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그 비사네트
Gregg Bissonette그레그 비사네트 | |
---|---|
![]() 협연하는 비소네트 | |
배경 정보 | |
태어난 | 미국 디트로이트, 미시건 주 | ) 1959년 6월 9일 )
장르 | 팝, 록, 재즈 |
직업 | 뮤지션 |
계기 | 드럼 |
관련 행위 | 데이비드 리 로스, 조 사트리아니, 링고 스타, 척추 탭, 스티브 바이, 일렉트릭 라이트 오케스트라, 토토, 주그헤드 |
웹사이트 | greggbissonette |
그레그 비사네트(Gregg Bissonett, 1959년 6월 9일 출생)는 미국의 재즈 및 록 드러머다.그는 베이시스트 맷 비소네트(Matt Bissonette)의 형으로, 자주 협력한다.그는 데이비드 리 로스(David Lee Roth)의 첫 3개의 솔로 앨범을 포함하여 수십 명의 아티스트들의 앨범에 참여하였다.
경력
비소네트의 첫 음반 중 하나는 1983년 재즈 트럼펫의 전설 메이너드 퍼거슨의 "Live from San Francisco"에 관한 것이었다.맷 형제도 밴드와 녹음 중이었습니다.이후 1985년 브랜든 필즈의 '이야기의 반대편'에 출연하였다.그것은 데이비드 가필드를 키보드로 등장시켰다.몇 년 후, 비소넷은 필즈, 가필드, 스티브 루카더와 기타를 연주하고 존 페냐와 베이스로 로스 로보토미스를 연주하기 시작했다.이 쇼들은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에서 록, 라틴, 재즈를 연주하며 재즈 클럽과 레스토랑인 베이크 포테이토에서 열렸다.
비송넷은 반 할렌 전 프런트맨 데이비드 리 로스와 함께 큰 휴식을 취했다.이 밴드에는 기타리스트 스티브 베이와 미래의 빅 베이시스트 빌리 쉬한이 참여했다.1985-1992년 동안 그레그는 세 개의 미국 빌보드 200 히트 앨범 Eat 'Em and Smile (no.4) Marketrow (no.6)와 A Little Ain't Loup (18번)[1]과 그 이후의 월드 투어에 모두 출연했다.[2]
1990년과 1993년, 비소넷은 각각 드럼 비디오 "Private Learns[3] and Playing," "Reading & Soloing with a Band"를 발매했다.[4][5]개인교습은 더블베이스 드럼 연주, 기초(미치 마코비치의 올가미 솔로 토네이도의[6] 백스틱 기법으로), 메트로놈과 붓을 가지고 노는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1994년부터 2004년까지 그는 TV 프로그램 프렌즈의 매 회마다 뮤지컬 인터셉트에 출연했다.[7]
1995년 말, 토토는 사이먼 필립스가 허리 질환을 앓았을 때 탐부 투어를 시작하고 있었다.필립스는 투어의 첫 번째 경기 동안 비송에트에게 그의 자리를 대신 맡아달라고 부탁했다.
산타나의 앨범 《초자연적》(1999년)에서 드럼을 연주했다.[8]2007년에는 다니엘 글렌 팀스의 앨범 《La La Land》에 녹음하였다.[9]
2001년에 그는 그의 형 맷과 함께 배스에서 일렉트릭 라이트 오케스트라의 줌 투어 라이브에서 연주할 예정이었다.그 투어는 PBS의 CBS TV 시티에서 텔레비전으로 방영된 한 공연 이후 취소되었다.
그레그는 2003년에 링고 스타와 함께 자신의 밴드 링고와 라운드헤드에서 더블 드럼을 치기 시작했다.이 밴드는 또한 그의 동생인 맷 비소네트도 베이스에 포함시켰다.그레그는 링고 스타와 그의 올스타 밴드의 멤버였다.(2008-현재)
2013년 그레그는 드럼을 치고 Warning Will Robinson이라는 노래를 부르는 3번째 솔로 앨범을 발표했다.이번 앨범에는 동생 맷이 베이스와 백 보컬을 맡고 있다.
그레그는 스티브 루카더의 2021년 앨범 "나는 다시 태양을 찾았다.8곡이 수록된 그레그는 7곡을, 그레그의 드럼 히어로 링고 스타는 1곡을 연주했다.
2021년은 The Reddcoats 데뷔 앨범의 발매였다.이 앨범에는 드럼과 베이스에는 그레그와 맷 비소네트, 기타에는 앤디 티몬스, 키보드에는 월리 밍코, 타악기에는 마이크 메디나가 수록되어 있다.
또한 2021년에는 《붉은 메뚜기》의 데뷔 앨범이 발매되었다.다시 드럼에 그레그, 베이스에 그의 동생 매트, 기타와 보컬에 릭 스프링필드와 함께.
Bissonette can be heard on a number of rock instrumental and progressive rock albums, including The Extremist by Joe Satriani, Temporal by Shadrane, Deep Forest by Deep Forest, Bass Invader by Martin Motnik, Inner Galactic Fusion Experience by Richie Kotzen, Shadow King by Steve Fister, Revolution Road by Rocket Scientists, In the Eye of Time by Vox 템퍼스, 버그 앨리[10], 그리고 게리 호이의 영화 "Endless Summer II"의 사운드 트랙.[11]
2012년, 비소넷은 도커 길드의 앨범 "The Mistic Technocratic Technocracy: 시즌 1: 무지의 시대, 프랑스계 미국인 음악가, 교사, 그리고 윤리 음악학자인 더글러스 R이 지휘하는 진보적인 록 스페이스 오페라. 도커.[12]
음반 목록
아티스트 | 앨범 | 연도 |
---|---|---|
메이너드 퍼거슨 | 샌프란시스코에서 라이브 시작 | 1982 |
야르버러와 피플스 | 하트 비트 | 1983 |
브랜든 필드 | 이야기의 다른 면 | 1985 |
데이비드 리 로스 | Em and Smile을 먹어라 | 1986 |
마쓰이 게이코 | 물방울 | 1987 |
데이비드 리 로스 | 마천루 | 1988 |
팻 켈리 | 미래관 | 1989 |
프랭크 감발레 | 썬더 다운언더 | 1990 |
데이비드 리 로스 | 작은 아이로는 충분하지 않다 | 1991 |
조 사트리아니 | 극단주의자들 | 1992 |
스티브 베일리 | 이분법 | 1992 |
탭 베누이트 | 니스 앤 워밍 | 1999 |
L.A. 블루스 당국 | L.A. 블루스 당국 | 1992 |
스탠 부시 | 내 심장의 모든 박동 | 1992 |
라니 코돌라 | Of Riffs and Symphonies | 1992 |
앤 루이스 | 로카델릭 | 1993 |
로빈 잰더 | 로빈 잰더 | 1993 |
조 사트리아니 | 타임머신 | 1993 |
힘의 서커스 | 매직 앤 매드니스 | 1993 |
바스코 로시 | 길 스파리 소프라 | 1993 |
브랜든 필드 | 브랜든 필드 | 1994 |
게리 호이 | 끝없는 여름 II | 1994 |
밀로스 도도돌레잘/귀만두데 | 밀로스 도도돌레잘/귀만두데 | 1994 |
조 사트리아니 | 조 사트리아니 (앨범) | 1995 |
리치 코첸 | 내부 은하 핵융합 경험 | 1995 |
웨인 왓슨 | 소울 필드 | 1995 |
브라이언 던컨 | 크리스마스는 예수님 | 1995 |
제이슨 베커 | 원근법 | 1995 |
머스터드 씨즈 | 겨자씨 | 1996 |
엔리케 이글레시아스 | 엔리케 이글레시아스 | 1996 |
래리 칼턴 | 더 기프트 | 1996 |
스티브 바이 | 파이어 가든 | 1996 |
론 케놀리 | 웰컴 홈 | 1996 |
게리 호이 | 버그 앨리 | 1996 |
스티브 피스터 | 섀도우 킹 | 1997 |
스티브 루카더 | 루크 | 1997 |
팻 분 | 메탈 무드의 경우: 노 모어 미스터 니스 가이 | 1997 |
칼라파나 | 선장 산타아일랜드 뮤직 | 1997 |
앤디 서머스 | 미스터 엑스 마지막 춤 | 1997 |
마이클 톰슨 | M에 따른 세계.t | 1998 |
그레그 비사네트 | 그레그 비사네트 | 1998 |
폴 앙카 | 작업본체 | 1998 |
베테 미들러 | 목욕탕 베티 | 1998 |
루이스 빌레가스 | 카페 올레 | 1998 |
맷 비소네트 | 스폿 | 1998 |
콤보 | 빅 블라스트 | 1999 |
스티브 바이 | 울트라 존 | 1999 |
산타나 | 슈퍼 내추럴 | 1999 |
카를 베르헤이엔 | 슬링샷 | 1999 |
맷 비소네트 | 스폿 2 | 2000 |
듀란 듀란 | 팝 휴지통 | 2000 |
돈 헨리 | 인사이드 잡 | 2000 |
데이비드 베누이트 | 재즈의 위대한 작곡가들 | 2000 |
잔 아르덴 | 블러드 레드 체리 | 2000 |
그레그 비사네트 | 잠수함 | 2000 |
크러쉬 벨벳 카우보이 | 크러쉬 벨벳 카우보이 | 2000 |
고든 굿윈 | 울타리를 위한 스윙인 | 2001 |
래리 칼턴 & 스티브 루카더 | 대체품 없음: 오사카에 산다 | 2001 |
스티브 민딕 | So It Begins | 2001 |
라나 레인 | 커버 컬렉션 | 2002 |
주그헤드 | 주그헤드 | 2002 |
리코 가르시아 | 시작 | 2002 |
라나 레인 | 윈터 세션스 | 2003 |
에릭 노르랜더 | 뮤직머신 | 2003 |
엥겔베르트 훔퍼딘크 | 사랑의 정의 | 2003 |
언더라디오 | 나쁜 상속인 방식 | 2003 |
스티브 루카더 | 산트로닉 | 2003 |
댄 램지 | 젠틀 자이언츠 | 2003 |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 퓨처리스트 | 2004 |
체스터 E.스미스 | 몬스터 그루브 파티 | 2004 |
레이징 레자로스 | 라이징 레자로스 | 2004 |
로켓 리호테 | 경례 | 2004 |
복스 템퍼스 | 인 더 타임 | 2004 |
딥 포레스트 | 딥 포레스트 | 2004 |
맷 비소네트 | 오 안돼! 베이스 솔로! | 2004 |
오언 코르츠 | 오언 코르츠 | 2004 |
라이언 카브레라 | 모두 가져가라 | 2004 |
리처드 막스 | 나만의 최고의 적 | 2004 |
맷 스윈델스 | 맷 스윈델스 | 2004 |
맷 스윈델스 | 맷 스윈델스 | 2005 |
오지 오스본 | 언더커버 | 2005 |
화요일까지 10시 | 벽을 허물다 | 2005 |
댄 램지 | 나만의 노래를 제외한 모든 사람의 노래 | 2005 |
마틴 모트니크 | 베이스 인바더 | 2005 |
브라이언 세처 | Dig That Crazy Christmas | 2005 |
스티브 바이 | 실제 착각:반사 | 2005 |
레이 찰스 | 천재와 친구들 | 2005 |
브라이언 기글리아 | 미스터리 | 2006 |
데이브 C. 노먼 | 스트라토스페어 | 2006 |
산토가로팔로 | Fore Up and Fore In | 2006 |
글로부스 | 에피콘 | 2006 |
필 수산 | 진동 | 2006 |
에릭 노르랜더 | 호마지 심포니크 | 2006 |
미셸 필러 | 천사들이 부르는 소리가 들려 | 2006 |
데이브 로저스 | 블로우 유어 마인드 | 2006 |
루 롤스 | 루 롤스 크리스마스 | 2006 |
다양한 아티스트 | 반 할렌에게 바치는 80년대 금속 공물 | 2006 |
로켓 과학자들 | 레볼루션 로드 | 2006 |
해리 시어러 | 의미 없는 노래들 | 2007 |
캐서린 맥피 | 캐서린 맥피 | 2007 |
앤디 서머스 | 시네스트마취 | 2007 |
사샤 & 쇼나 | 사이렌 | 2007 |
믹 에이브럼스 | 방울뱀 쉐이크 기타: 피터 그린의 음악 | 2007 |
코드 | 내부의 적 | 2007 |
칼 레너드 그리고 그의 관현악단 | 관계없는 씨 | 2007 |
대니얼 글렌 톰스 | 라라랜드[9] | 2007 |
키스 에머슨 밴드: 마크 보닐라 피처링 | 키스 에머슨 밴드 | 2008 |
오버랜드 | 길을 트다 | 2008 |
크리스 보드먼 | 미드타운 무브스 | 2008 |
머스터드 씨즈 | 머스터드 씨드 3 | 2008 |
마르코 카르도나 | 계기성 | 2008 |
샤드란 | 시간적 | 2008 |
딕 와그너 | 풀 멜트다운 | 2009 |
콜린 헤이 | 아메리칸 선샤인 | 2009 |
척수 탭 | 죽음에서 귀환한. | 2009 |
노먼 스톡턴 | 태풍의 차 | 2009 |
제이슨 새디츠 | 위브 | 2009 |
랜디 제이콥스 | 랜디 다이너마이트의 귀환 | 2010 |
그랜드 이펙션 | 브랜드 뉴 월드 | 2010 |
랄프 융 | 팝의 예술 | 2010 |
두비 브라더스 | 월드 고드 크레이지 | 2010 |
마크 닐란 주니어 | 핸즈온 | 2010 |
링고 스타 | 2008년 그리스 극장에서 라이브 | 2010 |
제트 벨벳 | 제트 벨벳 | 2010 |
데이브 C. 노먼 | 하이어 그라운드 | 2011 |
신디 호스트먼 And Friends | 프렛리스 | 2011 |
애비 큐비 & 마르가리타 | 레이스를 입은 악마 | 2011 |
배리 매닐로 | 15분 | 2011 |
하마다 마리 | 레전다 | 2012 |
도커 길드 | 미스틱 테크노크라시: 시즌 1: 무지의 시대 | 2012 |
잔니 데 첼리스 | 속박 | 2013 |
그레그 비사네트 | 경고 윌 로빈슨 | 2013 |
하마다 마리 | 미션 | 2016 |
노먼 스톡턴 | 그루브 & 스시 | 2019 |
스티브 루카더 | 나는 태양을 다시 찾았다 | 2021 |
붉은 메뚜기 | 붉은 메뚜기 | 2021 |
텔레비전 사운드트랙
영화 사운드트랙
그레그 비사네트 감독의 영화 사운드트랙 크레딧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참고 항목
참조
- ^ "David Lee Roth". Billboard.com. Retrieved 2020-04-15.
- ^ "Bio ‹ Gregg Bissonette". Greggbissonette.com. Retrieved 2020-04-15.
- ^ Gregg Bissonette (1990). Private Lesson (VHS). New York: DCI Music Video. OCLC 22866873. Retrieved 2013-03-13.
- ^ Olson, Rex; Bissonette, Gregg (1993). Playing, Reading & Soloing with a Band (VHS video). Miami, Florida: CPPMedia : DCI Music Video. OCLC 32400704.
- ^ Bissonette, Gregg (1993). Bill Reeve (ed.). Playing, Reading & Soloing with a Band (Musical score). Chris Brady. Miami, Florida: Manhatten Music. OCLC 68957968.[데드링크]
- ^ Markovich, Mitch (1966). Tornado. Rudimental Contest Series (musical score ed.). Creative Music. OCLC 7895690. 10-305.
- ^ "Gregg Bissonette on Dream Gigs with Ringo Starr and David Lee Roth, Avoiding the Spinal Tap Curse". 28 July 2020.
- ^ "Supernatural - Santana". AllMusic. Retrieved 21 December 2018.
- ^ a b "Daniel Glen Timms: Discograph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7-09. Retrieved 2013-02-24.
- ^ "Gary Hoey: Discography". GaryHoey.com. Retrieved 2013-02-24.
- ^ a b "The Endless Summer II: Credits". GaryHoey.com. Retrieved 2013-02-24.
- ^ "LION MUSIC - the progressive, neoclassical & hard rock label". lionmusic.com. Retrieved 2017-12-05.
- ^ "Gregg Bissonette: credits". allmusic.com. Retrieved 2013-02-07.
- ^ "Gregg Bissonette: Discography". greggbissonette.com. Retrieved 2013-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