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롤드 D.해리스

Harold D.
해럴드 더글러스 해리스
닉네임"버키"
태어난(1903-02-04)1903년 2월 4일
와이오밍 주의 라라미
죽은1984년 9월 20일 (1984-09-20) (81)
플로리다 주 레이클랜드
얼리전스 미국
서비스/지점USMC logo.svg 미국 해병대
근속년수1925–1950
순위US-O7 insignia.svg 준장
서비스 번호0-3969
보유된 명령해병 5연대
전투/와이어니카라과 전역
제2차 세계 대전
수상레지오트 오브 메리트
동스타 메달
퍼플 하트

해럴드 더글러스 해리스(Harold Douglas Harris, 1903년 2월 4일 ~ 1984년 9월 20일)는 준장 계급의 미 해병대 장교였다.해리스는 제5 해병 연대를 지휘하면서 니카라과에서 게릴라들과 싸웠고, 그 후 제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군과 싸웠다.

조기근무

해리스는 1903년 2월 4일 와이오밍 주의 라라미에서 태어났다.그는 메릴랜드 주 아나폴리스의 미국 해군 사관학교에 임명되었고, 1925년 6월에 과학 학사 학위를 받고 졸업했다.그는 그 기간 동안 해병대 2중대위로 임관해 메릴랜드주 윈드롭에 있는 해병대 소총사거리에 배치되었다.해리스는 그 후 필라델피아에 있는 해병대 기본학교에 배치되어 소총 소대장에 필요한 전투 기술을 교육받았다.

1926년 졸업 후 해리스는 니카라과로 항해를 떠났고, 그곳에서 1929년 2월 19일 산디나스 산적단과 함께 전투 중 부상을 입었다.[1]이후 중국 톈진(天津)에서 외국 해안에 근무했다.해리스도 조지아포트 베닝보병학교에 다녔고 1935년 졸업했다.

제2차 세계 대전

1938년 해리스는 프랑스로 파견되어 파리에콜 수페르게레에 다녀왔다.제2차 세계대전의 발발과 함께 해리스는 그 나라에서 미국 시민들을 대피시키는 데 참여하였다.피난에 대한 그의 역할로 해리스는 후에 윌리엄 C의 표창장을 받았다. 불릿, 주프랑스 미국 대사.

해리스는 미국으로 돌아온 후 워싱턴 D.C.에 있는 본부 해병대에 배치되어 기획정책과에서 해병대 정보과 담당 장교의 보좌관으로 근무했다.그는 페드로 발레 대령과 함께 사단구조 연구에 참여했으며, 이후 USMC에 기본적 권고를 하였는데, 여기에는 물류와 포병 및 탱크 수송(착륙선)에 중점을 둔 삼각형 모델(3연대, 3개 대대, 3개 중대, 3개 플래툰 등), 공격조직으로서의 포메이션이 주안되었다.[2]

그는 1942년 7월 리치먼드 K 제독 휘하의 남태평양 수륙양용군 사령관의 참모로 정보 장교로 전보될 때까지 이 자격으로 남아 있었다. 터너.Harris는 과달카날 캠페인 기간 동안 이 자격으로 복무했다.1943년 초에는 해병대(Less Aviation) 솔로몬스 참모총장에 임명되었다.

1943년 6월, 해리스는 제1 해병 연대 임원으로 임명되었고, 뉴 브리튼 캠페인 기간 동안 이 자격으로 복무했다.이 역량에 대한 그의 봉사로 해리스는 전투 "V"로 동스타 훈장을 받았다.1944년 2월 현재 해리스 중령은 정보관 겸 참모총장, 제1해병사단장으로 임명되어 케이프 글로스터 전투 당시 윌리엄 H. 루퍼투스 소장의 지휘를 받았다.[3][4]해리스는 5해병 연대의 9월 15일 사령관과 후에 항공 정찰 피포 위 전술이 요구되겠지만, 또는 포병과 네이팜탄을 사용하여 그를 납득시킨 전투 Peleliu[5][6][7]사령의 Pelelieu에 참석한 이 부대를 지휘했다, 그는 구"남성들의 삶과 병기와 인색한을 풍족히 쓰"로 유명하다 임명되었다. 'blowtor정면 공격 대신 [8][9]철조망과 코르크 마개야그는 10월 20일 사령부에서 해임되었고 미국으로 다시 전출되었다.Pellelieu에서 복무한 공로로 Harris는 전투 "V"가 있는 레지옹 공로 훈장을 받았다.

전후 경력

귀국 후 해리스는 워싱턴 D.C.에 있는 육해군 참모대학의 강사로 임명되어 1946년 3월까지 이 자격으로 복무했다.이런 자격으로 복무한 해리스는 후에 육군 표창장을 받았다.이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군사참모위원회 미 해군대표부의 보좌관으로 임명됐다.

이어 영국 런던에 본부를 두고 지중해 해군사령관의 참모진에서 해병대 장교를 지냈다.1949년 10월 유럽에서 귀국하여 워싱턴 D.C.의 본부 해병대에 배치되어 퇴직을 기다리고 있다.해리스는 또한 1950년 1월 모로코 정부에 의해 오위삼 알라우이테 훈장, 지휘관 훈장을 받았다.1950년 1월 1일 마침내 해병대에서 퇴역하였고, 같은 날 전투에서 특별히 추대되어 퇴역자명단의 준장으로 진급되었다.

해리스는 은퇴 후 플로리다주 레이크랜드에 거주하다가 1984년 9월 20일 그곳에서 사망했다.그는 플로리다 바토우오크묘지에 묻혔다.

장식 및 시상

해리스의 군 리본 바:[10][11]

V
V
Bronze star
Bronze star
Bronze star
Bronze star
Bronze star
Bronze star
1열로 전투 "V"가 있는 레지옹 공로
2열로 전투 "V"가 포함된 동스타 메달 육군 표창장 퍼플 하트 별 1개 달린 해군 대통령부대 표창장
3열로 해군 부대 표창 해병대 원정훈장 제2회 니카라과 캠페인 메달 미국 방위군 훈장(외국인 서비스 걸쇠 포함)
사열로4길 아메리칸 캠페인 메달 4명의 서비스 스타와 함께하는 아시아 태평양 캠페인 메달 제2차 세계 대전 승리 메달 오위삼 알라우이테 훈장, 지휘관(모로코)

외부 링크

참조

  1. ^ "The U.S. Marines in Nicaragua 1910–1933". Retrieved 2 January 2015.[영구적 데드링크]
  2. ^ Daugherty, Leo (2008). Pioneers of Amphibious Warfare, 1898–1945: Profiles of Fourteen American Military Strategists. p. 289. ISBN 978-0786433940.
  3. ^ Clark, George B. (27 July 2006). The Six Marine Divisions in the Pacific. ISBN 9780786427697. Retrieved 2 January 2015.
  4. ^ "USMC Monograph -- The Campaign on New Britain; Appendix VII, Command and Staff". Retrieved 2 January 2015.
  5. ^ "Bloody Beaches" (PDF). Retrieved 3 January 2015.
  6. ^ "The Umbregol Pocket". Retrieved 3 January 2015.
  7. ^ "The Early Battle in Division Center". Retrieved 3 January 2015.
  8. ^ "Bloody Beaches". Retrieved 2 January 2015.
  9. ^ McEnrey, Jim (2012). Hell in the Pacific : a Marine rifleman's journey from Guadalcanal to Peleliu. Simon & Schuster. p. 258. ISBN 978-1-4516-5913-9.
  10. ^ "Private Law 85-704" (PDF). United States Statutes at Large, Volume 72, 85th Congress, 2nd Session. Retrieved 22 January 2015.
  11. ^ "Valor awards for Harold D. Harri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1-04. Retrieved 3 January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