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레 에스판디아리
Haleh Esfandiari할레 에스판디아리 | |
---|---|
태어난 | ( 1940년 3월 3일( |
시민권 | 이란어, 아메리칸 |
배우자 | 샤울 바하시 |
학력 | |
모교 | 빈 대학교 |
학술적인 일 | |
기관 | 테헤란 매스커뮤니케이션 대학 프린스턴 대학교 우드로윌슨 국제학술센터 |
할레 에스판디아리(Haleh Esfandiari, 1940년 3월 3일 ~ )는 이란계 미국인 학자로 워싱턴 D.C.의 우드로 윌슨 국제학자센터의 중동 프로그램 이사이다.그녀의 전문 분야에는 중동 여성 문제, 현대 이란의 지적 동향과 정치, 중동의 민주주의 발전 등이 포함됩니다.그녀는 2007년 [1]5월 8일부터 8월 21일까지 110일 이상 이란 테헤란의 에빈 교도소에 수감되었다.
전기
에스판디아리는 이란에서 태어나 자랐다.그녀는 1979년 이란 [2]혁명 때문에 남편과 딸과 함께 이란을 떠나 1980년부터 미국에 살고 있다.그녀는 미국-이란 이중 [3]국적을 가지고 있다.
에스판디아리는 유대계 이란계 미국인인 조지 메이슨 [2]대학의 역사학과 페르시아학 교수인 Shaul Bakhash와 결혼했다.그녀는 1960년대 초 이란 신문 케이한의 [2]기자로 있을 때 박하쉬를 만났다.그들은 딸 한 명과 손녀 [4]두 명이 있다.
직업
에스판디아리는 이란을 떠나기 전 언론인 경력을 갖고 테헤란에 있는 매스커뮤니케이션 대학에서 가르쳤다.그녀는 또한 이란 여성 조직의 사무차장이었으며 여러 박물관과 예술 및 문화 센터를 책임졌습니다.그녀는 [5]비엔나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미국에서 에스판디아리는 1980년부터 1994년까지 프린스턴 대학에서 페르시아어, 현대 페르시아 문학, 이란 여성운동에 관한 강좌를 가르쳤다.그녀는 1995년부터 [5]1996년까지 윌슨 센터의 펠로우였다.그녀는 1997년부터 윌슨 센터에서 중동 프로그램의 책임자로 일하고 있다.그녀는 또한 윌슨 센터의 RAND Corporation의 중동 [6]청소년 이니셔티브와의 협력에도 관여했습니다.
에스판디아리는 1995년 [7]펠로우십 프로그램의 첫 해에 민주주의를 위한 국립 기금의 펠로우였다.에스판디아리는 맥아더 재단 [5]조성금의 수령자이다.그는 이란 정치인 [8]파제미 라프산자니 전 대통령의 딸인 파이자(파제) 하세미 라프산자니와 친분이 두터웠던 것으로 알려졌다.에스판디아리는 2011년부터 평화연구재단의 [9]이사국이다.
작동하다
Esfandiari는 "재건축된 삶: 여성과 이란의 이슬람 혁명(1997년).2004년에는 워싱턴 근동정책연구소의 이란 [10]이슬람혁명 25주년 정책감시특별포럼 논문을 공동 집필하기도 했다.2005년 4월에는 포린 폴리시에 "이란 여성 제발 일어나세요"[11]라는 제목의 글을 기고했다.
에스판디아리의 책 나의 감옥, 나의 집: 이란에서[12] 감금된 한 여성의 이야기는 2009년 9월에 출판되었다.
이란에서의 구금
2006년 12월 30일, 에스판디아리는 지난 10년 동안 1년에 두 번 정도 방문했던 이란 테헤란에 사는 93세의 어머니를 면회한 후 공항으로 가던 중 3명의 남성에게 칼부림을 당했다.이 사건 동안, 그 남자들은 그녀를 죽이겠다고 위협했고, 그들은 그녀의 짐과 그녀의 미국과 이란 여권을 모두 훔쳤다.결과적으로, 그녀는 그 [13]나라를 떠나는 것이 허락되지 않았다.그녀가 새로운 여행증명서를 신청했을 때, 그녀는 대신 이란을 떠나는 것을 금지당했고 이란 정보부 당국으로부터 6주 동안 조사를 받았다.총 50시간 가량 진행된 이 심문은 주로 윌슨 센터에서의 그녀의 작업에 초점을 맞췄다.이 기간 동안, 그녀는 매일 집으로 돌아가도록 허락받았지만, "허위 자백을 하거나 윌슨 센터가 관여하지 않은 활동에 거짓으로 연루되도록 압력을 받았다."[14]2007년 1월 18일, 심문관과 다른 3명의 남성(비디오 카메라를 든 1명)이 에스판디아리가 낮잠을 자고 있을 때 그녀의 집에 침입하여 그녀의 노트북 컴퓨터와 다른 [15]물건들을 가져갔다.
5월 초, 그녀는 다시 반정부 활동에 참여했다는 자백을 요구받았지만, 그녀는 그것을 [16]거부했다.2007년 5월 7일, 그녀는 정보부에 보고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그녀는 다음날 아침 그곳에 도착하자마자 체포되어 테헤란의 에빈 [17]교도소로 압송되었다.그녀는 4이중게 나타났던 미국과 이란 시민들의 이란 정부에 의해 유사한 상황에서 2007년 구속을, 다른 사람들 라디오 Farda 특파원 Parnaz Azima, 알리 Shakeri 센터의 시민 Peacebuilding 대학 캘리포니아 Irvine,[18]과 기안 Tajbakhsh, 오픈 Societ에 대한 이란 미국의 컨설턴트에서 중.y 인스티튜니트.전직 FBI 요원인 로버트 레빈슨은 2007년 [19]3월 실종된 이후 이란에서 실종됐다.
에빈 교도소에 수감되어 있는 동안 에스판디아리는 대부분의 저녁에 어머니에게 1~2분간 전화를 걸 수 있었지만 다른 가족들과의 [20]접촉은 허용되지 않았다.2007년 5월 15일, 이란 사법부의 알리 레자 잠시디 대변인은 에스판디아리가 국가 안보에 반하는 범죄로 조사를 받고 있으며 그녀의 사건은 정보부에 [16]의해 처리되고 있다고 확인했다.2007년 5월 21일, 이란 국영 TV는 이란 정부가 에스판디아리를 이슬람 정권을 무너뜨리려 한다고 비난했다고 발표했다.정보부는 심문 과정에서 에스판디아리가 소로스 [21]재단의 자금 지원을 받았다고 시인했다고 밝혔다.이란은 이례적으로 이란과 미국 고위관리가 만난 지 하루 만인 2007년 5월 29일 사법부가 에스판디아리에 [22]대한 체제 선전과 외국인 스파이 활동을 통해 국가 안보를 위협했다고 발표했다.
릴리스 요청
에스판디아리의 구금 사실이 발표되기 전까지 박하시와 윌슨 센터는 모두 그녀의 여행 서류가 결국 반환되고 그녀가 미국으로 돌아갈 수 있기를 바라며 그녀의 사건을 공개하지 않았다.마무드 아마디네자드 이란 대통령과 자바드 자리프 유엔 주재 이란 대사는 에스판디아리의 석방을 위해 도움을 요청했다.아마디네자드는 대답하지 않았지만 자리프는 "도움이 되고 싶다는 뜻을 나타냈다"[23]고 말했다.
2007년 5월 9일 그녀의 구금에 대한 보도가 있은 후, 박하쉬와 윌슨 센터 둘 다 이 상황에 대해 언론에 성명을 발표했다.이란은 에스판디아리가 구금되어 있다는 것을 즉각 확인하지 않았다.미 국무부는 그녀의 [24]석방을 요구했다.2007년 5월 11일, 미국 대통령 후보 힐러리 클린턴과 버락 오바마와 바바라 미쿨스키, 벤저민 L. 카딘, 하원의원 3명이었다.크리스 반 홀렌은 에스판디아리의 [25]석방을 요구했다.당시 탄원서와[26] 함께 에스판디아리의 석방을 요구하는 두 가지 운동이 미국 이슬람회의와 [27]중동평화학회에 의해 시작되었다.
2007년 5월 15일 고든 H. 스미스와 힐러리 클린턴 상원의원은 에스판디아리의 즉각적이고 무조건적인 [28]석방을 촉구하는 결의안(S. RESS 199호)을 제출했다.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도 에스판디아리의 즉각적인 석방을 요구했다.2007년 5월 17일, 이란의 인권 운동가이자 노벨상 수상자인 시린 에바디는 에스판디아리의 즉각적인 석방을 요구하며 그녀가 압돌파타 솔타니와 [29]함께 에스판디아리의 변호사 중 한 명으로 활동할 것이라고 발표했다.그러나 이슬람혁명법원 검사는 에스판디아리의 변호인 접견을 막고, 에스판디아리의 혐의에 대한 자세한 정보 제공을 거부했으며,[30] 두 차례에 걸쳐 에스판디아리의 교도소 면회를 허락하지 않았다.이틀 후, 북미 중동학회는 아마디네자드에게 서한을 보내, 이란이 에스판디아리와 다른 [31]학자들을 구금하는 것에 우려를 표명했다고 발표했다.노암 촘스키 매사추세츠공대 교수는 성명을 내고 에스판디아리의 구금을 개탄하며 향후 [31]이란 공격을 고려하고 있는 미국 관리들에게 선물이라고 말했다.미시간대 교수이자 북미 중동학회 전 회장인 후안 콜은 2007년 여름 이란에서 열릴 예정이던 회의를 보이콧하겠다고 밝히며 다른 학자들에게도 [31]같은 결정을 촉구했다.
2007년 5월 22일, 미국 대표 Chris Van Hollen, Tom Lantos, Eliza E. Cummings, Wayne T. 길크레스트와 게리 애커맨은 에스판디아리의 [32]석방을 요구하는 결의안인 H. RESS. 430을 제출했다.2007년 7월 16일, Esfandiari의 영상은, 이란 국영 텔레비전 채널 IRIB의 [33]「민주주의의 이름으로」라고 하는 프로그램에 처음으로 등장했다.에스판디아리는 스카프를 두르고 [34]페르시아어로 말하는 것이 보였다.
2007년 8월경, 리 해밀턴은 이란의 역사와 문화를 설명하기 위한 그녀의 광범위한 노력을 언급하며, 이란의 최고 지도자인 알리 하메네이에게 에스판디아리를 대신해서 호소문을 보냈다.해밀턴은 아야톨라의 사무실로부터 그가 이 문제를 다룰 것이며 "가능한 [35]한 빨리 필요한 조치가 취해질 것"이라는 흔치 않은 서명 없는 답변을 받았다.
보석으로 풀려나다
2007년 8월 21일 에스판디아리는 어머니가 테헤란 아파트에 [36][37]증서를 넘겨준 후 33만3천 달러의 보석금을 내고 풀려났다.그녀의 여권이 반환되었고 그녀는 이란을 떠나 9월 [38]2일 오스트리아로 날아갔다.이후 인터뷰에서 그녀는 감금되어 있는 동안 좋은 대우를 받았다고 진술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Menkes, Suzy (17 September 2013). ""Iranian-American academic held in notorious Iran prison", 9 May 2007".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Retrieved 26 September 2013.
- ^ a b c "Family hears little from scholar Iran detains". St. Petersburg Times. Associated Press. May 27, 2007. Retrieved June 24, 2013.
- ^ Wright, Robin (May 31, 2007). "Md. Bank Freezes Funds of Scholar Jailed in Tehran". The Washington Post. p. A04. Retrieved June 24, 2013.
- ^ Wright, Robin (July 19, 2007). "Iranian TV Airs Video of Jailed American Scholar". The Washington Post. Retrieved June 24, 2013.
- ^ a b c "Haleh Esfandiari". Wilson Center. Retrieved June 24, 2013.
- ^ "Best Practices: Progressive Family Laws in Muslim Countries". RAND Corporation. Retrieved October 26, 2010.
- ^ "Past Fellows: Haleh Esfandiari (February–June 1995)". National Endowment for Democracy. Spring 199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15, 2008. Retrieved June 24, 2013.
- ^ MacFarquhar, Neil (May 9, 2007). "Prominent Iranian-American Academic Is Jailed in Tehran".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June 24, 2013.
- ^ "Board". Retrieved June 24, 2013.
- ^ Seener, Barak; Esfandiari, Haleh (February 27, 2004). "The 25th Anniversary of Iran's Islamic Revolution: Looking Back and Ahead". Washington Institute for Near East Policy. Retrieved June 24, 2013.
- ^ Esfandiari, Haleh (November 9, 2005). "Iranian Women Please Stand Up". Foreign Policy. Retrieved June 24, 2013.
- ^ ISBN 978-0-06-158327-8
- ^ MacFarquhar, Neil (May 9, 2007). "Prominent Iranian-American Academic Is Jailed in Tehran".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October 26, 2010.
- ^ "Statement on the Arrest in Tehran of Haleh Esfandiari, Director of the Woodrow Wilson Center's Middle East Program". Woodrow Wilson International Center for Scholars. May 21, 2007. Retrieved October 30, 2011.
- ^ "Iranian-Americans Detained in Iran". The Diane Rehm Show. 2007-05-24. Retrieved 2008-12-01.
- ^ a b "Reports from Tehran Indicate that Haleh Esfandiari Has Been Formally Charged with Espionage and Endangering Iranian Security". Wilsoncenter.org. June 11, 2007. Retrieved October 26, 2010.
- ^ Wright, Robin (2007-05-09). "Tehran Jails Iranian American Scholar After Long House Arrest". The Washington Post. p. A12. Retrieved 2008-12-01.
- ^ Powers, Ashley; Yvonne Villarreal (2007-05-26). "Popular businessman linked to UC Irvine is missing in Iran". Los Angeles Times. p. B-1. Retrieved 2008-12-01.
- ^ "Intrigue Surrounds Former FBI Agent Who Disappeared in Iran Two Months Ago".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Associated Press. 2007-05-10. Retrieved 2007-05-13.
- ^ MacFarquhar, Neil (May 22, 2007). "Iran Accuses American of Revolution Plot".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October 26, 2010.
- ^ "Iran accuses US-Iranian scholar". BBC News. 2007-05-22. Retrieved 2008-12-01.
- ^ Wright, Robin (May 30, 2007). "Americans in Iran Accused of Spying". Washington Post. Retrieved October 26, 2010.
- ^ Slavin, Barbara (2007-05-08). "Middle East scholar jailed in Iran". USA Today. Retrieved 2010-05-04.
- ^ Pelofsky, Jeremy; Sue Pleming (2007-05-09). "Academic from U.S. center arrested in Iran". Reuters. Retrieved 2007-05-09.
- ^ Wright, Robin (2007-05-11). "Lawmakers Call for Release of U.S. Scholar Held in Iran". Washington Post. Retrieved 2007-05-13.
- ^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2007-08-13). "Refworld Iran: No decision on detained Iranian-Americans after inquiry". UNHCR. Retrieved 2010-05-07.
- ^ "Petitions - Petition to the Government of Iran to Free Haleh Esfandiari, Kian Tajbakhsh and Ali Shakeri". SPME. Retrieved 2010-05-07.
- ^ "Read The Bill: S. Res. 199 110th". GovTrack.us. 2007-05-15. Retrieved 2010-05-07.
- ^ Omestad, Thomas (2007-05-17). "Iran's 'Illegal' Jailing of an American Scholar". U.S. News & World Report.
- ^ "Gulf Times – Qatar's top-selling English daily newspaper - Gulf/Arab World". Gulf-times.com. 2007-05-19. Retrieved 2010-05-07.
- ^ a b c Wright, Robin (2007-05-20). "Academics May Boycott Iran Over Scholar's Detainment". Washington Post. p. A20.
- ^ "Read The Bill: H. Res. 430 (110th)". GovTrack.us. Retrieved 2010-05-07.
- ^ Fathi, Nazila (July 17, 2007). "Iran Puts Detained Scholars Before TV Cameras". New York Times. Retrieved October 26, 2010.
- ^ "Iranian TV Shows Two Detained Iranian-Americans - Radio Free Europe / Radio Liberty © 2010". Rferl.org. 2007-07-16. Retrieved 2010-05-07.
- ^ "Iran releases detained American - CNN.com". CNN. 2007-08-22. Retrieved 2010-05-04.
- ^ "Iran frees detained US academic". BBC News Online. 21 August 2007.
- ^ Hossein Jaseb (2007-08-21). "Iran frees U.S. academic on bail". Reuters.
- ^ Fathi, Nazila (September 3, 2007). "Scholar Accused of Spying Leaves Iran; Another Stays in Jail". New York Times. Retrieved October 26, 2010.
외부 링크
- Haleh Espandiari 개인 홈페이지
- 뉴욕 리뷰 오브 북스 기고자 페이지
- "Haleh Esfandiari". Woodrow Wilson International Center for Scholars. Retrieved June 24, 2013.
- "Iran Detains Iranian-American Scholar". All Things Considered. National Public Radio. May 9, 2007. Retrieved June 24, 2013.
- 2007년 5월 21일 윌슨 센터 할레 에스판디아리의 테헤란에서의 체포에 관한 성명.
- "Release Haleh Esfandiari". New York Review of Books. June 28, 2007.
- Haleh Esfandiari MIPtalk.com 인터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