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리 2세
Henry II the Pious헨리 2세 | |
---|---|
![]() | |
폴란드 대공 | |
통치. | 1238–1241 |
전임자 | 헨리 1세 |
후계자 | 콘라드 1세 |
실레지아 공작 | |
통치. | 1238–1241 |
전임자 | 헨리 1세 |
후계자 | 볼레스와프 2세 |
태어난 | c.1196 |
죽은 | 1241년 4월 9일 (44~45세) 레그니키 폴 |
매장 | 브로츠와프 성 빈센트 교회 |
배우자. | 보헤미아의 앤 |
쟁점. | 브로츠와프의 콘스탄스 볼레스와프 2세[1] 루부스의 미에스코 헨리 3세 콘라트 1세 브로츠와프의 엘리자베트 잘츠부르크의 라디슬라프 |
하우스. | 실레시안 피아스트 |
아버지. | 헨리 1세 |
어머니. | 안데크의 헤드위그[2] |
헨리 2세 (폴란드어:헨리크 2세 포보시니(Henryk II Pobonyny, 1196년 ~ 1241년 4월 9일)는 실레지아 공작이자 폴란드 대공(재위: 1238년 ~ 1241년)이다.1238년에서 1239년 사이에 그는 산도미에스와 오폴레-라시보르츠의 섭정을 지냈다.그는 헨리 더 비어드의 아들이었고 실레지안 피아스트 왕조의 일원이었다.2015년 10월, 로마 가톨릭 레그니차 교구는 시복의 명분을 공개하여 그에게 신의 [3][4]종이라는 칭호를 부여하였다.
초기 생활
헨리 1세는 폴란드 대공 헨리 1세와 안데흐의 [5]헤드위그의 둘째 아들이었다.그의 형 볼레스와프는 1206년에 [2]죽었다.1213년, 그의 동생 콘라드 더 컬리는 사냥 도중 죽었고, 어린 헨리는 로어 실레지아의 유일한 상속자가 되었다.1218년경 그의 아버지는 [6]보헤미아 왕 오토카르 1세의 딸 안네와의 결혼을 주선했다.왕실의 프에미슬리드 왕조와의 결합은 헨리 1세가 국제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허락했다.
헨리 더 비어드는 재빨리 그의 유일한 생존 아들을 유일한 후계자로 지정했고, 1222년부터 어린 왕자는 그의 아버지와 함께 문서에 서명했다.1224년까지, 그는 자신의 인장과 공증을 가지고 있었다.1227년, 피아스트 공작들이 가사와에서 회의를 하는 동안, 수염왕 헨리 1세와 백공 레제크 1세가 매복 공격을 받았다.레제크는 죽었고 헨리는 중상을 입었다.경건한 헨리 1세는 임시 공작으로 활동하였다.1229년, 수염왕 헨리는 마소비아 공작 콘라드 1세에 의해 붙잡혔고, 다시 어린 헨리는 임시 공작으로 활동했습니다.1229년부터 1230년까지 그는 루부시 땅을 되찾고 소유권을 확보하기 위해 군사 원정을 이끌었으며, 1233년부터 1234년까지 프러시아와 대폴란드에서 아버지의 일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였다.1234년, Henry the Bearded는 그의 아들을 공동 통치자로 명명했다.나중에, 턱수염왕 헨리는 크라쿠프와 실레지아의 공작령을 받았고, 경건한 왕 헨리 1세는 실레지아와 대폴란드의 공작령을 받았다.1238년 3월 19일 수염왕 헨리 1세가 사망했을 때, 헨리 1세는 실레지아, 크라쿠프, 대폴란드의 공작이 되었다.
단독 통치
헨리는 아버지로부터 실레지아 하부를 상속받았다.남부 대폴란드와 크라쿠프는 고인이 된 대폴란드 공작 브와디스와프 3세가 그의 모든 땅을 수염왕 헨리에게 물려주었음에도 불구하고 피아스트 왕자들에 의해 통치되었다.이 유언장은 마소비아의 콘라드 공작과 브와디스와프 3세의 조카 브와디스와프 오도니치에 의해 무시되었다.
하인리히 2세는 소수의 통치자 미에스코 2세와 볼레스와프 5세의 통치 기간 동안 오폴레-라시보르츠 공국과 산도미에르츠 공국에 대한 섭정으로서 그의 권위를 유지할 수 있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1239년 헨리는 오폴레 공작과 산도미에르츠 공작과 좋은 관계를 유지했지만 섭정직을 사임할 수밖에 없었고, 대 폴란드 칼리시와 [7]비엘루스를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
북서쪽의 상황은 더 복잡했다.브란덴부르크의 오토 3세는 산토크에 있는 중요한 대폴란드 요새를 점령하고 루부스를 포위했다.헨리 2세는 또한 마소비아의 콘라드, 브와디스와프 오도니치, 그리고 그니에즈노 대주교 페카가 이끄는 교회와의 분쟁을 물려받았다.1239년 6월 5일 브와디스와프 오도니치가 사망하자 상황은 예기치 않게 바뀌었다.헨리 2세는 그니에즈노를 포함한 오도닉의 재산 대부분을 가져갔고, 나크워드 노트치와 우지에를 오도닉의 아들들에게 남겼다.
그 후 헨리는 호엔슈타우펜 황실과의 전통적인 동맹을 포기하고 교황 그레고리오 9세를 지지하여 [8]교회와의 분쟁을 즉시 해결하였다.그 후 그는 두 딸, 즉 게르트루데와 볼레스와프, 콘스탄스와 쿠야비아의 카지미르 1세의 결혼을 주선함으로써 마소비아의 콘라드와의 갈등을 종식시켰다.1239년, 헨리 2세는 [7]루부즈 전투에서 헨리가 승리한 후 오토 3세로부터 산톡 요새를 되찾았다.
몽골의 침략
동양에서는 새로운 위험한 적수가 나타났다. 바로 루스의 침략 이후 헝가리 왕국을 다음 표적으로 선택한 바투 칸의 지도 아래 몽골족이다.바투 칸은 헝가리를 점령하기 전에 폴란드를 장악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1241년 1월, 바투는 루블린과 자이초스트에 정찰병을 보냈다.한 달 뒤 오르다가 이끄는 10,000명의 군대가 침략을 개시했다.소폴란드에서는 투르스코 전투(2월 13일)와 타르체크 전투(3월 18일)에서 몽골군이 크라쿠프, 브워지미에르츠, 브르체니카의 카스텔란 크르멘트를 포함한 거의 모든 크라쿠프와 산도미에츠 귀족들을 물리치고 전사했다.크라쿠프와 산도미에스를 포함한 모든 소폴란드는 [9]몽골군의 손에 넘어갔다.
헨리는 서방의 통치자들로부터 약속한 원조를 기다리지 않고 레그니차에 소폴란드와 그의 실레지안과 대폴란드 군대를 집결시키기 시작했다.유럽의 통치자들은 신성 로마 제국과 교황권 사이의 싸움에 더 집중했고, 그들은 도움을 요청하는 헨리의 요청을 무시했다.그와 합류한 유일한 외국군은 보헤미아의 왕 바센슬라우스 1세와 몇몇 템플 기사단의 연합군이었다.일부 소식통들은 유럽군이 아마도 기독교 군대가 몽골군의 손쉬운 먹잇감이 될 것을 우려하여 레그니차 근처에서 그들의 군대를 정지시켰다고 보고한다.레그니차 전투는 1241년 4월 9일에 일어났다.헨리는 패배하고 [10]전사했다.
이 패배는 유럽의 군주들, 특히 도움을 거절한 프레데릭 2세 황제와 헝가리의 벨라 4세 왕, 그리고 앙리의 상부 실레지안 사촌 미에스코 2세가 [11]몽고족의 속임수를 써서 전투에서 예상치 못한 퇴각으로 비난을 받았다.헨리의 죽음에 대한 두 가지 묘사가 있는데, 하나는 얀 드 우고시(오늘날 의심스럽다고 여겨짐)가 제출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C. de Brigia가 그의 Historyii Tartatorum(현재는 더 믿을 만하다고 생각됨)에 제출한 것이다.그러나 몽골군은 나라를 점령할 생각이 없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모라비아를 거쳐 헝가리로 향했고, 바투칸의 본군과 연결되기를 원했다.헨리의 벌거벗고 목이 잘린 시체는 그의 일부다처증 때문에 그의 아내만이 확인할 수 있었다.그는 [12]왼발에 발가락이 여섯 개였는데, 이것은 1832년 무덤이 열렸을 때 확인되었다.헨리는 성 프란치스코 교회 지하실에 묻혔다.브로츠와프(브레스라우)의 빈센트와 야콥.
불과 3년 동안 통치했음에도 불구하고 헨리는 기독교의 완벽한 기사이자 영주, 순교자로 실레지아, 대폴란드, 크라쿠프의 기억 속에 남았고 그의 빛나는 경력은 그의 이른 죽음으로 갑작스럽게 끝이 났다.그가 죽자 실레지아 피아스트 가문은 (헨리의 손자 헨리 4세 프로부스를 제외한) 실레지아의 수많은 공작들로 분열되었고, 이후 이웃 보헤미아 왕국의 영향을 받았다.
1944년, 독일 과학자들에 의해 무덤에서 실험실 테스트를 위해 끌려간 후, 그들은 왕자가 아리안이라는 것을 증명하기를 바랐었다.
결혼과 아이
1214년과 1218년 사이에 헨리는 [6]보헤미아 왕 오토카르 1세의 딸 안나 (1201년경–1265년 6월 23일)와 결혼했다.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 게르트루데(1218/20–1244/47년 4월 30일)는 1232년 마소비아의 볼레스와프 1세와 결혼했다.
- 콘스탄스 (1221/27–1253/1257년 5월 3일)는 1239년 쿠야비아의 카지미르 1세와 결혼했다.
- 볼레스와프 2세 (1220/25–1278년 12월 26일).
- Mieszko (1223/27 ~1241/1242 )
- 헨리 3세 (1222/30–1266년 12월 3일)
- 엘리자베스 (1224/1232–1265년 1월 16일)는 1244년 대폴란드의 프셰미슈 1세와 결혼했다.
- 콘라드 (1228/31 ~1273/1274년 8월 6일)
- 브와디스와프(1237년–1270년 4월 27일, 잘츠부르크 대성당 매장), 보헤미아 수상(1256년), 파사우 주교(1265년–1270년) 및 잘츠부르크 대주교(1265년–70년)
- 아그네스 (123/1236–1277년 5월 14일), 세인트루이스 수도원장.트레브니츠의 클라라.
- 헤드윅 (1238/41–1318년 4월 3일), 세인트루이스 수도원장.브로츠와프의 클라라.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Barbara H. Rosenwein (18 November 2013). Reading the Middle Ages, Volume II: Sources from Europe, Byzantium, and the Islamic World, c.900 to c.1500, Second Edition. University of Toronto Press. pp. 1103–. ISBN 978-1-4426-0610-4.
- ^ a b Guida M. Jackson; Guida Myrl Jackson-Laufer; Lecturer in English Foundations Department Guida M Jackson (1999). Women Rulers Throughout the Ages: An Illustrated Guide. ABC-CLIO. pp. 164–. ISBN 978-1-57607-091-8.
- ^ http://dlp90.pl/
- ^ "Thirteenth Century".
- ^ 할레키 2000, 페이지 98
- ^ a b Klaniczay 2000, 페이지 204
- ^ a b Przemysław Wiszewski. "The multi-ethnic character of medieval Silesian society and its influence on theregion's cohesion (12th–15th centuries)" (PDF). University of Wrocław. Retrieved 19 October 2020.
- ^ Encyklopedia Powschechna PWN 바르샤바 1975 vol.III 페이지 505
- ^ Kurstjens Huub. "The invasion of the Christian West by the Tatars (Mongols). A clash of civilizations between Frederick II, Gregory IX and the Tatars". Cyberleninka. Retrieved 19 October 2020.
- ^ 할레키 2000, 페이지 87
- ^ 체셔 1926, 페이지 89-105
- ^ Historyczne, Polskie Towarzystwo (1961). Mowia, wieki: magazyn historyczny (in Polish). Państwowe Zakłady Wydawn. Szkolnych. p. 52.
원천
- Cheshire, Harold T. (1926). "The Great Tartar Invasion of Europe". The Slavonic Review. Modern Humanities Research Association. 5 (13): 89–105. JSTOR 4202032. Retrieved 19 October 2020.
- Halecki, Oskar (2000). Borderlands of Western Civilization: A History of East Central Europe. Simon Publications.
- Klaniczay, Gábor (2000). Holy Rulers and Blessed Princesses: Dynastic Cults in Medieval Central Europe. Translated by Palmai, Eva.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