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탐보린
Green Tambourine"그린탐부린" | ||||
---|---|---|---|---|
![]() 미국 싱글의 A측 라벨 | ||||
레몬 피퍼에 의한 싱글 | ||||
앨범 Green Tambourine에서. | ||||
B측 | "No Help from Me" | |||
방출된 | 1967년 11월 ( | |||
녹음된 | 1967 | |||
스튜디오 | 클리블랜드 레코딩 스튜디오(미국 오하이오 주 클리블랜드)[1] | |||
장르. | ||||
길이 | 2:23 | |||
라벨 | 부다 | |||
작곡가 |
| |||
프로듀서 | 폴 레카 | |||
레몬 피퍼스 싱글 연대기 | ||||
| ||||
인터내셔널 릴리즈 | ||||
![]() 네덜란드 싱글을 위한 예술품 | ||||
대체 커버 | ||||
![]() 영국 싱글의 A측 라벨 | ||||
뮤직비디오 | ||||
유튜브의 "그린 탐보린"(1968년 텔레비전 공연) |
'그린탐보린'은 폴 레카(역시 제작)와 셸리 핀츠가 작사, 작곡한 곡이다. 이 곡은 1960년대 오하이오에 본사를 둔 록 그룹인 레몬 피퍼스의 가장 큰 히트곡이자 그들의 데뷔 앨범인 그린 탬버린의 타이틀 곡이었다. 이 곡은 최초의 사이키델릭 팝 차트 토퍼 중 하나였으며, 골드 레코드가 되었다.
1967년 말에 발매된 이 책은 1968년 2월 3일 1위를 정점으로 미국 빌보드 핫 100에서 13주 동안을 보냈으며,[5] 100만 부 이상이 팔렸다. 이 기록은 3개월 동안 차트에 남아 있었다.[6] 이것은 또한 부다 레이블의 첫 번째 미국 히트곡이었다. 레카와 핀츠가 함께 쓴 "Rice Is Nice"와 "Jely Jungle"이 1968년에 차트를 만들었지만, 레몬 피퍼스는 이 성공을 결코 반복하지 않았다.[6]
노래와 녹음
이 곡의 작사가 로셸 "셸리" 핀즈(1943–2004)는 브릴 빌딩의 작가로 레카와 함께 작업했다. 그녀는 이렇게 말했다.
1966년 이른 봄, 브릴 빌딩 앞에 서 있는 동안 나는 탬버린을 든 남자가 돈을 구걸하는 것을 보았다. 나는 그에 대한 시를 썼고 그 시를 '녹색 탐보린'이라고 불렀다. 나는 그것을 나의 서정 컬렉션에 추가했다... 가끔 브릴 빌딩 앞에서 돈을 구걸하는 탬버린을 들고 있는 그 남자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궁금할 때가 있다. 나는 '징글 장글이 빛나기 시작하는 것을 지켜보며, 내 음악이라는 것을 반추해 보라는 가사를 썼던 기억이 난다. 동전을 던지면 노래하는 소리가 들릴 것이다. 이제 내가 어제처럼 그린탐버린을 연주하는 동안 들어봐.; 60년대에 7번가와 브로드웨이 사이의 거리에는 상상밖에 할 수 없는 마법이 있었다.[7]
이 노래는 길거리 음악가가 누군가에게 돈을 달라고 애원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 대가로 그는 그의 녹색 탬버린을 연주할 것을 제의한다. 이 노래의 악기에는 일명 '사이키델릭 사운드'의 빈번한 시그니처인 [8]전기 시타뿐만 아니라 십일조를 띤 탬버린도 포함되어 있다. 또 다른 갈고리는 각 합창단과 끝에서 "플레이"라는 단어에 적용되는 무겁고 환각적인 테이프 에코로, 드럼롤로 사라진다("플레이 플레이 놀이를 하는 동안 녹색 탬버린을 연주하라"). 메아리는 모노와 스테레오 혼합물이 눈에 띄게 다르다. 모노 버전도 스테레오 버전보다 약간 일찍 사라지기 시작한다.[citation needed] 이 음악 편곡은 또한 전체적으로 조율된 현악기와 독특한 바이브라스랩 타악기를 특징으로 한다. 레몬 피퍼스가 음반으로 연주하는 동안, 프로듀서 겸 공동 작가인 레카는 이미 공상적인 편곡에 더 깊은 깊이를 더하기 위해 밴드와 동행할 스트링 섹션을 고용했다.[citation needed] 현악 부문은 바이올린의 경우 엘리엇 로소프, 데이비드 삭슨, 어빙 스파이스, 루이스 스톤, 루이스 가보르비츠, 데보라 아이돌, 비올라의 경우 세이모어 베르만, 첼로의 경우 세이모어 바라브와 샐리 로소프로 구성됐다.[citation needed]
이 싱글의 B-side인 "No Help from Me"는 키보드 연주자 밥 나브의 리드보컬을 특징으로 했으며, 이 그룹의 두 앨범에는 두 앨범 모두 등장하지 않았다.
차트실적
주간 차트
차트(1967-68년) | 피크 포지션 |
---|---|
오스트레일리아(Go-Set)[9] | 3 |
벨기에(월로니아)[10] | 30 |
캐나다 RPM 100[11] | 1 |
독일[10] | 10 |
네덜란드[12] | 9 |
뉴질랜드([13]목록 작성자 | 3 |
남아프리카 공화국 (봄복)[14] | 6 |
스위스(스위스 히트파라데)[15] | 7 |
영국 레코드 소매업체[16] | 7 |
미국 빌보드 핫 100[5] | 1 |
미국 캐시박스 탑 100[17] | 1 |
미국 레코드 월드 100 탑 팝스[18] | 1 |
연말 차트
차트(1968년) | 순위 |
---|---|
캐나다 RPM 100[19] | 6 |
미국 빌보드 핫 100[20] | 47 |
미국 캐시박스 탑 100[21] | 8 |
인원
- Ivan Browne – 리드보컬, 리듬 기타
- Bill Bartlett – 리드 기타
- R. G. 네이브 – 오르간, 탬버린, 안개 뿔, 장난감
- Steve Walmsley – 베이스
- Bill Albaugh – 드럼
추가인원
- Irv Spice 문자열 – 문자열 섹션
- Ken Hamann (오리지널 앨범 출판물에 "Kenny Hammond"[22]로 잘못 인정) – 엔지니어(Cleveland Recording Company)
- Bill Radice – 엔지니어(뉴욕)
커버 버전
1968년에 Lawrence Welk와 His 오케스트라가 앨범 Love Is Blue에 [23]기악 버전을 발매하고 싱글로 발매하였다.[24] 웰크의 버전은 빌보드 이지 리스닝 차트 27위,[25][26] 레코드 월드 '톱 논 록' 차트 21위,[27] 레코드 월드 차트 '싱글스 커밍업'[28] 차트 11위에 올랐다.
밀러 부인은 1968년 앨범 Mrs. Miller Does Her Thing에서 이 노래를 취재했다.[29]
The Status Coosing은 1968년 데뷔 앨범인 Picture Matchstickable Messages from the Status에서 이 노래를 다루었다.[30]
영국 밴드 선드래곤은 1968년 MGM 레이블과 매우 유사한 버전을 기록했다.[31]
Peppermint Rainbow는 그들의 1969년 앨범 Will You Be Be Weeking After Sunday에 이 노래를 덮었다.[32] 레카는 이 녹음에서 레몬 피퍼스의 히트곡의 백 트랙을 사용했다.[32]
1990년, 어소시에이츠는 "Fire to Ice" 싱글의 B-side로 커버 버전을 발매했다.
트립 데이지가 1992년 데뷔 앨범인 빌(The Dragon Street 발매)에서 이 노래를 취재했다.
로버트 굴렛은 2001년 영화 'Rescus: Robert Goulet'의 곡을 다루었다. 캐릭터 마이키에게 가창력을 선사하는 스쿨스아웃이 동명의 영화 사운드트랙에서 싱글로 발매했다.[33]
대중문화에서
- 이 곡은 1970년 플리머스 로드 러너 TV 광고에 실렸다.
- 배우 빌리 밥 손튼이 맡은 로른 말보의 캐릭터는 1996년 코엔 브라더스의 영화를 각색한 파고의 9화 "여우, 토끼, 양배추"의 초반부에 이 곡을 연주한다.
- 이 곡은 디즈니 애니메이션 영화 '휴식'의 마지막 크레딧에 수록되어 있다. 로버트 굴렛이 부른 스쿨스 아웃
참고 항목
참조
- ^ "Cleveland Recording Co. - The Encyclopedia of Cleveland History". The Encyclopedia of Cleveland History.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September 28, 1998. Retrieved November 4, 2013.
- ^ Jim DeRogatis (January 1, 2003). Turn on Your Mind: Four Decades of Great Psychedelic Rock. Hal Leonard Corporation. p. 378. ISBN 978-0-634-05548-5.
- ^ 언터버거, 리치. 레몬 피퍼 - 올뮤직의 그린탬버린. 2016년 8월 14일 회수.
- ^ Nick Talevski (April 7, 2010). Rock Obituaries - Knocking On Heaven's Door. Omnibus Press. p. 5. ISBN 978-0-85712-117-2.
- ^ a b 핫 100 - 레몬 피퍼 그린 탬버린 차트 히스토리, Billboard.com. 2018년 3월 28일 회수
- ^ a b Nite, Norm N. and Newman, Ralph M.: ROCK ON: The Illustrated Company Of Rock N' Roll': 토마스 Y. 1978. 페이지 276.
- ^ 2005년 8월 11일 팝아치브 "셜리 핀즈" 2017년 8월 13일 회수
- ^ "Vincent Bell Danelectro, Silvertone Guitar, Bass, Parts, Accessories. History, Vintage Danelectr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May 2008. Retrieved 13 August 2017.
- ^ Nimmervoll, Ed, "GO-SET National Top 40" 1968년 4월 3일. 2018년 4월 23일 회수.
- ^ a b 레몬 피퍼 - 그린 탬버린, 울트라톱. 2018년 4월 23일 회수.
- ^ 1968년 2월 10일 "RPM 100", RPM, Volume 8, No. 24. 2018년 4월 23일 회수.
- ^ 레몬 피퍼 - Green Tambourine, 네덜란드 차트. 2018년 4월 23일 회수.
- ^ 뉴질랜드의 향기, 1968년 4월 11일
- ^ "SA Charts 1965–March 1989". Retrieved 5 September 2018.
- ^ 레몬 피퍼 - 그린 탐보린, hitparade.ch. 2018년 4월 23일 회수.
- ^ 레몬 피퍼 - 전체 공식 차트 기록, 공식 차트 회사. 2016년 7월 29일 접속.
- ^ 1968년 2월 3일, 캐시 박스, "캐시 박스 탑 100" 페이지 4. 2018년 3월 28일 회수
- ^ 1968년 2월 10일, 레코드 월드 "100개의 탑 팝스" 2018년 3월 28일 회수
- ^ "RPM 100 Top Singles of 1968", RPM, Volume 10, No.19, 1969년 1월 06. 2016년 7월 29일 접속.
- ^ 1968년 최고 히트곡 100위/1968년 최고 노래 100위 음악 의상자. 2016년 7월 29일 접속.
- ^ 1968년 12월 28일 캐시 박스 "Top 100 차트 조회수" 페이지 14. 2016년 7월 28일 접속.
- ^ Buddah BDM-1009/B의 후면 커버DS-5009, 1968년 2월 출시.
- ^ 1968년 3월 2일 빌보드 "앨범 리뷰" 2018년 5월 5일 회수
- ^ 1968년 2월 24일 빌보드의 "감독을 위한 나무 스카우트, 라벨을 위한 식물". 페이지 3. 2018년 5월 5일 회수.
- ^ 성인 컨템포러리 - Lawrence Welk Green Tambourine Chart History, Billboard.com. 2018년 3월 28일 회수
- ^ 1968년 4월 6일 빌보드, 빌보드 탑 40 이지 리스닝. 페이지 49. 2016년 7월 29일 접속.
- ^ "Record World's Top Non-Rock", Record World, 1968년 4월 6일. 페이지 40. 2018년 4월 23일 회수.
- ^ 1968년 4월 6일, 레코드 월드 "Singles Coming Uping." 22페이지. 2018년 4월 23일 회수.
- ^ "Mrs. Miller Does Her Thing - Mrs. Miller". AllMusic. Retrieved April 24, 2018.
- ^ "Picturesque Matchstickable Messages from the Status Quo - Status Quo - Songs, Reviews, Credits - AllMusic". AllMusic. Retrieved 13 August 2017.
- ^ YouTube
- ^ a b "AllMusic Review by Mark Deming". AllMusic. Retrieved April 24, 2018.
- ^ 에버트, 로저(2002년). 로저 에버트의 2003년 영화 연감, 앤드루스 맥밀 출판. 페이지 494. 2018년 4월 24일 회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