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버트 후버 디케
Herbert Hoover Dike허버트 후버 다이크는 플로리다의 오케초비 호수 주변의 둑이다.
역사
1910년대에 작은 토기가 건설되었다. 이 봉쇄는 1926년 그레이트 마이애미 허리케인과 1928년 오케초비 허리케인으로 수천 명이 사망했다. 이러한 재난이 있은 후 플로리다 주 의회는 홍수 통제 하에 미 육군 공병대와 협력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은 오케코비 홍수 통제 구역을 만들었다.[1]
허버트 후버 대통령이 이 지역을 직접 시찰한 후, 군단은 오케초비 호 연안의 홍수 수로와 통제 관문, 주요 제방을 건설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계획의 초안을 작성했다. 장기 체계는 홍수 조절, 수질 보존, 염수 침입 방지, 어류 및 야생 동물 개체군의 보존을 목적으로 설계되었다.[1]
1930년대에 호수 주변에 더 큰 제방 시스템이 건설되었다. 1947년 두 차례의 허리케인으로 인한 폭우와 홍수에 이어 1960년대에 다시 제방이 확장되어 현재의 허버트 후버 디케를 만들었다.[2]
둑이 호수를 거의 완전히 에워싸고 있다. 둑의 유일한 간극은 피쉬팅 크릭에서인데, 둑이 내륙으로 돌아서 양쪽으로 몇 마일이나 하천을 평행하게 하여 피쉬팅 크릭은 오케초비 호수의 유일하게 남아 있는 자유 흐름 지류로 남게 된다.[3] 건설 비용은 약 1억 6천 5백만 달러였다. 둑의 높이는 현재 평균 약 9m이다. 이것은 미래의 폭풍우 급증이나 홍수에 대비하기에 충분해야 한다. 그러나, 둑이 황폐해지고 있다는 일부 우려가 있다.[2]
둑 위에서 달리는 자전거 길인 오케초비 호수 경치 탐방로는 1993년에 헌화되었다. 이 트레일은 플로리다 국립 경관 트레일의 '오케초비 세그먼트(FNT)'로 시작됐으며 마이애미와 펜사콜라 사이의 1,000마일 트레일에 속한다.
비디오 기록
미국 육군 공병대가 제작한 허버트 후버 디크의 짧은 영상 역사, USACE: 오케코비 호수, 허버트 후버 디케. 이 비디오는 https://www.youtube.com/watch?v=KpkhJgV_mLo에서 무료로 볼 수 있다.
환경
수년에 걸쳐 호수 주변의 홍수 조절 문제는 환경에 피해를 가져왔다. 이 때문에 호수에서 하천이 흘러나와 녹조가 바다로 흘러 나가는 것을 막아 최근 녹조현상(2016년)도 이어지고 있다. 수십 년 동안 농업과 다른 토지 이용으로 인한 유출은 오케초비 호수의 수질 문제를 악화시켰다.
미국 육군 공병대
허가
허버트 후버 다이크(HHD)는 홍수 조절 및 기타 목적을 위한 C&SF(Central and Southern Florida) 프로젝트의 구성요소다. C&SF사업은 1948년, 1954년, 1960년, 1965년, 1968년 홍수관리법, 1965년 홍수관리법 제201조에 따른 1970년 허가, 1986년, 1988년, 1990년, 1992년, 1996년, 2007년 수자원개발법, 1930년 하천 및 하버법 등에서 승인되었다.[4]
배경
HHD 시스템은 오케초비 호수를 둘러싸고 있는 약 143마일의 제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2개의 암거, 허리케인 관문 및 기타 물 제어 구조물로 구성되어 있다. 오케초비 호수 주변의 첫 번째 제방은 1915년 경 모래와 머크의 지역적 이익에 의해 건설되었다. 1926년과 1928년에 허리케인 조수가 원래의 제방을 덮쳐 3,0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1930년의 강 및 항구법은 오케초비 호수 남쪽 해안을 따라 67.8마일의 제방과 북쪽 해안을 따라 15.7마일의 제방을 건설하는 것을 허가했다. 미 공병대는 1932년과 1938년 사이에 최고 높이 +32에서 +35피트, 국립 측지 수직 기준점(NGVD)에 이르는 제방을 건설했다. 1947년 큰 허리케인은 추가적인 홍수 보호 작업의 필요성을 유발했다.
그 결과, 미국 의회는 1948년 C&SF 프로젝트의 1단계인 홍수 방지 및 기타 물 관리 혜택을 플로리다 중남부 지역에 제공하기 위한 종합 계획인 홍수 방지법을 통과시켰다. 1960년대 후반에 이르러 새로운 둑 시스템이 완성되어 제방의 고도가 최대 +41피트, NGVD로 높아졌다. 이는 표준 프로젝트 홍수(SPF) 수준을 보호하는데, 대략 935년에 한 번 발생하는 사건이다. 그러나 1980년대와 1990년대 초에 실시된 둑방식의 잠재적 침강 및 안정성 문제 조사에서는 두 가지 주요 관심 영역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암거 위치의 침강 및 제방 안정성, 그리고 둑방 기초 조건이다. 고수위 이벤트 중에는 제방을 통해 배관을 경험한다. 1999년, 군단은 HHD를 재활하기 위한 계획을 세웠다. 이 계획은 2000년에 승인되었고, 리치 1에 처음 초점을 맞추어 143마일의 제방을 8개 지대로 나누었다. 이 리치 바이 리치 재활 접근방식은 댐의 안전 수정에 필요한 시스템 전반의 위험 감소 접근방식으로 대체되었다.[5]
1968년 플로리다 Canal Point, Canal Point의 미군 공병대 재활 중 Canal Point에서 Dike 꼭대기에서 NNE를 보십시오.
미국 육군 공병대 재활 중 웨스트 팜 비치 운하 위의 ESE와 SCFE 열차 교량 보기. 사진사 뒤에는 오케초비 호수가 있다. 1968년 플로리다 주 캐널 포인트
멀리 로이스토나 손바닥이 있는, 유역 도랑을 따라 플로리다 주 캐널 포인트에 있는 다이크의 모습.
브라이튼 세미놀 인디언 보호구역 남쪽에 있는 플로리다 주 도로 78에서 글레이즈 카운티의 다이크
메모들
- ^ a b "Lake Okeechobee and The Okeechobee Waterway". U.S. Army Corps of Engineers South Florida Operations Offi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10-12. Retrieved 2008-08-03.
- ^ a b "Lake Okeechobee and the Herbert Hoover Dike" (PDF). U.S. Army Corps of Engineers Jacksonville District.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08-10-30. Retrieved 2008-08-03.
- ^ Lodge, Thomas E. (2005). The Everglades Handbook: Understanding the Ecosystem. CRC Press. p. 113. ISBN 1-56670-614-9.
- ^ "U.S. Army Corps of Engineers -- Fact Sheet -- Herbert Hoover Dike" (PDF).
- ^ "U.S. Army Corps of Engineers -- Fact Sheet -- Herbert Hoover Dike" (PDF).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스의 허버트 후버 다이크 관련 매체
- 허버트 후버 다이크 보도[영구적 데드링크]
- HEAER (Historic American Engineering Record) No. FL-6, "허버트 후버 디케, 오케초비 호수, 벨 글레이드, 팜 비치 카운티, FL"
- HAER No. FL-5 "허버트 후버 디케, 벨 글레이드, 팜 비치 카운티, 오케초비 호수의 허버트 후버 디케"
- HAER No. FL-7 "허버트 후버 디케, 벨 글레이드, 팜 비치 카운티, 오케초비 호수에 있는 허버트 후버 디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