으로 관여할 수 있는 G-receptor 경로와 관련이 있다는 이론이 있다.예를 들어, SLC48A와 SLC20A1은 이온과 pH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동점선을 유지하는 가비아 계통의 후보 유전자들이다.[29]

분포 및 서식지

일반 loons 주로, 48° N은 북극권까지 키우고 있지만 국내에서 남쪽으로 40N에 78° N.[2]에 그들의 번식 기간 동안 봄과 여름에 북쪽 신북은 가장 공통적인 loons호와 북부 미국과 캐나다에서 다른 수로, 뿐만 아니라 Greenland,[30]의 아이슬란드에서 스발바르에서 1월 5월에 남부 지역에서 살고 있다.앙,노르웨이의 베어 아일랜드, 그리고 알래스카에서는 서쪽으로, 그리고 스코틀랜드에서는 매우 드물게 동쪽으로는.[2]그들의 여름 서식지는 숲이 우거진 호수에서 툰드라 연못까지 다양하다.호수는 비행 이륙하기에 충분히 크고, 많은 수의 작은 물고기들을 제공한다.[30]따뜻한 표층수, 생물학적 생산성이 상대적으로 낮고 어획물이 보기 쉬운 탁도가 낮은 깊은 호수는 새끼 사육에 더 성공하는 서식지다.[31]포식자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흔한 황무지는 비둘기가 있는 호수를 선호한다.[32]그들은 북극 해안을 방문하는 드문 방문객들이다.[33]이들은 번식지 충성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34]

대부분의 이주자들이 아이슬란드에 일년 내내 남아 있는 흔한 황무지가 있다.북아메리카에서는 주로 북대서양과 북동 태평양 연안을 따라 겨울을 나는데, 이주하는 동안 많은 사람들이 오대호에서 멈췄다.[2]그들은 일출 후 약 2시간 후에 시작해서 해발 1500~2700m의 고도에서 대류적이고 난류적인 공기 층 위로 비행하면서 낮에 이동한다.[35]겨울에는 바하 캘리포니아, 소노라, 시날로아 북부, 텍사스 남부, 그리고 드물게 타마울리파스 북부까지 북미 해안에서 볼 수 있다.[36][37]동쪽에는 서유럽 해안을 따라 수천 개의 겨울이 있는데 아마도 아이슬란드, 그린란드, 캐나다에서 유래했을 것이다.[2]그들의 범위는 핀란드에서 포르투갈까지, 그리고 스페인 남부와 북서부(갈리시아와 아스투리아스), 카탈루냐에서 벗어난 지중해 서부와 아프리카의 모로코까지 뻗어 있지만, 이베리아까지 남쪽으로 몇 백 명밖에 가지 않는다.[1][2][37]월동지의 충실도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매년 태평양(모로 베이), 멕시코 만(바라타리아 베이), 대서양(매릴랜드매사추세츠), 저수지의 같은 월동지로 돌아오는 성인들의 모습이 관찰된다.[34]

그들은 보통 해안을 따라 내륙 호수의, 흡입구 bays, 새들의 물이 붙여지는 겨울에 얼지 않을 것이다 가장 가까운 몸으로의 이주와 함께 streams,[30]:서부 캐나다 loons 태평양으로, 오대호 loons 멕시코 만 지역의, 대서양 연안 동부 캐나다의 loons 보시면, 큰 내륙 호수 일부 loons고 res.ervoirs.[32] 그들은 미국의 대부분의 내륙 해역에서 나타난다.사우스캐롤라이나 해안, 플로리다 팬핸들과 인접한 걸프 해안, 매사추세츠에서 메인까지 대서양 연안에는 가장 높은 농도의 일반적인 황토들이 있다.[38]멕시코 내륙, 산루이스 포토시, 코아후일라, 남부 치아파스, 오악사카 등에서도 가끔 부랑자들이 기록된다.이들은 일본 북부와 태평양 서북부의 사령관 제도, 서인도 제도의 쿠바에서 우발적인 것이다.[2]

행동

이 새끼는 전문 낚시꾼으로, 60미터(200피트) 깊이까지 잠수하여 물속에서 먹이를 잡는다.[26]큰 물갈퀴로 만든 발과 함께, 이 흔한 룬은 효율적인 수중 추격 포식자와 능숙한 다이빙 선수다.비행 이륙에 탄력이 붙으려면 긴 런업 거리가 필요하며, 육지에서 볼품없이 배를 타고 미끄러지며 다리로 몸을 앞으로 민다.육지에서의 그것의 엉성함은 다리들이 몸 뒤쪽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골반 근육은 잘 발달되어 있고 [39]수영에는 이상적이지만 걷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그것이 물에 착륙하면, 그것은 너무 뒤로 떨어져 있기 때문에 발로 제동하기보다는 속도를 늦추기 위해 배를 따라 미끄러진다.그 흔한 암탉은 헤엄치고 다이빙을 잘하며, 이주 중에 수백 킬로미터를 능숙하게 날아다닌다.그것은 목을 뻗고 날아다니는데, 보통 날아다니는 망토를 식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특정한 떨림을 부른다.이동 중 비행 속도는 시속 120km(75mph)나 된다.[26]특히 번식기에는 오리와 거위를 포함한 다른 물새들과 자주 영토 분쟁을 벌이며 경쟁자와 침입자를 공격하거나 그들의 영토로 쫓아낼 것이다.[40][41]

먹이 주기

포아징

물고기는 보통 부랑자 식단의 약 80%를 차지한다.그것은 길이가 26 cm(10 in)에 이르는 물고기에 포리지로, 빨치산, 전어, 전어, 전어, 전어, 전어, 에일라, 북부 파이크, 백어, 소거, 갈색 황소머리, 호박씨, 버봇, 월레예, 블루길, 흰 크레이피, 검은 크레이피, 무지개 향, 킬리피쉬를 포함한다.[42]젊은이들은 전형적으로 작은 부엉이를 먹으며, 때로는 곤충과 푸른 초목의 파편을 먹는다.[43]담수 식단은 주로 파이크, 팽이, 선어, 송어, 베이스로 구성된다. 소금물 식단은 주로 암어, 플런더, 송어, 청어, 대서양 사기꾼, 해덕, 걸프만 은반사이드로 구성된다.물고기가 부족하거나 잡기 어려울 때는 갑각류, 가재, 달팽이, 거머리, 곤충 애벌레, 연체동물, 연체동물, 개구리, 아넬리드 등을 먹으며, 때로는 연못재, 뿌리, 이끼, 버드나무 새싹, 씨, 조류 등의 수생식물 물질을 먹이로 한다.[2][32][44]또한 새끼 오리를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4]

흔히 볼 수 있는 룬은 강력한 뒷다리를 이용해 빠른 속도로 물속에서 몸을 밀어 먹이를 잡는데, 그 다음에는 머리부터 삼킨다.만약 물고기가 일반적인 어금니를 피하려고 하면, 그 새는 엄청나게 강한 다리로 인해 뛰어난 수중 기동성으로 어금니를 따라 내려간다.[32]대부분의 먹이는 물속에서 삼켜지고, 그 곳에서 잡히지만, 어떤 큰 먹이는 먼저 수면 위로 떠오른다.시각적 포식자여서 물이 맑다는 것은 사냥 성공에 필수적이다.[43]보통 4~10m(13~33ft) 잠수하지만 70m(230ft)까지 잠수하도록 기록돼 있다.[2]평균 잠수 시간은 42초지만 물속에서 보내는 최대 지속시간은 약 1분(60초)이다.[26][2]

사육

미국 메인주의 물가에 있는 둥지.
달걀

일반적인 부랑자의 짝짓기 체계는 연속적으로 일부일처제다; 번식 쌍들은 큰 호수 안에 있는 작은 호수 전체나 보호만으로 이루어진 영역을 공동으로 방어한다.[45]주어진 수컷과 암컷은 번식 시도 내내 함께 남아서, 그들 자신의 생물학적 자손을 기르고,[46] 매년 봄에 재결합하며, 여러 해 연속적으로 함께 번식할 수 있다.그러나 같은 성의 침입한 룬에 의해 한 쌍의 멤버가 죽거나 한 쌍의 멤버가 영토 퇴거하는 경우, 다른 쌍의 멤버는 재빨리 퇴거하는 새와 짝을 맺는다.([47]헨스, 대부분의 성인 룬은 일생 동안 둘 이상의 다른 짝을 가지고 있다.)퇴거하는 개인은 젊은 남녀(5~9세)인 반면 퇴거한 성인은 15세 이상인 경우가 많다.[48][49]

한 쌍은 겨울 동안 함께 머물지 않는다;[2][18] 게다가, 수컷은 보통 암컷보다 며칠에서 몇 주 정도 앞질러 봄철 이주 동안에 그들의 호수의 일부가 얼지 않게 되면 그들의 호수에 정착한다.[50]교배는 종종 둥지 부지에서 알을 낳을 때까지 매일 반복되는 해안에서 일어난다.이전의 구애는 상호 청구서 작성과 다이빙으로 매우 간단하다.[51]bow-jumping (펜싱과 지폐를 넘기는[11] 자세의 교대)와 rushing ("이륙할 때와 거의 같은 속도로 날개를 접거나 반을 뻗고 펄럭이며 표면을 따라 달리는")[52]과 같은 침입자를 향한 디스플레이는 종종 구애로 오해된다.[44]

둥지는 일반적으로 5월 초에 시작한다.[53]본토 해안선보다 섬에서 훨씬 더 많은 보금자리가 발견된다.[54]사육 쌍들은 심지어 밤에도 정기적으로 그들의 영역을 순찰하며 물리적으로나 소리내어 그 지역을 방어한다.[55][56]지난 해에 함께 둥지를 튼 쌍들은 일반적으로 새끼들을 성공적으로 부화시킨다면 전년도의 둥지 부지를 재사용한다.이와는 대조적으로, 맹수에게 알을 잃은 쌍들은 보통 둥지를 새로운 장소로 옮긴다.[57]이러한 논리적 행동 패턴은 수컷에 의존하는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작년 수컷과 전년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암컷으로 구성된 번식 쌍이 계속해서 그 행동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작년의 암컷과 새로운 수컷으로 구성된 쌍은 전년도 a의 성패에 상관없이 새로운 둥지 사이트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둥지 부지 선택에 있어서 남성의 주도적인 역할에도 불구하고, 두 성별은 둥지 건설에 실질적으로 기여한다.[57][32]둥지는 넓이가 약 56cm(22인치)로, 죽은 습지풀과 다른 토착식물로 지어졌으며, 3.7ha(9.1에이커)가 넘는 호수의 식물성 해안을 따라 봉우리로 형성되었다.[19][32]늦봄에 일주일 동안 공사를 한 후, 한 부모가 그 위에 올라 둥지 내부를 몸 모양으로 만든다.[32]다수의 연구에 따르면, 둥지 성공률은 평균 약 40%이며, 대부분의 갓 부화한 젊은이들은 부모의 보살핌으로 인해 살아남는다.[58]

첫 번째 손아귀에서 나온 알은 보통 5월이나 6월 초에 낳는데, 그 시기는 주로 호수가 얼지 않고 살 수 있게 된 날짜에 달려 있다.[32]클러치는 짙은 갈색의 반점이 있는 올리브 갈색 타원형 알 두 개로 구성된다.[19]부화는 남녀가 공동으로 진행하며 약 28일간 지속된다.[18][43]룬은 종종 성인들이 포식자가 접근하면 빠르게 물속으로 잠수할 수 있는 가파른 호수 해안선을 따라 둥지를 틀곤 한다.[59]알의 길이는 약 88mm(3.5인치)이고 폭은[32] 55mm(2.2인치)이며 알 두 개를 1~3일 간격으로 낳아 비동기식으로 부화한다.[42][58]

새로 부화한 병아리들은 짙은 초콜릿 갈색이고 흰 배를 가지고 있다.부화 후 몇 시간 안에 새끼들은 부모들과 함께 둥지를 떠나기 시작하고, 가까이 헤엄쳐 다니기도 하며 때때로 부모들의 등에 올라타기도 한다.[32]부모들과 병아리들은 처음에는 얕고 고립된 공간에 머물며, 그곳에서 부모들은 병아리들이 그들의 주요 포식자인 독수리와 침입하는 것을 더 잘 방어할 수 있다.[59][60]남자 부모들은 주로 영역 요들콜로 싱글톤 병아리보다 두 마리의 병아리로 구성된 새끼 곰을 더 강력하게 방어한다.[60]병아리들은 첫날부터[61] 얕은 다이빙을 할 수 있지만 자라면서 더 깊은 다이빙을 할 수 있다.[18]새끼를 낳는 데는 70~77일이 걸린다.[2]보통 한 마리의 새끼만 기른다.[32]두 부모는 모두 새끼들에게 부화에서 도태까지 살아있는 먹이를 먹인다.그들이 자라면서 병아리들은 그들 스스로 점점 더 많은 식단을 잡을 수 있다; 비록 많은 청소년들이 이 나이를 훨씬 넘어 어른들로부터 구걸을 계속하지만, 그들은 약 두 달 후에 스스로 먹고 살 수 있다.어버이들은 작은 물고기를 잡아 지폐에 가로로 들고, 병아리들이 잡을 수 있도록 고개를 숙인 채 병아리들에게 전화를 걸어 다가간다.[61]만약 식량이 부족하면, 큰 병아리는 작은 동생을 끊임없이 쪼을지도 모른다; 제한된 식량을 가진 작은 호수에서, 오직 한 병아리만이 살아남는 경우가 종종 있다.[62]청소년들은 부모로부터 몇 주 후인 가을에 얼음이 형성되기 전에 번식지를 떠난다.[19]병아리 두 마리를 키우는 한 쌍의 암탉이 번식지에서 보낸 5개월 반 동안 423kg의 물고기를 먹고 사는 것으로 추정된다.[61]

해비타트 선발

암탉들은 그들의 나태한 것과 비슷한 호수에서 사육자로 정착하는 경향이 강한데, 이것은 나태 서식지라고 불리는 현상이다.이 선호도는 크기와 pH라는 두 가지 호수 속성에 기초한다.[63]이 행동은 어리둥절하다. 왜냐하면 그것은 중성 pH의 큰 호수에서 부화한 것과 같이 작고 산성적인 호수에서 부화한 돌맹이에서도 강하기 때문이다.따라서, 전자는 병아리 사망률이 더 높고 번식 성공률이 더 낮은 호수에 대한 적극적인 선호도를 보이고 있다.[62][63]

발성

흔히 볼 수 있는 룬은 다양한 발성을 내는데, 그 중 가장 흔한 것은 떨림, 요들, 울부짖음, 후루트 등이다.이들 각각의 통화는 서로 다른 메시지를 전달한다.목소리를 내는 빈도는 시간, 날씨, 계절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5월 중순에서 6월 중순 사이에 가장 보컬이 활발하다.통곡, 요들, 그리고 트레몰로 통화는 낮보다 밤에 더 자주 울리고, 또한 추운 날씨와 비가 거의 내리지 않을 때 더 자주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64]

"웃는" 전화라고도 불리는 떨림 전화는 짧고 흔들림 없는 품질로 특징지어진다.그것은 종종 영토 분쟁이나 인식된 위협에 의해 야기된 고통이나 경보를 신호하기 위해 이 전화를 사용한다.[64]다소 높은 음(hu)-heheheheheheheha 10개까지 떨림 시리즈를 발산한다.[2]그것은 또한 다른 사람들이 호수에 도착했을 때, 종종 그들이 머리 위를 날고 있을 때, 그것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 그 떨림을 사용한다.비행에서 사용되는 유일한 발성법이다.[65]트레몰로 호출은 루온의 조난 수준과 상관되는 세 가지 수준의 강도를 가지며, 통화에 더해지는 점점 더 높은 피치 주파수에 의해 유형이 구별된다.[66]

요들(Yodel)은 수컷만이 하는 길고 복잡한 호출이다.영토경계 설정과 영토대립에 사용되며, 통화기간은 노랑이의 침략 수준에 해당한다.[67]요들 내 우세한 빈도는 신체 질량과 그에 따른 남성의 건강을 나타낸다.[68]새로운 영역을 차지하는 수컷이 이전 영토 주인의 부름과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요들(요들)을 바꾸는 것으로 보인다.[69]

망아지의 울부짖음은 최대 3개의 음으로 구성된 긴 호출로 늑대울부짖음에 비유되는 경우가 많다.그것은 자신의 위치를 다른 바보들에게 전달하기 위해 이 전화를 사용한다.이 호출은 교신을 유지하거나 분리 후 더 가까이 이동하기 위해 사육 쌍이나 성충과 병아리를 왔다 갔다 한다.[65]그것은 시끄러운 aaoo, weee-wee-wee-wee-wee,[2] 또는 oo-aah-éée.

그 호는 짧고 부드러운 통화로 또 다른 형태의 연락 통화다.통곡보다 더 친밀한 통화로, 소가족 집단이나 양떼 사이에서만 전용으로 사용된다.[64]보통 사람들은 다른 가족이나 양떼들에게 그것이 어디에 있는지 알려달라고 야유한다.이 전화는 어른 얼간이들이 먹이를 주기 위해 새끼들을 소환할 때 자주 들린다.[65]

장수 및 말단 투자

대규모 연구 인구를 표시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율적인 캡처 프로토콜의 구현으로 인해 지난 20년 동안 수명과 생존율에 대한 상당한 정보가 수집되었다.[70]대략적인 예비 분석 결과, 남녀 공용 룬은 20대 중반까지 연 90% 이상의 비율로 생존하지만 그 이후에는 [45]약 75%의 생존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러나 두 번째로 정밀하게 분석한 결과 수컷 암탉은 15세부터 사망률, 영역 손실 증가, 하체 상태를 보이기 시작했다.[49]아마도 그들의 신체적인 쇠퇴에 대응하여, 15세 이상의 남성들은 영토 침략과 영토 발성 둘 다의 증가율을 보인다.이러한 나이와 관련된 행동의 변화는 말기 투자, 즉 죽기 전 1~2년 더 번식할 수 있는 동물을 노화시키는 데 나타나는 "파산을 위한 시도" 전략인 것으로 해석된다.[49]

포식자와 기생충

대머리 독수리가 인큐베이팅하는 새들을 공격하겠지만, 다 자란 흔한 암탉은 포식자가 거의 없다.겨울철 상어의 공격도 기록돼 있다.[18]포식자가 다가오면(거북이 둥지나 망울 그 자체) 흔한 망울은 포식자의 복부나 머리나 목덜미를 향해 공격을 겨누어 맹수에게 여우나 너구리만한 크기의 포식자에게 치명적일 수도 있는 단검 같은 지폐로 맹수를 향해 돌진하여 찌르려고 하는 등 포식자를 공격하기도 한다.[71]

알은 미국 밍크, 줄무늬 스컹크, 수달, 여우, 너구리를 포함한 많은 포유류들이 가져가고 있으며, 후자는 모든 둥지 실패의 거의 40%를 책임지고 있다.청어 갈매기, 북부 까마귀, 미국 까마귀와 같은 새들은 무인 알을 먹을 것이다.그들의 둥지는 물가에 있기 때문에, 흔한 룬 알은 어른이 없을 경우 특히 취약하다.[18]

병아리는 보통 때리는 거북이, 큰 갈매기, 대머리 독수리, 북방 파이크, 큰 입 베이스와 같은 큰 물고기에 의해 죽을 수 있다.특히 독수리는 병아리의 중요한 포식자다.[18]

보통 암탉의 내부 기생충은 평충, 테이프벌레, 네마토드, 가시가 있는 머리벌레를 포함한 많은 종류의 벌레를 포함한다.[72]높은 수준의 벌레는 생선의 이용가능성이 낮아 먹이 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질병과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73]에이메리아 가비아[74] 의한 감염과 조류 말라리아에 의한 감염을 포함한 원생동물 감염이 이 암자에 기록되어 있다.[75]검은 파리 시물륨 아눌루스는 시각적, 촉각적 단서뿐만 아니라 우엽선 분비물의 화학 물질에 끌리는 공통 loon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이 파리는 그들이 선호하는 숙주인 어금니에게 해롭고, 혈액에 의한 기생충과 바이러스를 전염시키고, 숫자가 많을 때 둥지를 포기하게 한다.[76][77]외부 기생충은 비록 새의 머리에서는 발견되지 않지만, 이스치노케란 깃털 이스를 포함한다.[78]

감염된 생선을 먹음으로써 얻은 보툴리즘은 마비나 익사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아스페르길루스는 쇠약과 죽음의 또 다른 원인이다.[79]발병은 때때로 수천 명의 죽음으로 이어진다.[43]

상태 및 보존

1998년 이후, 이 흔한 암탉은 IUCN 멸종위기종 적색목록에서 가장걱정되는 종으로 평가되어 왔다.이는 사거리가 2만 km2(7,700 sq mi) 이상이며, 취약한 등급이 보장되지 않는 안정적인 인구 추세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인구 규모도 62만2000명에서 64만명에 이른다.추정 번식 인구는 유럽에서는 1,400명에서 2,600명에 이른다.[1]북미의 사육 인구의 절반 이상이 9만7000개의 영토 쌍을 가진 온타리오와 5만개의 영토 쌍을 가진 퀘벡에서 발견된다.약 2,400명의 개인이 캐나다의 각 해안 지역인 Nova Scotia와 New Brunswick에서 발생한다.브리티시 컬럼비아는 2만 5천 개의 영토 쌍을 차지한다.캐나다 북부 먼 곳에서는 약 5만 쌍의 영토 쌍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알버타 , 매니토바 주, 사스카체완 주의 프레리 주에서는 12,500~1만 5천 개의 영토 쌍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미국에서 가장 많은 번식 인구는 3,600에서 6,000개의 영토 쌍을 가진 알래스카에 존재한다.미국 오대호 지역은 5,900에서 7,200개의 영토 쌍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미국 사육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미국 북서부 워싱턴, 아이다호, 몬태나, 와이오밍 주에는 약 100개의 영토 쌍이 있다.약 2,250개의 영토 쌍이 뉴잉글랜드와 뉴욕에서 발견된다.겨울에는 영국에서 3,500명에서 4,500명의 사람들이 발견되고, 심지어 서유럽 해안선과 아이슬란드에서 더 적은 수의 사람들이 발견된다.태평양 연안을 따라 약 18만4000~18만9000명, 3만1000~3만2000명의 청소년이 발견되고, 대서양 연안을 따라 42만3000~44만6000명, 7만2000~7만6000명의 청소년이 발견된다.[18]

공동의 룬은 철새 보호에 관한 협약의 부록 II와 유럽연합(EU) 조류지침에 따른 제1조에 열거되어 있다.[1]아프리카-유라시아 철새보전협정(AEWA)이 적용되는 종 중 하나이다.[80]유럽에서는 아일랜드, 스발바르, 노르웨이 본토, 아이슬란드, 스페인, 영국을 포함한 20개의 중요한 조류 지역(IBA)에 나타난다.또한 EU 나투라 2000 네트워크의 83개 특별보호구역에 등재된 종이다.[1]USDA 국립산림청은 이 공유지를 특별한 지위의 종으로 지정했으며, 후론-마니스티, 오타와, 히아와타 국유림의 상류 그레이트호 지역에서는 이 지역의 산림 민감 종으로 지정했다.[81]

상태 및 보존에 대한 위협

수은과 산성비 오염이 건강과 브레드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일반 룬은 먹이 사슬 상단의 위치 때문에 수생 환경에서 수은 침적을 나타내는 핵심 지표다.[82]수생환경의 수은농도 상승의 주원인은 석탄화력발전소, 폐기물 소각, 금속생산이다.[83]환경 수은(Hg)이 자연적으로 발생하고 있지만 메틸머큐리(MeHg)는 미국 북동부 수생 환경 전반에 걸쳐 축적되는 생물학적으로 독성이 강한 형태다.[84]신경독인 메틸머큐리는 일반 룬에 대한 행동, 생식, 생존 효과가 광범위하다는 것이 밝혀졌다.[85]이전 연구에서는 수은 수치와 pH 사이의 상관관계를 밝혀냈으며, 더 많은 산성 수생 환경이 메틸머큐리 농도 상승의 가장 높은 위험에 처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86]일단 수은이 물에 들어가면, 그것은 물고기에 의해 잡히고 먹이사슬 전체에 퍼진다.[83]이러한 수은의 전달로 인해, 물고기들의 수은 수치와 수컷, 암컷, 그리고 병아리 피 속의 흔한 암탉의 수은 수치 사이에는 상당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 결과적으로, 흔한 암탉과 물고기의 혈액 내 수은 농도의 증가는 국소 수생 pH의 감소와 함께 나타났다.[87]최근 몇 년간 산성화 배출량이 감소했지만 기후 변화로 인해 이들 호수에서 생물학적 회복이 제한적이었다.[88]연구 결과에 따르면 따뜻한 여름 기온이 산성화된 호수에서 냉수 어종의 재확립을 억제할 수 있고 여름 기온 상승으로 인한 가뭄은 호수를 산성화할 수 있다고 한다.[88]

비록 일반 룬이 알을 털고 낳음으로써 메틸머큐리 수치를 낮출 수 있지만, 메틸머큐리 수치가 높아진 어류의 지속적인 섭취는 이러한 메커니즘이 효과적으로 메틸머큐리 수치를 낮추는 것을 막는다.[85]수은 농도는 흔한 베틀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수컷은 수은 농도가 높은 큰 물고기를 먹는 경향이 있어 혈액 수은 농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89]암컷은 두 번째로 높은 혈중 수은 농도를 가지고 있었고, 암컷은 그들이 낳은 알로 수은을 방출할 수 있다는 사실 때문에 수컷들 사이의 차이 때문일 것이다.[87]청소년들의 혈중 수은 농도가 가장 낮았다.[90]과학자들은 청소년들의 데이터가 그들이 그들의 나태 지역에서만 공급되기 때문에 지역 수은의 이용 가능성을 가장 잘 나타내는데 도움을 주었다는 것을 발견했다.[87]

높은 수준의 수은은 특히 더 높은 농도의 성인용 베틀 사이에서 포획과 브로딩 행동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90]연구 결과 메틸머큐리의 높아진 수치는 무기력증과 관련이 있으며 성인용 베틀에서 먹이를 찾는 시간이 줄어든다는 사실이 밝혀졌다.[82]아디론댁 산맥에서 행해진 다른 연구는 메틸머큐리의 상승된 레벨이 성인용 침팬지의 다이빙 빈도 감소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91]한 연구에서는 여성의 혈액 수은 수치가 4.3μg/g를 초과했을 때 브로드 생산성이 절반으로 감소했고 여성의 혈액 수은 수치가 8.6μg/g을 초과했을 때 생산성이 완전히 떨어졌다는 사실이 밝혀졌다.이러한 결과는 각각 0.21μg/g와 0.41μg/g의 어류 수은 수치와 관련이 있다.[90]과학자들은 수은 수치와 pH가 상관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pH가 약 4.5에서 pH가 있는 환경이 계산된 양성 성장 임계치 이하로 생식 성공이 나타날 정도로 pH 감소에 따라 브로드 성공이 감소한다는 것을 발견했다.[88]높아진 혈중 메틸머큐리 수치와 이상 배양 패턴 사이의 연관성도 관찰되었다.[82]메틸메르쿠리 수치가 높은 성인용 룬은 사육과 보금자리 안에서 보내는 시간이 줄어들어 포식 및 알 과열/과잉의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82]함께, 메틸머큐리 수치가 높아진 것이 육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병아리 생존율을 낮추는 데 기여할 수 있다.메인주와 뉴햄프셔의 한 연구는 부모들의 높은 수준의 메틸머큐리가 새끼들의 수의 현저한 감소와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가장 높은 위험 그룹의 보통 암탉들은 메틸머큐리가 낮은 일반 암탉들보다 41% 적은 수의 새끼를 낳는다.[82]

아디론댁 산맥의 수성 퇴적

아디론댁 산맥의 흔한 황무지는 특히 호수의 산성도가 환경 수은을 메틸머큐리로 바꾸는데 도움이 되는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메틸머큐리의 영향을 받는다.[84]한 연구에 따르면 표본 추출된 수컷 아디론댁의 21%와 암컷 아디론댁의 8%가 행동이나 생식 이상과 같은 해로운 영향을 받을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84]아디론댁에서는 메틸머큐리의 생체적응인자가 먹이사슬을 높여 메틸머큐리의 해로운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84]공간 분석 결과 산성비의 영향을 많이 받는 호수가 있는 지역인 아디론댁 남서쪽에서 수생 수은 농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86]아디론댁 룬센터와 아디론댁 협동 룬 프로그램 같은 단체들은 아디론댁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대중을 참여시키고 공공정책을 알리는 등 보존 노력을 주도하고 있다.[85]

번식 범위 감소

이 종은 한 세기 전 아이오와주만큼 남쪽으로 번식하면서, 이 종은 북쪽으로 이동했다.[92]또한 산성비와 오염에 의해 악영향을 받고, 낚시 싱크대(특히 그들이 섭취하는[93] 그릿석 정도의 크기)에서 나오는 납 중독과 산업 폐기물로 인한 수은 오염도 악영향을 받는다.[94]수은 등 중금속은 배설이나 깃털 퇴적 등 생물학적 과정을 통해 부분적으로 제거할 수 있지만 간 등 장기의 유독성분 집중을 통해 부작용이 확대된다.달걀 껍질은 또한 금속 오염물을 함유하여 낮은 생식 생산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95]높은 수준의 중금속은 암탉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것과 연관되어 있으며,[96] 수컷은 더 큰 물고기를 먹기 때문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43]

또한 사냥, 포식, 수위 변동, 또는 홍수로 인해 사육 범위가 감소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일부 환경론자들은 뗏목의 번식지 배치를 통해 지상 포식 및 수위 변동 등 일부 위협의 영향을 완화함으로써 보금자리 성공률을 높이려 한다.[97]또한, 댐과 그 밖의 인간 활동에 의한 수위변화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일부 호수의 공동 거름에 인공 부유 보금자리 플랫폼을 제공하였다.[98]보통 룬은 해안선 개발로 인해 적절한 보금자리 서식지를 제공하지 못하는 호수를 버린다.그것은 새로 태어난 병아리를 익사시키고, 알을 씻어내거나 늪 둥지를 틀 수 있는 개인 수상기와 파워보트에 의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92]엑손 발데즈 기름 유출의 결과로 알래스카에서는 여전히 "유입된" 종으로 간주되고 있다.[81]

문화에서

카셀의 새 책, ca 1875

캐나다 화폐에는 1달러짜리 "loonie" 동전과 이전 시리즈인 20달러 지폐를 포함한 일반적인 지폐가 등장한다.[99]그것은 온타리오 지방의 새다.[100]1961년 미국 미네소타 주의 주 조류로 지정되었으며,[101] 미네소타 주 쿼터에도 등장한다.[102]

민속학

그 흔한 바보의 목소리와 외모는 몇몇 미국 원주민 이야기에서 그것을 두드러지게 만들었다.세상을 창조한 얼간이의 오지브웨 이야기와 부족의 영웅 글루캅(글루스캅)의 특별한 전령이었던 얼간 쿠에무(Kwee-mo)를 묘사한 마이크로맥 사화가 그것이다.[103][104]그 바보의 목걸이에 대한 이야기는 태평양 연안 사람들 사이에서 많은 버전으로 전해져 내려왔다.[105]북아메리카 동쪽에 있는 델라웨어시베리아 부랴트족도 그 망토와 관련된 창조적인 이야기를 가지고 있었다.[106]

보통 룬의 민속 이름으로는 "큰 룬", "콜업 어 스톰", "그린헤드", "헬 디버", "월문", "검은 룬", "검은 룬", "귀네아 오리", "임버 다이버", "고리 룬",[107] "엠버구스" 등이 있다.[108]뉴잉글랜드에서 온 옛 구어적 이름은 폭풍우가 몰아칠 것이라고 생각되는 그것의 시끄러운 울음소리에 의해 폭풍우였다.[109]아르란 매와 카라라와 같은 몇몇 스코틀랜드의 옛 이름들은 새의 부름을 나타내는 스코틀랜드 게일어의 옛 이름들의 부패한 것이다. 주교나 엠버 거위와 같은 다른 이름들은 때때로 잘 알려지지 않은 이 새의 더 오래된 이름들을 피하기 위해 사용되었다.[110]

흔히 볼 수 있는 룬은 신석기 시대부터 18세기까지 스코틀랜드 제도에서 먹혔으며, 피부 밑의 두꺼운 지방층이 좌골신경통 치료제로 사용되었다.[106]

대중문화

새는 아서 랜섬의 어린이 소설 그레이트 노던의 줄거리의 중심이다.이 이야기는 '외부 헤브리데스'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데, 주인공들은 휴가를 보내는 아이들 모임으로, 한 쌍의 잠수부들이 그곳에 둥지를 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조류 독후감을 확인하면서, 그들은 이 잠수부들이 훌륭한 북부 잠수부라고 믿는다.하지만, 이것들은 이전에 스코틀랜드 북부에 둥지를 튼 것으로 보여지지 않았고, 그래서 그들은 조류학자에게 도움을 요청한다.그는 이 새들이 정말로 북쪽의 큰 새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불행히도, 그가 단지 관찰하기를 바라는 것이 아니라, 알을 훔쳐서 그의 수집품에 더하기를 원한다는 것을 곧 알게 된다. 그리고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먼저 새들을 죽여야 한다.1947년에 출판된 이 이야기는 후자의 취미가 해롭다고 널리 여겨지지 않았던 시기에 자연보호론자들이 난자 수집가보다 궁극적인 승리자들이라는 것이다.[111][112]

메이저 리그 축구 클럽 미네소타 유나이티드 FC는 마스코트뿐만 아니라 그 꼭대기와 별명에 그 망토를 사용한다.[113]

영화들

룬의 통곡소리는 영화와 텔레비전에서 광야와 서스펜스를 불러일으키기 위해 널리 사용되며,[114] "올드 데빌 문"과 같은 노래에서 언급된다.[106]

1981년 영화 '황금 연못 위에'에서 루온들이 눈에 띄게 등장한다.[115]이 독특한 소리는 또한 코난바바리안, 아웃 오브 아프리카, 소대, 기니베어, 해리포터와 아즈카반죄수, 릭과 모티, 워치맨, 고질라, 쿠보, 투 스트링, 어벤져스에서도 나타났다. 인피니티 워, 펫 세마타리, 1917년, 어벤져스: 엔드게임, 그 중에서도.[116][117][118]

2016년 픽사 영화 '도리찾아서'에서 베키라는 이름의 얼빠진 얼간이가 양동이를 이용해 주인공인 네모와 말린 두 명의 해양 생물 학원에 들어가도록 설득당했다.[119]

메모들

  1. ^ 예를 들어, 1951년 영국 버드 기사

참조

  1. ^ a b c d e BirdLife International (2018). "Gavia immer".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8: e.T22697842A132607418. doi:10.2305/IUCN.UK.2018-2.RLTS.T22697842A132607418.en. Retrieved 19 November 2021.
  2.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Carboneras, C; Christie, D.A.; Garcia, E.F.J. (2016). del Hoyo, Josep; Elliott, Andrew; Sargatal, Jordi; Christie, David A.; de Juana, Eduardo (eds.). "Common Loon (Gavia immer)".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Alive. Lynx Edicions. Retrieved 7 November 2016.
  3. ^ Lovette, Irby J.; Fitzpatrick, John W. (2016). Handbook of Bird Biology. New York, NY: John Wiley and Sons. p. 13. ISBN 978-1-118-29104-7.
  4. ^ Boertmann, D. (1990). "Phylogeny of the divers, family Gaviidae (Aves)". Steenstrupia. 16 (3): 21–36.
  5. ^ Gill, Frank; Donsker, David, eds. (2018). "Loons, penguins, petrels". World Bird List Version 8.2.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April 2020. Retrieved 12 November 2018.
  6. ^ Brünnich, Morten Thrane (1764). Ornithologia Borealis (in Latin). Hafnia (Copenhagen): J.C. Kall. p. 38.
  7. ^ Shufeldt, R.W. (1914). "On the oology of the North American Pygopodes" (PDF). The Condor. 16 (4): 169–180. doi:10.2307/1362079. JSTOR 1362079.
  8. ^ International Commission on Zoological Nomenclature (1957–58). "The family-group names "Gaviidae" Coues, 1903 and "Urinatoridae" (correction of "Urinatores)" Vieillot, 1818 (Class Aves) – "Opinion" 401 and "Direction" 75". Bulletin of Zoological Nomenclature. 15A: 147–48.
  9. ^ Jobling, James A. (2010).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London: Christopher Helm. pp. 171, 203. ISBN 978-1-4081-2501-4.
  10. ^ 존스가드 1987, 페이지 94.
  11. ^ a b 존스가드 1987 페이지 107.
  12. ^ "Diver". Oxford English Dictionary (Online ed.). Oxford University Press. (가입 또는 참여기관 회원가입 필요)
  13. ^ "Loon". Oxford English Dictionary (Online ed.). Oxford University Press. (가입 또는 참여기관 회원가입 필요)
  14. ^ Wood, William (1865) [1634]. Wood's New-England's Prospect. Boston: Prince Society. p. 34.
  15. ^ "Loom". Oxford English Dictionary (Online ed.). Oxford University Press. (가입 또는 참여기관 회원가입 필요)
  16. ^ 록우드 1984, 페이지 97.
  17. ^ Brodkorb, Pierce (1953). "A review of the Pliocene loons" (PDF). Condor. 55 (4): 211–14. doi:10.2307/1364769. JSTOR 1364769.
  18. ^ a b c d e f g h i Evers, D.C.; Paruk, J.D.; McIntyre, J.W.; Barr, J.F. (2010). Poole, A.F. (ed.). "Common Loon (Gavia immer)". The Birds of North America. Cornell Lab of Ornithology.
  19. ^ a b c d e f g h i j Spahr, Robin (1991). Threatened, endangered, and sensitive species of the Intermountain regio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Intermountain Region. pp. 115–116.
  20. ^ a b Evers, D. C., J. D. Paruk, J. W. McIntyre, J. F. Barr(2010년).Common Loon (Gavia immer), 버전 2.0.The Birds of North America (A. F. Poole, Editor)에서.미국 뉴욕 이타카 주 오니톨로지 연구소의 코넬 연구실.
  21. ^ 스토어, R. W.(1988b).Common Loon의 변화(Gavia immer).P가 편집한 1987년 룬 연구 및 관리에 관한 회의의 논문.I. 브이 스트롱, 54-65메러디스, NH: 북미 룬 펀드
  22. ^ Dunning, John B. Jr., ed. (2008). CRC Handbook of Avian Body Masses (2nd ed.). CRC Press. ISBN 978-1-4200-6444-5.
  23. ^ Hunt Jr. G. L. Drew, G. S. Johncke, J. & Piatt, J. F. (2005)알래스카 만에서 해양 조류에 의한 먹이 소비와 에너지 전달.심해 연구 제2부: 해양학 분야의 주제 연구, 52(5-6), 781-797.
  24. ^ a b c d e f g Dunne, Pete (2013). Pete Dunne's Essential Field Guide Companion: A Comprehensive Resource for Identifying North American Birds. Houghton Mifflin Harcourt. p. 89. ISBN 978-0-544-13568-0.
  25. ^ Smith, Nathan D. (2012). "Body mass and foraging ecology predict evolutionary patterns of skeletal pneumaticity in the diverse "waterbird" clade". Evolution. 66 (4): 1059–1078. doi:10.1111/j.1558-5646.2011.01494.x. PMID 22486689. S2CID 42793145.
  26. ^ a b c d "The Uncommon Loon". Wisconsin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Retrieved 2 June 2013.
  27. ^ a b Kaufman, Kenn (2011). Kaufman Field Guide to Advanced Birding: Understanding What You See and Hear. Boston, MA: Houghton Mifflin Harcourt. pp. 171–172. ISBN 978-0-547-24832-5.
  28. ^ Appleby, R.H.; Madge, S.C.; Mullarney, Killian (1986). "Identification of divers in immature and winter plumages" (PDF). British Birds. 79 (8): 365–391.
  29. ^ Gayk, Zach G., 외 (2018)" 공동의 룬(Gavia Immmer: 수생 적응을 위한 증거" BMC Evolution Biology, 18(1)는 2020년 4월 17일에 접속했다.
  30. ^ a b c Snow, David; Perrins, Christopher M., eds. (1998). The Birds of the Western Palearctic (BWP) concise edition (2 volume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p. 8–10. ISBN 978-0-19-854099-1.
  31. ^ Thompson, Stephanie A.; Price, J. Jordan (2006). "Water clarity and diving behavior in wintering common loons". Waterbirds. 29 (2): 169–175. doi:10.1675/1524-4695(2006)29[169:wcadbi]2.0.co;2. JSTOR 4132565.
  32. ^ a b c d e f g h i j k "All About Birds: Common Loon". Cornell Lab of Ornitholog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May 2017. Retrieved 6 August 2017.
  33. ^ Arctic National Wildlife Refuge: final comprehensive conservation plan,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wilderness review, and wild river plans. United States Fish and Wildlife Service, Region 7. 1988. p. 450.
  34. ^ a b Paruk, James D; Chickering, Michael D.; Long, Darwin; Uher-Koch, Hannah; East, Andrew; Poleschook, Daniel; Gumm, Virginia; Hanson, William; Adams, Evan M. (2015). "Winter site fidelity and winter movements in common loons (Gavia immer) across North America". The Condor. 117 (4): 485–493. doi:10.1650/CONDOR-15-6.1.
  35. ^ Kerlinger, Paul (1982). "The migration of common loons through eastern New York" (PDF). The Condor. 84 (1): 97–100. doi:10.2307/1367828. JSTOR 1367828.
  36. ^ Rappole, John H; Blacklock, Gene W. (1994). Birds of Texas: A Field Guide. College Station, TX: Texas A&M University Press. p. 14. ISBN 978-0-89096-545-0.
  37. ^ a b Peterson, Roger Tory; Chalif, Edward L. (1999). A Field Guide to Mexican Birds: Mexico, Guatemala, Belize, El Salvador. Boston, MA: Houghton Mifflin Harcourt. p. 3. ISBN 978-0-395-97514-5.
  38. ^ Garfield, Eagle; Mesa, Gunnison; Pitkin, Moffat; Routt, Rio Blanco; Colorado, Summit Counties (2002). White River National Forest (N.F.), Land and Resource Management Plan: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United States Forest Service. p. 62.
  39. ^ Wilcox, Harry Hammond (1952). "The pelvic musculature of the loon, Gavia immer". The American Midland Naturalist. 48 (3): 513–573. doi:10.2307/2422198. JSTOR 2422198.
  40. ^ Kirkham, Ian R.; Johnson, Stephen R. (1988). "Interspecific Aggression in Loons (Agresión Interespecífica en Somormujos (Gavia spp.))". Journal of Field Ornithology. 59 (1): 3–6. ISSN 0273-8570.
  41. ^ Sperry, Mark L. (25 November 1986). "Common Loon Attacks on Waterfowl". Minnesota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Wetland Wildlife Populations and Research Group: 5.
  42. ^ a b Sandilands, Al (2011). Birds of Ontario: Habitat Requirements, Limiting Factors, and Status: Volume 1–Nonpasserines: Loons through Cranes. Vancouver: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p. 171. ISBN 978-0-7748-5943-1.
  43. ^ a b c d e Gibson, J.W. (2007). "Gavia immer Brünnich Common Loon" (PDF). Michigan Natural Features Inventory. Michigan State University. pp. 1–6.
  44. ^ a b c Eastman, John (2000). The Eastman Guide to Birds: Natural History Accounts for 150 North American Species. Mechanicsburg, PA: Stackpole Books. p. 219. ISBN 978-0-8117-4552-9.
  45. ^ a b Piper, Walter H.; Brunk, Kristin M.; Flory, Joel A.; Meyer, Michael W. (2017). "The long shadow of senescence: age impacts survival and territory defense in loons". Journal of Avian Biology. 48 (8): 1062–1070. doi:10.1111/jav.01393.
  46. ^ Piper, Walter H.; Evers, David C.; Meyer, Michael W.; Tischler, Keren B.; Kaplan, Joseph D.; Fleischer, Robert C. (1997). "Genetic monogamy in the common loon (Gavia immer)". Behavioral Ecology and Sociobiology. 41 (1): 25–31. doi:10.1007/s002650050360. S2CID 33036050.
  47. ^ Piper, Walter H.; Tischler, Keren B.; Klich, Margaret (2000). "Territory acquisition in loons: the importance of take-over". Animal Behaviour. 59 (2): 385–394. doi:10.1006/anbe.1999.1295. PMID 10675261. S2CID 23085958.
  48. ^ Piper, Walter H.; Mager, John N.; Walcott, Charles; Furey, Lyla; Banfield, Nathan; Reinke, Andrew; Spilker, Frank; Flory, Joel A. (2015). "Territory settlement in common loons: no footholds but age and assessment are important". Animal Behaviour. 104: 155–163. doi:10.1016/j.anbehav.2015.03.013. S2CID 53404673.
  49. ^ a b c Piper, Walter H.; Brunk, Kristin M.; Jukkala, Gabriella L.; Andrews, Eric A.; Yund, Seth R.; Gould, Nelson G. (2018). "Aging male loons make a terminal investment in territory defense". Behavioral Ecology and Sociobiology. 72 (6). doi:10.1007/s00265-018-2511-9. S2CID 46956208.
  50. ^ McIntyre, Judith (1988). The Common Loon: Spirit of Northern Lakes.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p. 9. ISBN 978-0-8166-1651-0.
  51. ^ Sjölander, Sverre; Ågren, Greta (1972). "Reproductive behavior of the common loon" (PDF). Wilson Bulletin. 84 (3): 296–308. JSTOR 4160227.
  52. ^ Sjölander, S.; Ågren, G. (1976). "Reproductive behavior of the yellow-billed loon, Gavia adamsii" (PDF). The Condor. 78 (4): 454–463. doi:10.2307/1367094. JSTOR 1367094.
  53. ^ 경련 1977, 페이지 61.
  54. ^ Radomski, Paul J.; Carlson, Kristin; Woizeschke, Kevin (2014). "Common loon (Gavia immer) nesting habitat models for north-central Minnesota lakes". Waterbirds. 37 (sp1): 102–117. doi:10.1675/063.037.sp113.
  55. ^ Paruk, James D. (2008). "Nocturnal behaviour of the common loon, Gavia immer". Canadian Field-Naturalist. 122: 70–72. doi:10.22621/cfn.v122i1.548.
  56. ^ Rodriguez, R. (2002). "Gavia immer (common loon)". Animal Diversity Web.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July 2017. Retrieved 14 July 2017.
  57. ^ a b Piper, Walter H.; Walcott, Charles; Mager, John N.; Spilker, Frank J. (2008). "Nestsite selection by male loons leads to sex-biased site familiarity". Journal of Animal Ecology. 77 (2): 205–210. doi:10.1111/j.1365-2656.2007.01334.x. PMID 17976165.
  58. ^ a b Eastman, John Andrew (1999). Birds of Lake, Pond, and Marsh: Water and Wetland Birds of Eastern North America. Mechanicsburg, PA: Stackpole Books. p. 216. ISBN 978-0-8117-2681-8.
  59. ^ a b McIntyre, Judith W. (1983). "Nurseries: a consideration of habitat requirements during the early chick-rearing period in common loons". Journal of Field Ornithology. 54 (3): 247–253. JSTOR 4512827.
  60. ^ a b Jukkala, Gabriella; Piper, Walter (2015). "Common loon parents defend chicks according to both value and vulnerability". Journal of Avian Biology. 46 (6): 551–558. doi:10.1111/jav.00648.
  61. ^ a b c Barr, J.F. (1996). "Aspects of common loon (Gavia immer) feeding biology on its breeding ground". Hydrobiologia. 321 (2): 119–144. doi:10.1007/bf00023169. S2CID 32804759.
  62. ^ a b Piper, Walter H.; Grear, Jason S.; Meyer, Michael W. (2012). "Juvenile survival in common loons Gavia immer: effects of natal lake size and pH". Journal of Avian Biology. 43 (3): 280–288. doi:10.1111/j.1600-048x.2012.05633.x.
  63. ^ a b Piper, Walter H.; Palmer, Michael W.; Banfield, Nathan; Meyer, Michael W. (2013). "Can settlement in natal-like habitat explain maladaptive habitat selection?".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B: Biological Sciences. 280 (1765): 20130979. doi:10.1098/rspb.2013.0979. PMC 3712445. PMID 23804619.
  64. ^ a b c Mennill, Daniel J. (2014). "Variation in the vocal behavior of common loons (Gavia immer): Insights from landscape-level recordings". Waterbirds. 37 (sp1): 26–36. doi:10.1675/063.037.sp105.
  65. ^ a b c "Loon Vocalizations: What are you hearing and what does it mean?". Vermont Fish and Wildlif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September 2014. Retrieved 27 August 2017.
  66. ^ Barklow, William E. (1979). "Graded frequency variations of the tremolo call of the common loon (Gavia immer)" (PDF). The Condor. 81 (1): 53–64. doi:10.2307/1367857. JSTOR 1367857.
  67. ^ Mager III, John N; Walcott, Charles; Piper, Walter H (2012). "Male common loons signal greater aggressive motivation by lengthening territorial yodels". Wilson Journal of Ornithology. 124 (1): 73–80. doi:10.1676/11-024.1. S2CID 85216811.
  68. ^ Mager, John N.; Walcott, Charles; Piper, Walter H. (2007). "Male common loons, Gavia immer, communicate body mass and condition through dominant frequencies of territorial yodels". Animal Behaviour. 73 (4): 683–690. CiteSeerX 10.1.1.483.1889. doi:10.1016/j.anbehav.2006.10.009. S2CID 43610342.
  69. ^ Walcott, Charles; Mager, John N.; Piper, Walter (2006). "Changing territories, changing tunes: male loons, Gavia immer, change their vocalizations when they change territories" (PDF). Animal Behaviour. 71 (3): 673(11). doi:10.1016/j.anbehav.2005.07.011. S2CID 43750841.
  70. ^ Evers, David (1993). A replicable capture method for adult and juvenile common loons on their nesting lakes. In: 1992 Conference on the Loon and Its Ecosystem. Meredith, NH, USA: North American Loon Fund.
  71. ^ Davies, William E. (2004). "About the cover. Common loon" (PDF). Bird Observer. 32 (3): 202–204.
  72. ^ Daoust, Pierre-Yves; Conboy, Gary; McBurney, Scott; Burgess, Neil (1998). "Interactive mortality factors in common loons from maritime Canada". Journal of Wildlife Diseases. 34 (3): 524–531. doi:10.7589/0090-3558-34.3.524. PMID 9706561. S2CID 24447180.
  73. ^ Klnsella, J.M.; Forrester, Donald J. (1999). "Parasitic helminths of the common loon, Gavia immer, on its wintering grounds in Florida" (PDF). Journal of the Helminthological Society of Washington. 66 (1): 1–6.
  74. ^ Montgomery, Roy D.; Novilla, Meliton N.; Shillinger, Robert B. (1978). "Renal coccidiosis caused by Eimeria gaviae n. sp. in a common loon (Gavia immer)". Avian Diseases. 22 (4): 809–814. doi:10.2307/1589663. JSTOR 1589663. PMID 749899.
  75. ^ Martinsen, Ellen S.; Sidor, Inga F.; Flint, Sean; Cooley, John; Pokras, Mark A. (2017). "Documentation of malaria parasite (Plasmodium spp.) infection and associated mortality in a common loon (Gavia immer)". Journal of Wildlife Diseases. 53 (4): 859–863. doi:10.7589/2016-08-195. PMID 28665230. S2CID 4391165.
  76. ^ Weinandt, Meggin L.; Meyer, Michael; Strand, Mac; Lindsay, Alec R. (2012). "Cues used by the black fly,Simulium annulus, for attraction to the common loon (Gavia immer)". Journal of Vector Ecology. 37 (2): 359–364. doi:10.1111/j.1948-7134.2012.00239.x. PMID 23181860. S2CID 768681.
  77. ^ Piper, Walter H.; Tischler, Keren B.; Reinke, Andrew (2018). "Common loons respond adaptively to a black fly that reduces nesting success". The Auk. 135 (3): 788–797. doi:10.1642/auk-17-239.1. S2CID 90934731.
  78. ^ Rothschild, Miriam; Clay, Theresa (1953). Fleas, Flukes and Cuckoos. A Study of Bird Parasites. London: Collins. p. 153.
  79. ^ Franson, J.C.; Cliplef, David J. (1992). "Causes of mortality in common loons". Proceedings from the 1992 Conference on the Loon and its Ecosystem: Status,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concerns.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pp. 2–12.
  80. ^ "Gavia immer AEW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August 2016. Retrieved 12 July 2017.
  81. ^ a b Tischler, Keren B. (2011). "Species Conservation Assessment for the Common Loon (Gavia immer) in the upper Great Lakes" (PDF). USDA Forest Service, Eastern Region: 1–59.
  82. ^ a b c d e Evers, David C.; Savoy, Lucas J.; DeSorbo, Christopher R.; Yates, David E.; Hanson, William; Taylor, Kate M.; Siegel, Lori S.; Cooley, John H.; Bank, Michael S.; Major, Andrew; Munney, Kenneth (1 February 2008). "Adverse effects from environmental mercury loads on breeding common loons". Ecotoxicology. 17 (2): 69–81. doi:10.1007/s10646-007-0168-7. ISSN 1573-3017.
  83. ^ a b "Threats to Loons". Adirondack Center for Loon Conservation. Retrieved 7 March 2022.
  84. ^ a b c d Schoch, Nina; Glennon, Michale J.; Evers, David C.; Duron, Melissa; Jackson, Allyson K.; Driscoll, Charles T.; Ozard, John W.; Sauer, Amy K. (April 2014). "The Impact of Mercury Exposure on the Common Loon (Gavia immer) Population in the Adirondack Park, New York, USA". Waterbirds. 37 (sp1): 133–146. doi:10.1675/063.037.sp116. ISSN 1524-4695.
  85. ^ a b c Schoch, Nina (1 January 2006). "The Adirondack Cooperative Loon Program: Loon Conservation in the Adirondack Park". Adirondack Journal of Environmental Studies. 13 (2). ISSN 1075-0436.
  86. ^ a b Yu, Xue; Driscoll, Charles T.; Montesdeoca, Mario; Evers, David; Duron, Melissa; Williams, Kate; Schoch, Nina; Kamman, Neil C. (1 October 2011). "Spatial patterns of mercury in biota of Adirondack, New York lakes". Ecotoxicology. 20 (7): 1543–1554. doi:10.1007/s10646-011-0717-y. ISSN 1573-3017. PMC 3175042. PMID 21691858.
  87. ^ a b c Champoux, L.; Masse, D. C.; Evers, D.; Lane, O. P.; Plante, M.; Timmermans, S. T. A. (September 2006). "Assessment of mercury exposure and potential effects on common loons (Gavia immer) in Québec". Hydrobiologia. 567 (1): 263–274. doi:10.1007/s10750-006-0066-7. ISSN 0018-8158. S2CID 10621451.
  88. ^ a b c Bianchini, Kristin; Tozer, Douglas C.; Alvo, Robert; Bhavsar, Satyendra P.; Mallory, Mark L. (October 2020). "Drivers of declines in common loon (Gavia immer) productivity in Ontario, Canada".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738: 139724. Bibcode:2020ScTEn.738m9724B. doi:10.1016/j.scitotenv.2020.139724. PMID 32531589.
  89. ^ Schoch, Nina; Glennon, Michale J.; Evers, David C.; Duron, Melissa; Jackson, Allyson K.; Driscoll, Charles T.; Ozard, John W.; Sauer, Amy K. (April 2014). "The Impact of Mercury Exposure on the Common Loon ( Gavia immer ) Population in the Adirondack Park, New York, USA". Waterbirds. 37 (sp1): 133–146. doi:10.1675/063.037.sp116. ISSN 1524-4695. S2CID 85674745.
  90. ^ a b c Burgess, Neil M.; Meyer, Michael W. (February 2008). "Methylmercury exposure associated with reduced productivity in common loons". Ecotoxicology. 17 (2): 83–91. doi:10.1007/s10646-007-0167-8. ISSN 0963-9292. PMID 18038272. S2CID 40571426.
  91. ^ Stewart, Paul A. (January 1967). "Diving Schedules of a Common Loon and a Group of Oldsquaws". The Auk. 84 (1): 122–123. doi:10.2307/4083265. ISSN 0004-8038.
  92. ^ a b Wiland, L. (2007). "Common Loon Conservation Status- Migratory Birds of the Great Lakes – University of Wisconsin Sea Grant Institu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July 2017. Retrieved 12 July 2017.
  93. ^ Franson, J. Christian; Hansen, Scott P.; Pokras, Mark A.; Miconi, Rose (2001). "Size characteristics of stones ingested by common loons". The Condor. 103 (1): 189–191. doi:10.1650/0010-5422(2001)103[0189:scosib]2.0.co;2. JSTOR 1369696.
  94. ^ Locke, L.N.; Kerr, S.M.; Zoromski, D. (1982). "Lead poisoning in common loons (Gavia immer)". Avian Diseases. 26 (2): 392–396. CiteSeerX 10.1.1.514.3406. doi:10.2307/1590110. JSTOR 1590110. PMID 7103895.
  95. ^ Burger, Joanna; Pokras, Mark; Chafel, Rebecca; Gochfeld, Michael (1994).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feathers of common loons (Gavia immer) in the northeastern United States and age differences in mercury level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30 (1): 1–7. doi:10.1007/BF00546196. PMID 24213705. S2CID 24178181.
  96. ^ Scheuhammer, Anton M.; Wong, Allan H.K.; Bond, Della (1998). "Mercury and selenium accumulation in common loons (Gavia immer) and common mergansers (Mergus merganser) from Eastern Canada". Environmental Toxicology and Chemistry. 17 (2): 197–201. doi:10.1002/etc.5620170209.
  97. ^ Desorbo, Christopher R; Taylor, Kate M.; Kramar, David E.; Fair, Jeff; Cooley, John H.; Evers, David C.; Hanson, William; Vogel, Harry S.; Atwood, Jonathan L. (2007). "Reproductive advantages for common loons using rafts". Journal of Wildlife Management. 71 (4): 1206–1213. doi:10.2193/2006-422. ISSN 0022-541X. S2CID 85992979.
  98. ^ McIntyre, Judith W.; Mathisen, John E. (1977). "Artificial islands as nest sites for common loons". The Journal of Wildlife Management. 41 (2): 317–319. doi:10.2307/3800613. JSTOR 3800613.
  99. ^ Grzimek, Bernhard; Schlager, Neil (2003). Grzimek's Animal Life Encyclopedia, Volume 8: Birds I. Gale. p. 161. ISBN 978-0-7876-6571-5.
  100. ^ Townsley, Frank (2016). British Columbia: Graced by Nature's Palette. FriesenPress. p. 191. ISBN 978-1-4602-7773-7.
  101. ^ Carlson, Bruce M (2007). Beneath the Surface: A Natural History of a Fisherman's Lake.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p. 159. ISBN 978-0-87351-578-8.
  102. ^ Noles, Jim (2009). A Pocketful of History: Four Hundred Years of America—One State Quarter at a Time. Da Capo Press. ISBN 978-0-7867-3197-8.
  103. ^ Svingen, Peder H.; Hertzel, Anthony X. (2000). The Common Loon: Population Status and Fall Migration in Minnesota. Minnesota Ornithologists' Union. p. 1.
  104. ^ Leland, Charles Godfrey (2012). The Algonquin Legends Of New England (Annotated ed.). Jazzybee Verlag. p. 48. ISBN 978-3-8496-2265-7.
  105. ^ Stallcup, Rich; Evens, Jules (2014). Field Guide to Birds of the Northern California Coast.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 60. ISBN 978-0-520-27616-1.
  106. ^ a b c Cocker, Mark; Mabey, Richard (2005). Birds Britannica. London: Chatto & Windus. pp. 306–307. ISBN 978-0-7011-6907-7.
  107. ^ Bloch, Dorete (2006). Fróðskaparrit 53. Faroe University Press. p. 53. ISBN 978-99918-41-03-8.
  108. ^ Sandrock, James; Prior, Jean C. (2014). The Scientific Nomenclature of Birds in the Upper Midwest. Iowa City, IA: University of Iowa Press. p. 63. ISBN 978-1-60938-225-4.
  109. ^ McAtee, W.L (1951). "Bird names connected with weather, seasons, and hours". American Speech. 26 (4): 268–278. doi:10.2307/453005. JSTOR 453005.
  110. ^ 록우드 1984, 페이지 24, 30, 39, 58.
  111. ^ McGinnis, Molly (February 2004). "Totem Animals in Swallows & Amazons: Great Northern?". All Things Ransome. Retrieved 26 March 2010.
  112. ^ Hardyment, Christina (1984). Arthur Ransome & Captain Flint's Trunk. London: Jonathan Cape. pp. 201–204. ISBN 978-0-224-02989-6.
  113. ^ La Vaque, David (27 October 2016). "Minnesota United to donate portion of 2017 season ticket purchases to help loons". Star-Tribune. Minneapolis. Retrieved 8 September 2017.
  114. ^ "The birds of Hollywood: An unnatural history". Salon. 14 June 2002. Retrieved 13 October 2021.
  115. ^ Wolcott, James (1982). "Big frogs, small pond". Texas Monthly. 10 (1): 120.
  116. ^ Cascione, Marie (13 October 2021). "Why Hollywood loves this creepy bird call". Vox. Retrieved 13 October 2021.
  117. ^ McCarter, Reid. "A look at why the loon's call is used as TV and movies' go-to wilderness sound effect". The A.V. Club. Retrieved 13 October 2021.{{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
  118. ^ Blaine, Valerie (17 February 2020). "Why the loon's iconic call says so much". Daily Herald. Retrieved 13 October 2021.
  119. ^ Scott, A.O. (15 June 2016). "Review: In 'Finding Dory,' a Forgetful Fish and a Warm Celebration of Differences". The New York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May 2017. Retrieved 14 August 2017.

원천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