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스타프 키르히호프
Gustav Kirchhoff구스타프 키르히호프 | |
---|---|
![]() | |
태어난 | 구스타프 키르히호프 1824년 3월 12일 |
죽은 | 1887년 10월 17일 ( | (63세)
국적. | 프러시아어(1824년-1871년) 독일어(1871-1887) |
모교 | 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 |
로 알려져 있다 | 키르히호프의 회로 법칙 키르히호프의 열복사의 법칙 키르히호프의 분광법칙 키르히호프의 열화학 법칙 |
어워드 | 럼퍼드 메달 (1862) 데이비 메달 (1877) 마테우치 메달 (1877) 얀센 메달 (1887) |
과학 경력 | |
필드 | 물리 화학 |
기관 | 베를린 대학교 브레슬라우 대학교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
박사 어드바이저 | 프란츠 에른스트 노이만[필요한 건] |
주목받는 학생 | 로란드 외트뵈스 에드워드 니콜스 가브리엘 리프만[필요한 건] 드미트리 이바노비치 멘델레예프 막스 플랑크 쥘 피카르 막스 노에테르 헤이케 카메링 오네스 에른스트 슈뢰더 |
구스타프 로베르트 키르히호프(Gustav Robert Kirchhoff, 1824년 3월 12일 ~ 1887년 10월 17일)는 독일의 물리학자이다.[1][2]
그는 1862년에 흑체 방사선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흑체 방사선과 분광학, 전기 회로, 열화학 등 다양한 주제에 관해 그의 이름을 따 "키르호프의 법칙"으로 명명되었다.분센-키르히호프 분광학상은 그와 그의 동료인 로버트 분센의 이름을 딴 것이다.
생활과 일
구스타프 키르히호프는 1824년 3월 12일 프로이센 쾨니히스베르크에서 변호사 프리드리히 키르히호프와 요한나 헨리에트 비트케의 [3]아들로 태어났다.그의 가족은 프러시아 복음주의 교회의 루터교 신자였다.그는 1847년 칼 구스타프 [4]야코비, 프란츠 에른스트 노이만, 프리드리히 율리우스 리첼로트가 지도한 수학 물리 세미나에 참석한 쾨니히스베르크의 알베르투스 대학을 졸업했습니다.같은 해, 그는 베를린으로 이사하여 브레슬라우에서 교수직을 받을 때까지 머물렀다.이후 1857년 그는 수학 교수 리첼롯의 딸 클라라 리첼롯과 결혼했다.그 부부는 5명의 자녀를 두었다.클라라는 1869년에 죽었다.그는 [5]1872년 루이스 브뢰멜과 결혼했다.
Kirchhoff는 1845년에 회로 법칙을 공식화했는데, 지금은 전기 공학에 보편화되어 있습니다.그는 이 연구를 세미나 연습으로 완성했고, 후에 그의 박사학위 논문이 되었다.그는 1854년 하이델베르크 대학에 불려가 로버트 분젠과 함께 분광학 작업을 했다.1857년에 그는 무저항 와이어의 전기 신호가 [6][7]빛의 속도로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계산했다.그는 1859년에 열복사의 법칙을 제안했고 1861년에 증명했다.키르히호프와 분센은 함께 분광기를 발명했는데, 키르히호프는 1859년에 태양에 나트륨이 함유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면서 태양의 원소 식별을 개척하기 위해 이 분광기를 사용했습니다.그와 Bunsen은 [8]1861년에 세슘과 루비듐을 발견했다.하이델베르크에서 그는 수학자 레오 쾨니히스버거와 함께 프란츠 에른스트 노이만을 모델로 한 수학-물리 세미나를 운영했습니다.이 세미나에 참석한 사람들 중에는 Arthur Schuster와 Sofia Kovalevskaya가 있었다.
그는 David Alter와 Anders Jonas Ongström의 발견을 바탕으로 백열 물체에 의해 방출되는 빛의 스펙트럼 구성을 설명하는 세 가지 법칙을 공식화함으로써 분광학 분야에 크게 기여했다.1862년에 그는 태양 스펙트럼의 고정 선과 인공 [a]빛의 스펙트럼에서 밝은 선의 반전에 대한 그의 연구로 럼포드 메달을 받았습니다.1875년 키르히호프는 베를린에서 이론 물리학에 특화된 최초의 교수직을 수락했다.
그는 또한 파동 방정식을 조심스럽게 풀어서 호이겐스의 원리에 대한 확실한 기초를 제공했고 [10][11]그 과정에서 그것을 수정했다.
1864년 그는 미국철학회 [12]회원으로 선출되었다.
1884년 그는 네덜란드 왕립 예술 [13]과학 아카데미의 외국인 회원이 되었다.
키르히호프는 1887년 사망했고, 그림 형제의 무덤에서 불과 몇 미터 떨어진 베를린 쇠네베르크에 있는 성 마테우스 키르히호프 묘지에 묻혔다.레오폴드 크로네커는 같은 묘지에 묻혔다.
키르히호프의 회로 법칙
키르히호프의 제1법칙은 점(또는 노드)에서 만나는 도체 네트워크의 전류 대수합이 0이라는 것입니다.두 번째 법칙은 폐쇄 회로에서 시스템 전압의 지시 합계가 0이라는 것입니다.
키르히호프의 분광학 3법칙
- 빛을 방출하기 위해 들뜬 고체, 액체 또는 밀도가 높은 기체는 모든 파장에서 방사되며 따라서 연속 스펙트럼을 생성합니다.
- 빛을 방출하기 위해 들뜬 저밀도 가스는 특정 파장에서 그렇게 하고 이는 방출 스펙트럼을 생성한다.
- 연속 스펙트럼을 구성하는 빛이 차가운 저밀도 가스를 통과하면 흡수 스펙트럼이 됩니다.
키르히호프는 원자에 에너지 수준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지 못했다.분리된 스펙트럼 라인의 존재는 프라운호퍼가 1814년에 스펙트럼 라인을 발견한 이후로 알려져 있었다.그리고 선이 분리된 수학적 패턴을 형성한다는 것은 1885년 요한 발머에 의해 설명되었습니다.조셉 라모르는 [14][15]전자의 진동에 의한 제만 효과로 알려진 자기장에서의 스펙트럼 라인의 분열을 설명했다.그러나 이러한 분리된 스펙트럼 라인은 1913년 원자의 보어 모델이 양자역학을 이끌 때까지 전자전이로 설명되지 않았다.
키르히호프의 열복사의 법칙
막스 플랑크가 양자역학으로 이어지는 작용의 양자를 발견하도록 이끈 것은 그가 방사선에 대한 알려지지 않은 보편적 법칙을 제안한 키르히호프의 열복사의 법칙이었다.
키르히호프의 열화학 법칙
키르히호프는 1858년 열화학에서 화학반응의 열 변화는 생성물과 반응물 간의 열 용량 차이로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H ) p C \ leftfrac \ \ \ H } { \ } = \ _ { 。
이 방정식을 통합하면 다른 온도에서의 측정에서 [16][17]한 온도에서의 반응 열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작동하다
- Gesammelte Abhandlungen (in German). Leipzig: Johann Ambrosius Barth. 1882.
- Vorlesungen über Electricität und Magnetismus (in German). Leipzig: Benedictus Gotthelf Teubner. 1891.
- 볼레선겐 über 수학 물리.4권, B. G. 튜브너, 라이프치히 1876-1894.
「 」를 참조해 주세요.
- 키르히호프 방정식
- 키르히호프 적분 정리
- 키르히호프 행렬
- 키르히호프 응력 텐서
- 키르히호프 변환
- 키르히호프의 회절 공식
- 키르히호프의 완벽한 검은 몸
- 키르히호프의 정리
- 키르히호프헬름홀츠 적분
- 키르히호프-러브 플레이트 이론
- 피올라-키르호프 강세
- 세인트베낭-키르호프 모형
- 스토크스-키르호프 감쇠식
- 회선 순위
- 컴퓨터 에어로어쿠스틱스
- 불꽃 방출 분광법
- 분광기
- 키르히호프 물리학 연구소
- 독일의 발명가 및 발견자
메모들
- ^ Marshall, James L.; Marshall, Virginia R. (2008). "Rediscovery of the Elements: Mineral Waters and Spectroscopy" (PDF). The Hexagon: 42–48. Retrieved 31 December 2019.
- ^ Waygood, Adrian (19 June 2013). An Introduction to Electrical Science. Routledge. ISBN 9781135071134.
- ^ Kondepudi, Dilip; Prigogine, Ilya (5 November 2014). Modern Thermodynamics: From Heat Engines to Dissipative Structures. John Wiley & Sons. p. 288. ISBN 9781118698709.
- ^ Hockey, Thomas (2009). "Kirchhoff, Gustav Robert". The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Astronomers. Springer Nature. ISBN 978-0-387-31022-0. Retrieved 22 August 2012.
- ^ "Gustav Robert Kirchhoff – Dauerausstellung". Kirchhoff-Institute for Physics. Retrieved 18 March 2016.
Am 16. August 1857 heiratete er Clara Richelot, die Tochter des Königsberger Mathematikers ... Frau Clara starb schon 1869. Im Dezember 1872 heiratete Kirchhoff Luise Brömmel.
- ^ Kirchhoff, G. (1857). "On the motion of electricity in wires". Philosophical Magazine. 13: 393–412.
- ^ Graneau, P.; Assis, A.K.T. (1994). "Kirchhoff on the motion of electricity in conductors" (PDF). Apeiron. 1 (19): 19–25.
- ^ Weeks, Mary Elvira (1956). The discovery of the elements (6th ed.). Easton, PA: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 ^ Asimov, Isaac The Secret of the Universe (Oxford University Press, 1992년) 109페이지
- ^ B.B. 베이커와 E.T.콥슨, Huygens 원리의 수학 이론(Oxford University Press, 1939), 페이지 36-38.
- ^ D. Miller, "Huygens의 파동 전파 원리 수정", Opt.장 16, 1370-1372(1991)
- ^ "APS Member History". search.amphilsoc.org. Retrieved 16 April 2021.
- ^ "G.R. Kirchhoff (1824–1887)".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Retrieved 22 July 2015.
- ^ 전자의 역사:The Birth of Microphysics는 Jed Z에 의해 편집되었습니다.앤드류 워릭
- ^ Larmor, Joseph (1897), Bibcode:1897RSPTA.190..205L, doi:10.1098/rsta.1897.0020 ,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190: 205–300,
- ^ Laidler K.J. and Meiser J.H., "물리화학" (Benjamin/Cummings 1982), 페이지 62
- ^ Atkins P. and de Paula J., "Atkins Physical Chemistry" (8th edn, W.H. Freeman 2006), 페이지 56
- ^ Merritt, Ernest (1895). "Review of Vorlesungen über mathematische Physik. Vol. IV. Theorie der Wärme by Gustav Kirchhoff, edited by Max Planck". Physical Review. American Physical Society: 73–75.
레퍼런스
- Warburg, E. (1925). "Zur Erinnerung an Gustav Kirchhoff". Die Naturwissenschaften. 13 (11): 205. Bibcode:1925NW.....13..205W. doi:10.1007/BF01558883. S2CID 30039558.
- Stepanov, B. I. (1977). "Gustav Robert Kirchhoff (on the ninetieth anniversary of his death)". Journal of Applied Spectroscopy. 27 (3): 1099. Bibcode:1977JApSp..27.1099S. doi:10.1007/BF00625887. S2CID 95181496.
- Everest, A S (1969). "Kirchhoff-Gustav Robert 1824–1887". Physics Education. 4 (6): 341. Bibcode:1969PhyEd...4..341E. doi:10.1088/0031-9120/4/6/304.
- Kirchhoff, Gustav (1860). "Ueber die Fraunhoferschen Linien". Monatsberichte der Königliche Preussi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zu Berlin: 662–665. ISBN 978-1-113-39933-5. HathiTrust 전문.Magie, William Francis, A Source Book in Physical (1963년)에서 영어 부분번역 가능.케임브리지:하버드 UP. 페이지 354-360
추가 정보
- 수학 계보 프로젝트의 구스타프 키르히호프 씨
- O'Connor, John J.; Robertson, Edmund F., "Gustav Kirchhoff", MacTutor History of Mathematics archive, University of St Andrews
- Weisstein, Eric Wolfgang (ed.). "Kirchhoff, Gustav (1824–1887)". ScienceWorld.
- 클라우스 헨첼: 구스타프 로버트 키르히호프 und sine Zusammenarbit mit Robert Wilhelm Bunsen, 인: 카를 폰 메이엔 (Hrsg)뮌헨, Die Grossen Physiker: Beck, vol. 1(1997), 페이지 416-430, 475-477, 532-534.
- Klaus Hentshel: 스펙트럼 지도 작성. 연구 및 교육에서의 시각적 표현 기술, 옥스퍼드: OUP, 2002.
- 키르히호프의 1857년 전선 내 전기신호 속도에 관한 논문
Wikisource 텍스트:
- "Kirchhoff, Gustav Robert". Encyclopedia Americana. 1920.
- "Kirchhoff, Gustav Robert". The New Student's Reference Work. 1914.
- "Kirchhoff, Gustav Robert". Encyclopædia Britannica (11th ed.). 1911.
- "Kirchhoff, Gustav Robert". New International Encyclopedia. 1905.
- "Sketch of Gustav Robert Kirchhoff". Popular Science Monthly. Vol. 33. May 1888.
- "Kirchhoff, Gustav Robert". The American Cyclopædia. 1879.
외부 링크
Wikiquote의 Gustav Kirchhoff 관련 인용문
Wikimedia Commons의 Gustav Robert Kirchhoff 관련 미디어
- 라이브러리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