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워 오브 더 울프
Hour of the Wolf하워 오브 더 울프 | |
---|---|
![]() 극장판 발매포스터 | |
연출자 | 잉그마르 베르그만 |
작성자 | 잉그마르 베르그만 |
생산자 | 라스 오우 칼버그 |
주연 | |
시네마토그래피 | 스벤 나이키스트 |
편집자 | 울라 리게 |
음악 기준 | 라르스 요한 베르 |
생산 동행이 | |
배포자 | 스벤스크 필모인더스트리 |
출시일자 |
|
러닝타임 | 88분[1] |
나라 | 스웨덴 |
언어 | 스웨덴의 |
박스오피스 | 25만 달러(미국)[2] |
Hour of the Wolf(스웨덴어: Vargtimmen, 점등). 'The Wolf Hour'는 잉그마르 베르그만이 감독하고 막스 폰 시도우와 리브 울만이 주연한 1968년 스웨덴의 심리 공포[n 1] 영화다.무서운 환상과 불면증에 시달리면서도 아내 알마(울만)와 함께 섬에서 살았던 허구의 화가 요한 보그(본 시도우)가 사라진 이야기를 다룬다.
버그먼은 원래 이 이야기의 많은 부분을 1966년 영화 페르소나를 만들기 위해 버린 미제작 각본 <캔디발스>의 일부로 구상했다.그는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1791년 오페라 마법피리와 E에서 영감을 얻었다. T. A. Hoffmann의 1814년 소설 The Golden Pot와 그의 악몽의 일부.주 촬영은 호브스 할라르, 스톡홀름, 피뢰에서 이루어졌다.
주제는 특히 예술가에 의해 경험된 정신이상, 성감대, 관계 등을 포함하며 초현실적인 양식과 민속의 요소들과 함께 전달된다.분석가들은 흡혈귀와 늑대인간 전설에 대한 암시를 발견했다.작가들은 또한 이 작품을 버그만의 삶과 울만과의 관계와 연결시켰다; 버그만은 이 이야기를 구상했을 때 자신이 "늑대의 시간"을 경험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이 영화는 처음에 스웨덴에서 부정적인 평을 받았다.후년에 Hour of the Wolf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고 영국영화연구소가 실시한 2012년 감독 설문조사에서 50편의 가장 위대한 영화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그 뒤를 이어 버그만의 주제 관련 영화 샤임(1968년)과 《애나의 열정》(1969년)이 이어졌다.울만은 1968년 '늑대의 시간과 수치심의 시간'에서의 연기로 상을 받았다.
플롯
화가 요한 보그와 그의 임신한 젊은 아내 알마는 발트룸이라는 작은 섬에 살고 있다.그는 자신이 가졌던 무서운 환영의 스케치를 알마와 공유하며, 그들에게 버드맨, 곤충, 고기 먹는 사람들, 학교장, 모자를 쓴 부인 등 이름을 지어주기 시작한다.불면증이 심해지자 알마는 옆에서 깨어 있다.
어느 날 한 노부인이 집에 들러 알마에게 침대 밑에 숨긴 요한의 일기를 읽으라고 말한다.알마는 요한은 실제나 가상의 낯선 사람들뿐만 아니라 그의 전 연인 베로니카 보글러의 이미지에도 사로잡혀 있다는 것을 발견한다.그녀는 또한 요한에게 근처 성에 사는 폰 메르켄스 남작이 접근했다고 읽는다.화가와 그의 아내는 그들과 그들의 집을 방문한다.저녁 식사를 마친 뒤 남작의 아내는 이 커플을 침실로 안내하고, 그곳에서 요한의 베로니카 초상화가 있다.그들이 성을 떠난 후, 알마는 악마에게 자신을 빼앗길까 하는 두려움과, 그런 일이 일어나면 인내하겠다는 의지를 요한에게 표현한다.
어느 날 밤, 알마는 다시 요한과 함께 깨어 있다.그는 그녀에게 "늑대의 시간"에 대해 말하는데, 이 기간 동안 대부분의 출생과 사망이 일어난다고 말한다.그는 또한 부모님의 말대로 작은 사람이 살았던 벽장에 갇혀 있었던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를 이야기한다.그리고 나서 그는 그 섬에서 낚시를 하던 중 작은 소년과의 대립을 떠올리게 되는데, 그것은 그가 그 소년을 죽이는 것으로 절정에 이르렀다.알마는 요한의 고백에 충격을 받는다.
폰 메르켄스의 하객 중 한 명인 헤어브란드가 부부의 집에 나타나 성에서 열리는 다른 파티에 초대한다면서 베로니카 보글러가 초청인 중 한 명이라고 덧붙였다.그는 "작은 동물"에 대한 보호를 위해 권총을 탁자 위에 놓고 떠난다.요한과 알마는 베로니카에 대한 집착으로 말다툼을 시작한다.요한은 마침내 권총을 들어 알마를 쏘고 성으로 달려간다.
요한은 파티에 참석한다.남작의 손님들은 요한은 알마에게 묘사한 악마인 것으로 드러난다.베로니카를 찾아 성 안을 질주하다, 창백한 얼굴에 화장품을 바르고 비단옷을 입히는 린드호르스트를 만난다.그런 다음 그는 요한에게 그녀를 인도한다.요한은 죽은 것처럼 보이는 베로니카를 발견한다. 그가 그녀의 알몸을 훑어보던 중, 그녀는 갑자기 일어나 앉아 웃는다.요한은 마귀와 벼룩에 의해 물리적으로 공격당한다.한 발의 총에 맞아 부상당했지만 흉터만 남은 알마는 남편을 찾기 위해 숲을 뒤진다.그녀는 그가 마침내 사라지기 전에 그에 대한 공격을 목격하고 그녀를 숲 속에 혼자 남겨둔다.
알마는 나중에 자신의 이야기와 남편의 일기를 공유한다.그녀는 그녀와 요한이 그렇게 오랫동안 함께 살다가 그렇게 비슷해졌다는 사실이 왜 그의 맨이터들을 볼 수 있었는지, 그를 덜 사랑했더라면 그를 더 잘 보호할 수 있었을지, 아니면 더 많이 사랑했더라면 그를 더 잘 보호할 수 있었을지 궁금하다.
캐스트
출연진에는 다음이 포함된다.[1]
- 요한 보그 역의 막스 폰 시도
- 알마 보그 역의 리브 울만
- 코린 폰 메르켄스 역의 거트루드 프리드
- 린드호스트 역의 게오르크 라이데버그
- 폰 메르켄스 남작 역의 엘랜드 조셉슨
- 모자를 쓴 할머니 역의 나이마 위프스트란드
- 헤어브랜드 역의 울프 요한슨
- Gudrun Brost as Gamla Fru von Merkens
- 베로니카 보글러 역의 잉그리드 툴린
생산
개발
이 이야기에 대한 영감을 주는 것은 자신의 얼굴을 벗은 한 여성과 천장을 걷는 한 실체를 보여주는 버그만의 반복되는 악몽이었다.[11]소년 시절에 옷장에 갇혀 있었다는 요한의 묘사는 버그만의 어린 시절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12]외적인 영향으로는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마술피리>가 있었는데, 오페라의 캐릭터인 파파게노가 사악한 버드맨으로 변신했다.[13][n 2]버그만의 마법 피리 해석은 그의 캐릭터 린드호르스트를 통해 메아리친다.[11][15]베르그만은 독일 작가 E. T.[16] A. 호프만을 추가적인 주요 영향력으로 인정했다.
이야기의 원소들은 또한 1964년에 완성하고 할란즈 베데뢰에서 촬영할 계획이었던 베르그만의 원고 The Cannibals 또는 The Maneaters에서 유래되었다.[17][18]버그먼은 폐렴으로 칸니발족을 버렸고, 그 후 페르소나에게 글을 쓰고 감독했다.[17][19]페르소나에 이어, 그는 "늑대의 시간"이라는 새로운 제목 아래 "식인"의 재작업 버전을 만들기로 결정했다.[17]이 용어는 Bergman이 각본의 설명서에서 정의했다.
밤과 새벽 사이의 시간...대부분의 사람들이 죽을 때, 잠은 가장 깊으며, 악몽은 가장 현실적이다.잠 못 이루는 자들이 최악의 고뇌에 시달리는 시기로, 귀신과 악마가 가장 위력적이다.늑대의 시간은 또한 대부분의 아기들이 태어나는 시간이다.[11]
비르기타 슈틴 교수에 따르면 제목은 스웨덴 민간에서 따온 것인데, 여기서 '늑대의 시간'은 아마도 사망과 출산이 가장 많은 오전 3시부터 5시까지의 기간을 가리킨다.[20]민속학자 벵트 아프 클린트버그는 1964년 베르그만이 극장 감독 니클라스 브루니우스에게 그 시간에 관한 전설을 연구하도록 맡겼으며, 브루니우스는 클린트버그에게 그것에 대해 물었다; 클린트버그는 비록 자정에서 새벽 1시 사이에 "유령시"가 있었지만, 스웨덴의 민속학에 그 용어가 뿌리를 두고 있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회상했다.[21]버그먼은 출처를 밝히지 않았고 자신이 직접 이 용어를 만들어냈을 수도 있지만, 라틴어 출처에서 '늑대의 시간'이라는 용어를 처음 접하게 되었다고 주장했다.[11][n 3]그는 이후 이야기가 구상될 당시 자신이 직접 '늑대의 시간'을 경험하고 있었고, 제작이 완성되자마자 '자유'를 느꼈다고 말했다.[23]
1966년 페르소나 후기 제작 단계에서 버그만은 회의를 열어 '늑대의 시간'을 기획하기 시작했다.[18]그는 나중에 이 영화가 페르소나를 기반으로 한다고 말했다.
일부 사람들은 늑대의 시간을 페르소나 이후의 회귀로 본다.그것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페르소나는 돌파구였고, 성공은 나에게 알 수 없는 길을 계속 탐색할 용기를 준 것이었다…….오늘 그것을 보면, 그것은 내 안에 깊이 뿌리박혀 있는 분열에 관한 것으로 이해하는데, 내 초창기 작품과 후기 작품 모두에서 잘 보인다.…늑대의 시간은 찾기 어려운 문제들의 집합을 포위하고 그 안에 들어가려는 시도이기 때문에 중요하다.[24]
캐스팅
버그먼은 스톡홀름 거리에서 정규 협력자 안데르손을 통해 울만을 만난 비비 안데르손과 리브 울만을 캐니발스에 캐스팅할 계획이었다.[25][26]울만은 1964년에 회의를 개최했고, 버그만이 그녀를 알아보고 그 자리에서 그녀와 함께 일하고 싶은지 물어봤다고 말했다.[27]울만은 나중에 버그만의 애인이 되어 딸 린을 임신하게 되었다.[28]이별 후 버그먼은 그녀를 위해 알마라는 임산부 캐릭터를 썼다고 말했다.[29]그는 그녀에게 Hour of the Wolf의 각본을 우편으로 보냈고 그녀는 그 역을 위해 노르웨이에서 Fåroe로 돌아왔다.[30][n 4]
Erland Josephson은 Royal Stratic Theatre의 전무이사로 바빴지만, 초기 버전의 Cannibals 각본을 보고 무서운 영화를 결정하는 것이 재미있을 것이라는 Hour of the Wolf의 역할을 원했다.[32]Naima Wifstrand가 이 모자를 쓴 숙녀 역을 맡은 것은 그녀의 마지막 영화 역할이었다.[33]
촬영
주 촬영은 스톡홀름의 호브스 할라르와 뤼순다 스튜디오,[34] 그리고 푸뢰 섬에서 이루어졌다.[28][n 5]호브스 할라르 해안은 특히 외부 촬영에 이용됐다.[17]사격은 1966년 5월 23일부터 11월 23일까지 계속되었다.[34]
울만은 제작 과정에서 주제에는 거의 이해가 되지 않았지만 폰 시도우의 성격에서 베르그만의 특징을 인정했다고 말했다.그녀의 독백 장면을 포함한 촬영 중, 그녀는 버그만이 등장인물처럼 퇴보할 수 있다고 상상하는 것에 겁을 먹었다.[37]그녀는 이 영화의 의미에 대한 리허설이나 토론은 없었다고 말했다.[30]폰 시도우에 따르면, 베르그만은 무대 연극에서 "지속적인" 배우들의 경험을 위해 저녁 식탁 장면을 한 번에 찍고 싶어했다.궁극적으로 영화제작자 스벤 나이크비스트는 테이블에 앉은 배우들 앞에 자리를 잡고 재빨리 팬을 돌렸는데, 폰 시도우는 "각자에게 이상적인 구성이 있는 순간에 팬 하나하나를 멈추는 것은 매우 어렵다"[38]고 설명했다.
천장을 걷는 장면은 속임수 사진을 통해 달성되었다.[32]제작 중 울만은 출산을 위해 노르웨이로 떠났고, 옷 밑에 베개를 베고 마지막 장면을 촬영하기 위해 돌아왔다.[30]
후기제작
페르소나 줄의 프롤로그와 에필로그 장면들은 이야기를 영화의 작품으로 인정하면서, 베르그만이 너무 개인적인 것이 되었다고 느끼기 때문에 대부분 후반 제작 과정에서 잘렸다.[39][40]유일한 예외는 영화 제작진이 이야기하는 소리였다.[39]
라르스 요한 베르레의 스코어는 영화 후반부에만 채용되는데 요한은 플룻, 클라리넷, 튜바를 고용한 소년을 살해하고 오보, 뿔을 이어 플룻, 트롬본, 바이올린을 사용하는 장면에 수반되는 음악이다.[41]음악과는 별도로 소년의 비명소리만이 그 장면에서 유일한 소리다.[42]Werle의 점수는 녹음과 제작 후 과정에서 수정을 겪었고, 그 중 일부는 즉흥적으로 수정되었다.[43]이 사운드 트랙에는 헝가리 지휘자 페렌츠 프리체이가 녹음한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의 A단조 3번과 매직 플루트도 포함되어 있다.[44][45]
주제 및 해석
요한은 "베르크만의 분신"으로 해석되어 왔다.[46][47]프랭크 가도 교수는 이 영화를 '예술가의 해체 이야기'(또한 '베르크만의 풀림'을 반영한다고 주장하며 영화를 비판하기도 한다)[39]로 해석한다.작가 댄 윌리엄스도 이를 '자살하는 예술가가 현실과의 관계를 유지할 수 없는 이야기'로 읽는다.[47]정신과 의사 바바라 영은 <늑대의 시간>은 페르소나와 마찬가지로 <인격의 붕괴>(또한 <베르크만 자신의 풀림>에 대한 가도의 논평을 거부하고 대신 자신의 문제를 해결한 용기를 칭찬하는 내용)에 관한 것이었다고 쓰고 있다.[48]화가의 '굴욕'도 그려진다.[49]가도는 요한은 1961년 '유리 다크라이를 통해'에서 요한과 카린을 연결하며, 요한은 현실과 악몽의 환영이라는 두 세계 사이에서 선택해야 하는 기로에 서 있다고 말했다.[50]가도는 요한의 "독행은 성전환, 마조히즘, 그리고 네크로필리아에 나타나지만 이 중 어느 것도 반드시 동성애를 나타내지 않는다"[51]고 쓰면서 요한의 동성애자임을 두려워할 수 있는지 여부를 고려한다.
윌리엄스는 이 성의 사람들이 흡혈귀처럼 되고 "요한 세계의 비현실성이 지배한다"[52]는 예술적 비전을 "양반의 집단에 의한 억압"과 연결시킨다.학자 Egil Törnqvist는 그가 Hour of the Wolf에서 흡혈귀라고 본 것을 페르소나에서 본 것과 비교하며, 그 묘사는 극작가 아우구스트 스트린드버그의 작품에서 주제와 유사하다고 덧붙였다.[53]작가 로라 허브너는 늑대인간의 전설 또한 "해방과 갈등"과 "유감된 성"이라는 주제를 알고 있다고 주장한다.[54]허브너에 따르면, 식인 풍습에 대한 영화의 중심 개념은 소비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과 함께 리칸트로피와 리틀 레드 라이딩 후드의 전설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설들은 성적 각성과도 관련이 있다고 한다.[55]
학문적인 고든 토마스는 한 사람의 정체성이 다른 사람의 정체성에 흡수되는 관계의 주제를 논한다.토마스는 "본 메르켄스 등은 요한 자신의 자기 혐오의 표출이며, 알마는 그를 사랑하기 때문에 남편의 환상적 심문에 참석해야 한다"고 썼다.[56]비평가 로빈 우드는 알마가 요한의 '내면의 공포'를 볼 수 있게 된 과정을 늑대의 시간(Hour of the Wolf)과 페르소나(Persona)에 비교한 반면 페르소나 알마(Persona Alma)에서는 엘리사벳의 견해에 영향을 받는다.[57]작가 호세 테오도로는 광기를 주요 테마로 인식하면서도 다른 (버그만의 후기 수치와 안나의 열정과 공유)는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진정으로 아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깨달음"이라고 주장하는데, 알마는 남편을 결코 이해하지 못했다는 것을 깨달았다.[8]작가들은 이 이야기의 커플을 버그만의 실제 관계와 연관시켰다.토머스는 제작 기간 동안 울만은 "세상과 평화로운" 사이였지만, 그녀의 천재적인 남자친구는 그렇지 않았다"고 이론화했다.[56]버그먼은 아내 케비 라레티와 아들 다니엘을 울만에게 버렸지만, '울프의 시간'은 라레테이에게 바쳐진 것으로, 그가 왜 그들을 떠났는지 설명하기 위한 것임을 암시한다.[48]
가도는 버드맨 캐릭터를 매직 플루트의 "베르크만의 아이러니한 반전"으로 규정하고 요한은 버드맨이 매직 플루트의 캐릭터 파파게노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13]가도에 따르면, 버드맨은 "부패한 자기 지식과 어린 시절의 성에 앉아 있는 '자연적인' 악한"을 상징한다.[13]토마스는 린드호스트라는 인물을 요한의 버드맨이라고 부른다.[56]다른 작가들은 E와 유사하다는 것을 발견했다.T. A. 호프만의 황금 냄비.여기에는 린드호스트, 헤어브랜드, 베로니카라는 인물 이름이 포함된다.[11][41]가도는 이 영화의 베로니카는 문학가인 베로니카보다 호프만의 캐릭터인 세르펜티나와 더 유사하지만, 이 책은 베로니카와 세르펜티나를 모두 '여성의 이중 이미지'의 일부로 인식하고 있다고 주장한다.가도는 이 책의 베로니카와 세르펜티나처럼 영화 속에서 "베로니카는 거꾸로 된 알마"라고 덧붙인다.[11]
한 장면에서 요한은 한 소년을 살해하는 것을 묘사한다.어빙 싱어 교수는 요한의 이야기가 진짜인지 상상인지 모호하다고 썼다.[58]영에 따르면, 버그만은 이 소년이 자신의 내부적인 "데몬"을 상징하며, 이 소년이 요한과 싸우는 것은 "오르가즘적"[59]으로 보이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가도는 소년과 어린 시절의 요한의 기억을 연결시킨다. 요한은 벌로 옷장에 갇혀 있었고, 옷장 안에 작은 사람이 살고 있다고 믿었다.[51]토마스는 이 소년이 "이드의 충동, 역인양 또는 퇴행적인 성리학의 환상"이며, 요한은 육체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듯이 살인이 문제를 해결하지는 않는다고 제안한다.[56]
스타일
특정 장면의 스타일은 초현실적이거나 [5][60][61]거의 표현주의적이거나 [62][63]고딕체로 묘사되어 왔다.[3][64]파비오 페제티 토니온 교수는 이 영화의 '스타일리즘 암호'가 '객관적 요소와 주관적 요소 사이의 마찰'[49]을 만든다고 쓰고 있다.테오도로는 이 영화를 다른 소리들을 강조하면서, 대화하는 것을 간결하게 쉬쉬하는 것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그 분위기를 1980년 영화 "The Shining"[8]과 비교한다.
영국 영화 연구소의 캣 엘링거는 요한과 싸우는 소년과 벽장 속의 작은 사람에 대한 이야기를 포함한 신화를 확립하는데 있어서, '늑대의 시간'은 민속을 그린다고 주장한다.엘링거는 더 나아가 끔찍한 비젼을 스위스 화가 헨리 퓨슬리의 작품과 비교한다.[10]작가 존 오르는 이 영화를 "모더니스트 우화"[65]라고 묘사한다.이 영화의 후반부는 오직 밤에만 열리는데, 예외는 요한과 소년에게 과도하게 노출된 플래시백이다.[66]허브너는 30개가 넘는 샷의 과도한 노출과 빠른 편집이 현장의 '꿈과 악몽' 감정에 기여한다고 주장한다.[55]
토니온은 적대자들을 '뱀파이어 같은' 것으로 묘사해 '스트린드베르크의 '유령 소나타'[49]에 기여했다.다양한 작가들은 게오르크 라이데버그가 연기한 린드호르스트와 다른 적대자들을 드라큘라 배우 벨라 루고시와 비교했다;[63][64][67] 버그만은 1931년 드라큘라의 숭배자였다.[68]허브너는 요한의 립스틱이 (그 후 린드호스트가 만든) 피와 닮았고 요한의 리어는 늑대의 그것이라고 생각하면서 중세 민속과 늑대인간에게도 암시할 것을 제안한다.[54]
오프닝을 분석하면서 토니온은 카메라와 소품들을 옮기는 승무원들의 소리, 그리고 자신의 역할을 위해 울만을 준비하는 버그만이라고 추측하는 것을 관찰하고 있다; 이것은 앨마 역의 울만이 카메라를 향해 말하는 장면, 마지막에 반복되는 미장센이 뒤따른다.[69]페르소나의 프롤로그와 거의 같은 방식으로, 이 오프닝은 네 번째 벽을 깨뜨린다.[8]버그먼은 또한 알마가 알마를 본 다음 알마에게 팬을 씌운 모자를 쓴 알마의 만남에 모호함을 더하기 위해 미장센을 사용한다; 토니온은 알마가 내내 혼자 있었는지 여부에 대해 알마가 떠날 때 영화 촬영은 의심을 불러일으킨다고 주장한다.[70]
해제
Hour of the Wolf는 1968년 2월 19일 스벤스크 필름산업트리에 의해 스톡홀름에서 개봉되었다.[34][44]로퍼트 픽처스가 배포한 [34]4월 9일 뉴욕에서 미국 개봉이 이어졌다.[44]1995년 5~6월 미국 뉴욕 버그만 페스티벌에서는 이 영화가 일기를 바탕으로 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이전 개봉작에서 삭제된 프롤로그로 상영되었다.[2][34]베르그만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스베리게스 TV는 2018년 그의 필모그래피에 실린 수많은 작품들 중 이 영화를 방영했다.[71]
MGM은 미국과 영국에서 단일 디스크판으로, 수치심, 안나의 열정, 뱀의 알, 페르소나 등 박스 세트의 일부로 '늑대의 시간'을 DVD로 출시했다.미국 개봉작에는 영국 판에 누락된 보너스 자료가 수록돼 있고, 영국 박스 세트에는 페르소나가 빠져 있다.[72]2018년 11월 20일 The Criteria Collection은 세트장인 잉그마르 버그만 시네마에서 38편의 다른 버그만 영화와 함께 지역 A에서 블루레이 버전을 발매했다.[73]
리셉션

스벤스카 다그블라데트의 C.H. 스벤슈테트(C.H. Svenstedt)가 버그만의 메시지를 설파했다고 비난하고, 다겐스 니히터의 마우리츠 에드스트룀(Mauritz Edström)이 영화와 동일시하지 않는 [34]등 이 영화는 스웨덴에서 부정적인 평을 받았다.[74]베코-쥬르날렌을 위해 스티그 알그렌은 이 이야기의 마법 피리와의 연관성을 살펴보는 작품을 썼다.[67]
1968년 뉴욕 타임즈의 레나타 아들러는 "버그만의 위대한 영화 중 하나가 아니다"라고 평했지만, 폰 시도우, 울만, 툴린의 연기를 긍정적으로 검토했다.[75]로저 에버트는 '울프의 시간'을 4명 중 3명꼴로 평가하면서 '어려운 영화, 완전히 성공적이지 못한 영화'라고 평가했고, '매우 삭막하고 거의 객관적인 장면으로 깊은 감정적인 결과'를 달성한 버그먼의 신빙성을 높였다.[76]뉴욕에서 주디스 크리스트는 그것을 "스타크 지적이고 무성한 공상"이라고 믿으면서, 그의 과거 필모그래피에 별로 추가하지 않은 버그먼의 "사소한 노력"이라고 불렀다.[77]타임은 폰 시도우를 "매우 훌륭하다"고 칭송하며 이 영화가 스벤 니크비스트의 "인광" 촬영법을 신뢰하면서 스칸디나비아 최고의 여배우 중 한 명으로서 울만의 입지를 굳혔다고 말했다.[78]비평가 리처드 쉬켈은 비주얼이 페르소나보다 "더 흥미진진하다"고 판단했지만, "늑대의 시간"은 "반복"으로 보인다고 말했다.[79]
1968년 전국심사위원회 시상식에서 울만은 '늑대와 수치심의 시간'에서 최우수 여배우로 선정되었다.[68]1968년 전국영화평론가협회 시상식에서 울만은 두 영화 모두에서 최우수 여우주연상, 버그만은 두 영화 모두에서 최우수 감독상을 받았다.[68]
리뷰어 집계 업체인 로튼 토마토에 대해 이 영화는 평균 평점 7.73/10의 24개 리뷰를 바탕으로 92%의 지지율을 기록하고 있다.[80]1992년, 비평가 제임스 모나코는 '아워 오브 더 울프'를 5점 만점에 3점이라고 평가하면서, 그것을 "좋은 연기 연습"[81]이라고 더빙했다.뉴요커는 1999년 "잉그마르 버그만의 그늘진 내면으로의 여정 중 가장 어두운 것"이라고 회고하며 요한의 소년 살해 장면의 '신속성'을 언급했다.[82]2000년 엠파이어 온라인의 김 뉴먼은 '늑대의 시간'을 "가장 사악하게 아름다운 흑백 공포 영화 중 하나"라고 칭찬했다.[7]타임 아웃 런던은 그것을 "영리한 고딕 판타지"[83]라고 불렀다.
영국 영화연구소의 2012년 '시선 & 사운드' 여론조사에서 '늑대의 시간'은 평론가 3명, 감독 11명을 득표해 후자 여론조사에서 44위에 올랐다.[84]2014년 영화 가이드에서 레너드 말틴은 이 영화를 "더 적은 버그만"이라고 불렀지만 "최고의" 공연으로 평가했다.[85]'늑대의 시간'은 E.T.A.의 작품에 대한 언급을 인용한 영화 참고서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편'에 수록되어 있다.호프만.[86]인디와이어도 2015년 버그만 15대 영화 중 하나로 이름을 올렸는데, 이를 '완전히 성공한 것은 아니다'라고 평가하면서도 벽보 산책 장면(다비드 린치의 작품과 비교), 요한이 소년을 살해하는 장면 등을 예로 들었다.[87]글렌 케니는 2018년 뉴욕타임스(NYT)에서 '아워 오브 더 울프'와 '버그맨'의 1963년 '사일런스'를 '메스매싱한 악몽'으로 꼽았다.[88]돈 드루커는 시카고 리더에 대해 "이상한" "엄청난 실패"[89]라고 평가하며 부정적인 리뷰를 썼다.2021년 타임아웃이 선정한 '100대 공포영화'에서 43위에 올랐다.[90]
레거시
이후 버그먼은 영화 '부끄러움'(1968년)과 '안나의 열정'(1969년)을 만들었다.제리 버밀예 작가는 "평범한 삶을 침범하는 폭력의 실타래"를 탐험하면서, "늑대의 시간, 수치심, 안나의 열정"은 3부작을 나타낸다고 썼다.[91]작가 아미르 코헨-샬레프는 동의한다;[92] 이 세 영화는 때때로 "F "rö 3부작"이라고 불린다.[93]
WBAI의 가장 오래 운영되는 라디오 프로그램은 이 영화에서 이름을 따왔다.'늑대의 시간' 라디오 쇼는 1972년부터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공상과학 소설과 판타지 문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94]이 영화의 무대 각색은 말린 스텐버그 감독이 연출한 2011년 로열 극예술극장에서도 상영되었다.[95]
참고 항목
메모들
- ^ 이 장르는 심리적인 공포,[3][4][5] 공포,[6][7][8] 드라마 [6][9]또는 "민속적인 공포"[10]로 묘사되어 왔다.
- ^ 베르그만은 이후 이 오페라를 1975년 영화 <마술피리>로 각색했다.[14]
- ^ 프랭크 가도 교수처럼, 작가 마티아스 해그버그는 베르그간이 이 용어를 발명했다고 믿었다; 해그버그는 더 나아가 버그만이 1927년 헤르만 헤세의 소설 스테펜울프에서 영감을 받아 마법 극장을 방문했다고 제안했다.[22]
- ^ 울만은 자신이 버그만의 영화에 자주 캐스팅되었다고 생각하는 이유에 대해 "내 얼굴이 그가 하고 싶은 말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그것은 그가 함께 일하기를 원했던 나를 만들었다. 왜냐하면 그것은 내 얼굴이었고 나는 그가 무엇을 쓰고 있는지 이해했기 때문이다."울만은 2007년 감독이 사망하기 전 11편의 작품에 출연하며 뮤즈로 알려지게 됐다.[31]
- ^ 베르그만은 1961년 영화제작자 스벤 나이크비스트의 추천으로,[35][36] 그리고 다시 페르소나를 위해 처음으로 영화 촬영지로 피뢰를 이용했다.'늑대의 시간'에 이어 '부끄럼을 위한 프뢰'(1968), '안나의 열정'(1969), '프뢰 문서'(1969), '터치'(1971) 등에서 촬영에 복귀했다.Fåro Document는 다큐멘터리로, 다른 것들은 상징성을 위해 섬을 사용하며 "섬 영화"[36]로 불렸다.
참조
- ^ a b 샤르겔 2007, 페이지 엑스레이.
- ^ a b 발리오 1987, 페이지 231.
- ^ a b 게르바이 1999, 페이지 104.
- ^ 죄인브링크 2011, 페이지 167.
- ^ a b 스미스 2018, 페이지 169.
- ^ a b "Genre". Turner Classic Movi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January 2019. Retrieved 14 January 2019.
- ^ a b Newman, Kim (1 January 2000). "Hour of the Wolf Review". Empir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November 2018. Retrieved 19 November 2018.
- ^ a b c d Teodoro, José (7 November 2018). "Everyone an Island: Ingmar Bergman's Second Trilogy". Toronto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January 2019. Retrieved 17 January 2019.
- ^ Brody, Richard (12 February 2018). "Film Forum Celebrates Ingmar Bergman's Centenary". The New York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July 2018. Retrieved 14 January 2019.
- ^ a b Ellinger, Kat (30 January 2018). "Ingmar Bergman, folk horror pioneer". British Film Institu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December 2018. Retrieved 17 January 2019.
- ^ a b c d e f 가도 1986 페이지 349.
- ^ 우드 2012, 페이지 24.
- ^ a b c 가도 1986 페이지 348.
- ^ 윌리엄스 2015, 페이지 162.
- ^ Törnqvist 2003, 페이지 65.
- ^ 사이먼 2007, 페이지 71.
- ^ a b c d "Hour of the Wolf". Ingmar Bergman Found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December 2013. Retrieved 16 February 2013.
- ^ a b 2007년, 페이지 48.
- ^ "Persona". Ingmar Bergman Found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December 2013. Retrieved 16 February 2013.
- ^ Steene 2005, 페이지 276.
- ^ Klintberg, Bengt af (8 September 2013). "Timmen då ångesten härjar fritt". Svenska Dagbladet (in Swedis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anuary 2019. Retrieved 26 January 2019.
- ^ "Låt nattens dämoner komma!" (in Swedish). Sveriges Radio. 4 April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January 2019. Retrieved 26 January 2019.
- ^ 샤르겔 2007, 페이지 16.
- ^ 2015년 영, 페이지 144.
- ^ Bergman, Ingmar (2014). Bibi Andersson, Ingmar Bergman, and Liv Ullmann, 1966. Persona (Blu-ray). The Criterion Collection.
- ^ 버그만 2014, 페이지 26.
- ^ Ullmann, Liv (2014). Elisabet Speaks: Liv Ullmann on Persona. Persona (Blu-ray). The Criterion Collection.
- ^ a b 1982년 코위 페이지 247.
- ^ Durbin, Karen (3 January 1999). "New Film, New Chapter in a Storied Union". The New York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January 2019. Retrieved 16 January 2019.
- ^ a b c Ullmann, Liv (2004). The Search for Sanity. Hour of the Wolf (DVD). MGM Home Entertainment.
- ^ Shanahan, Mark (20 May 2016). "Liv Ullmann talks about Ingmar Bergman". The Boston Glob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October 2017. Retrieved 11 October 2017.
- ^ a b Josephson, Erland (2004). The Search for Sanity. Hour of the Wolf (DVD). MGM Home Entertainment.
- ^ "Naima Wifstrand". Ingmar Bergman Found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December 2017. Retrieved 17 January 2018.
- ^ a b c d e f Steene 2005, 페이지 278.
- ^ 가도 1986, 페이지 278.
- ^ a b Steene 2005, 페이지 40.
- ^ Ullmann, Liv (2018). Liv Ullmann: The Fårö Island Years. Ingmar Bergman's Cinema (Blu-ray). The Criterion Collection.
- ^ 1982년 코위 페이지 243.
- ^ a b c 가도 1986, 페이지 345.
- ^ Bjorkman, Manns & Sima 1993.
- ^ a b 루코 2015.
- ^ 브로맨 2012, 페이지 26.
- ^ 브로맨 2012, 페이지 25-26.
- ^ a b c Vermilye 2002 페이지 125.
- ^ Törnqvist 2003, 페이지 239.
- ^ 페트리치 1981, 페이지 116.
- ^ a b 윌리엄스 2015, 페이지 161.
- ^ a b 2015년 영, 페이지 140.
- ^ a b c 토니온 2015, 페이지 293.
- ^ 가도 1986 페이지 346.
- ^ a b 가도 1986, 페이지 352.
- ^ 윌리엄스 2015, 페이지 163.
- ^ Törnqvist 1995, 페이지 15.
- ^ a b 허브너 2007, 페이지 102.
- ^ a b 허브너 2007, 페이지 103.
- ^ a b c d Thomas, Gordon (1 August 2006). "In Love with Liv Who Loves Life: Surviving Ingmar Bergman's Hour of the Wolf". Bright Lights Film Journ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January 2019. Retrieved 17 January 2019.
- ^ 우드 2012, 페이지 217.
- ^ 가수 2009, 페이지 142.
- ^ 2015년 영, 페이지 143.
- ^ 술탄식 1986 페이지 438.
- ^ Pulver, Andrew (30 July 2007). "Ingmar Bergman's greatest scenes". The Guard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January 2019. Retrieved 19 January 2019.
- ^ 토니온 2015, 페이지 294.
- ^ a b 2010년, 352페이지.
- ^ a b Stafford, Jeff. "Hour of the Wolf". Turner Classic Movi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January 2019. Retrieved 19 January 2019.
- ^ 2014년, 페이지 29.
- ^ 우드 2012, 페이지 212.
- ^ a b Steene 2005, 페이지 279.
- ^ a b c Vermilye 2002, 페이지 32.
- ^ 토니온 2015, 페이지 295.
- ^ 토니온 2015, 페이지 296.
- ^ "SVT visar Bergman hela sommaren". Svenska Dagbladet (in Swedish). 5 June 201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January 2019. Retrieved 26 January 2019.
- ^ "Hour of the Wolf (1968)". AllMovie. RhythmO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December 2016. Retrieved 20 August 2015.
- ^ Chitwood, Adam (12 July 2018). "Criterion Announces Massive 39-Film Ingmar Bergman Blu-ray Collection". Collider.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July 2018. Retrieved 15 July 2018.
- ^ Steene 2005, 페이지 278–279.
- ^ Adler, Renata (10 April 1968). "Screen: Where Nightmares Converge: Bergman Puts Spirits in 'Hour of the Wolf'". The New York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July 2018. Retrieved 16 February 2013.
- ^ Ebert, Roger. "Hour of the Wolf Movie Review (1968)". Rogerebert.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July 2018. Retrieved 19 November 2018.
- ^ Crist, Judith (29 April 1968). "Waiting for Tolstoy". New York. p. 53.
- ^ 해든 1968, 페이지 106.
- ^ Schickel, Richard (26 April 1968). "As Conjurer, Quack or Journalist, He Probes Our Guilty Souls". Life. p. 8.
- ^ "Hour of the Wolf (Vargtimmen) (1968)". Rotten Tomato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November 2017. Retrieved 29 October 2020.
- ^ 1992년 모나코 페이지 359.
- ^ "The Demon-Lover". The New Yorker. 31 May 199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August 2017. Retrieved 20 January 2019.
- ^ TM. "Hour of the Wolf". Time Out Lond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March 2013. Retrieved 16 February 2013.
- ^ "Votes for Vargtimmen (1968)". British Film Institu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December 2018. Retrieved 20 January 2019.
- ^ 말틴 2013, 페이지 644.
- ^ 슈나이더 2013, 페이지 482.
- ^ Staff (2 April 2015). "The Essentials: The 15 Greatest Ingmar Bergman Films". IndieWir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January 2019. Retrieved 20 January 2019.
- ^ Kenny, Glenn (20 November 2018). "Viewing Ingmar Bergman Through a Glass Less Darkly". The New York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December 2018. Retrieved 20 January 2019.
- ^ Druker, Don. "Hour of the Wolf". Chicago Read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March 2016. Retrieved 16 February 2013.
- ^ "The 100 best horror movies". Time Out. 3 June 2021.
- ^ 버밀예 2002 페이지 133.
- ^ 코헨-샬레프 2002, 138페이지.
- ^ 태퍼 2017, 페이지 75.
- ^ "Background". Hour of the Wolf. WBAI.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September 2007. Retrieved 2 December 2016.
- ^ "'Vargtimmen' behöver Bergman" (in Swedish). Sveriges Radio. 14 March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January 2019. Retrieved 14 January 2019.
참고 문헌 목록
- Balio, Tino (1987). United Artists: The Company That Changed the Film Industry.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ISBN 9780299114404.
- Bergman, Ingmar (2014). "Bergman on Persona". Persona: A Film by Ingmar Bergman. The Criterion Collection.
- Bjorkman, Stig; Manns, Torsten; Sima, Jonas (1993). Bergman on Bergman. Boston: Da Capo Press. ISBN 9780306805202.
- Broman, Per F. (2012). "Music, Sound and Silence in the Films of Ingmar Bergman". In James Eugene Wierzbicki (ed.). Music, Sound and Filmmakers: Sonic Style in Cinema. New York and London: Routledge. ISBN 978-0415898942.
- Cohen-Shalev, Amir (2002). Both Worlds at Once: Art in Old Age. Lanham: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SBN 9780761821878.
- Cowie, Peter (1982). Ingmar Bergman: A Critical Biography. Scribner. ISBN 0684177714.
- Gado, Frank (1986). The Passion of Ingmar Bergman.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ISBN 0822305860.
- Gervais, Marc (1999). Ingmar Bergman: Magician and Prophet. Montreal, Kingston, London and Ithaca: McGill-Queen's Press. ISBN 077352004X.
- Hadden, Briton, ed. (1968). "New Movies: Hour of the Wolf". Time. Vol. 91. Time Incorporated.
- Holm, Annika (2007). "Ingmar Bergman: 'For Me, Film is Face'". In Raphael Shargel (ed.). Ingmar Bergman: Interviews. Durham: University Press of Mississippi. ISBN 978-1578062188.
- Hubner, Laura (2007). The Films of Ingmar Bergman: Illusions of Light and Darkness. Springer. ISBN 978-0230801387.
- Luko, Alexis (2015). "Listening to Ingmar Bergman's Monsters: Horror Music, Mutes, and Acoustical Beings in Persona and Hour of the Wolf". Sonatas, Screams, and Silence: Music and Sound in the Films of Ingmar Bergman. New York and London: Routledge. ISBN 978-1135022747.
- Maltin, Leonard (3 September 2013). Leonard Maltin's 2014 Movie Guide. Penguin Publishing Group. ISBN 978-1-101-60955-2.
- Melton, J. Gordon (2010). The Vampire Book: The Encyclopedia of the Undead (Third ed.). Detroit: Visible Ink Press. ISBN 978-1578593484.
- Monaco, James (1992). The Movie Guide. Perigee Books. ISBN 0399517804.
- Orr, John (2014). The Demons of Modernity: Ingmar Bergman and European Cinema. New York and Oxford: Berghahn Books. ISBN 978-0857459794.
- Petrić, Vlada (1981). Film & Dreams: An Approach to Bergman. Redgrave Publishing Company. ISBN 9780913178614.
- Schneider, Steven Jay (2013). 1001 Movies You Must See Before You Die. Barron's. ISBN 978-0-7641-6613-6.
- Shargel, Raphael (2007). Ingmar Bergman: Interviews. University Press of Mississippi. ISBN 978-1578062188.
- Simon, John (2007). "Conversation with Bergman". In Raphael Shargel (ed.). Ingmar Bergman: Interviews. Durham: University Press of Mississippi. ISBN 978-1578062188.
- Singer, Irving (2009). Ingmar Bergman, Cinematic Philosopher: Reflections on His Creativity. Cambridge and London: MIT Press. ISBN 978-0262264815.
- Sinnerbrink, Robert (2011). New Philosophies of Film: Thinking Images. A&C Black. ISBN 978-1441153432.
- Smith, Ian Haydn (2018). Selling the Movie: The Art of the Film Poster. Quarto Publishing Group UK. ISBN 978-0711240247.
- Steene, Birgitta (2005). Ingmar Bergman: A Reference Guide. Amsterdam: Amsterdam University Press. ISBN 9053564063.
- Sultanik, Aaron (1986). Film, a Modern Art. New York, London and Toronto: Associated University Presses. ISBN 0845347527.
- Tapper, Michael (2017). Ingmar Bergman's Face to Face.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978-0231851213.
- Tonion, Fabio Pezzetti (2015). "The Sensation of Time in Ingmar Bergman's Poetics of Bodies and Minds". In Ágnes Pethő (ed.). The Cinema of Sensations.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ISBN 978-1443873956.
- Törnqvist, Egil (1995). Between Stage and Screen: Ingmar Bergman Directs. Amsterdam University Press. ISBN 9053561714.
- Törnqvist, Egil (2003). Bergman's Muses: Aesthetic Versatility in Film, Theatre, Television and Radio. Jefferson, North Carolina and London: McFarland & Company Publishers. ISBN 0786482028.
- Vermilye, Jerry (2002). Ingmar Bergman: His Life and Films. Jefferson: McFarland & Company. ISBN 9780786429592.
- Williams, Dan (2015). "The Destruction of the Artist: Hour of the Wolf". Klein, Sartre and Imagination in the Films of Ingmar Bergman. Springer. ISBN 978-1137471987.
- Wood, Robin (2012). Ingmar Bergman: New Edition.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ISBN 978-0814338063.
- Young, Barbara (15 October 2015). The Persona of Ingmar Bergman: Conquering Demons through Film. Rowman & Littlefield. ISBN 97814422456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