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레인의 군주
List of rulers of Lorraine로레인의 통치자들은 855년 프렘 조약에 의해 로트하링아 왕국이 탄생한 이후 여러 지역에 걸쳐 다른 정부 하에서 다른 직책을 맡아왔다. 새로 세워진 지역의 첫 번째 통치자는 프랑크족의 왕이었다. 라틴어 건축 '로트하링기아'는 시간이 지나면서 프랑스어로 '로레인', 네덜란드어로 '로트하링겐', 독일어로 '로트링겐'으로 진화했다. 9세기 후반에 캐롤링거 왕국이 이웃 국가들에 흡수된 후, 그 영토를 넘어 듀크가 임명되었다. 10세기 중엽에 뒤치는 로어 로레인(Lower Lorain)과 어퍼 로레인(Upper Lorain)으로 나뉘었는데, 이 두 번째는 로레인(Lorain)의 뒤치(Ducy)로 알려지게 되었고, 현대에도 잘 존재하게 되었다.
로타링기아의 왕
- 로테어 2세(855–869)
볼드 왕 샤를르는 로트헤어의 죽음으로 로트하링야를 주장하여 메츠에서 왕위에 올랐으나, 그의 동생인 독일인 루이 왕자는 그의 주장에 반대하였고 870년 메르센 조약은 로트하링야를 두 형제와 그들의 아들들 사이에서 갈라놓았다. 880년 리베몬트 조약은 로트하링야 전역을 독일인 루이스의 아들인 어린 루이 1세에게 주었다.
- 대머리 샤를(869–870)
- 루이 1세(880–882)
- 찰스 더 뚱뚱(882–887)
- 아르눌프(Arnulf of Carinthia
- 즈웬티볼트(895-900)
- 루이 1세 (900–911)
- 찰스 더 심플(911–923)
925년에 로트하링시아는 동프랑시아로 편입되었다.
로레인의 두키스
- 게브하르트(903–910)
- 레지나르(910–915)
- 길버트(915–939)
- 헨리(939–940)
- 오토 (942–944)
- 콘래드(944-953)
- 브루노, 쾰른 대주교(953–965)
959년 로레인은 브루노 휘하의 각각 마그라베에 의해 통치되는 로워 로레인과 어퍼 로레인의 두 구역으로 나뉘었다. 965년 브루노가 사망하자, 두 마그라브 모두 각각 로워 로레인과 어퍼 로레인의 듀크로 인식되었다. 1033년에서 1044년 사이의 짧은 기간을 제외하고는 두 추는 별개의 길을 따라 별개의 상태를 유지했다.
로레인의 두키스
- dukes의 번호 매기는 소스마다 다르다는 점에 유의하십시오.
매트프라이딩 왕조
- 고드프리 1세(959–964)
카롤링거 왕조
아르덴-베르둔 가문
룩셈부르크 왕가
- 프레더릭 (1046–1065)
아르덴-베르둔 가문
- 고드프리 3세 (1065–1069) (또한 고드프리 2세, 이전에 어퍼 로레인 공작으로 알려져 있다)
- 고드프리 4세 (1069–1076) (고드프리 3세라고도 한다)
살리아 왕조
- 콘래드(1076–1087)
불로뉴 가문(아르덴-빌론)
- 제1차 십자군의 지도자 중 한 사람이자 예루살렘 왕국의 초대 통치자였던 고드프리 5세 "부일론" (1087–1100) (일명 고드프리 4세)
림부르크 왕가
- 헨리 1세(1101–1106)
루벤 왕가
- 고드프리 1세 (1106–1129) (고드프리 5세라고도 한다)
림부르크 왕가
- 월런(1129–1139)
루벤 왕가
두키스 오브 로레인
아르덴-바르 가문
아르덴-베르둔 가문
메츠 가문(아르덴-메츠)
초상화 | 이름 | 시작기간 | 말기 | 참고 |
---|---|---|---|---|
아달베르트 | 1047 | 1048 | ||
게르하르트 | 1048 | 1070년 3월 6일 | ||
테오도리아 2세 | 1070년 3월 6일 | 1115년 1월 23일 | ||
사이먼 1세 | 1115년 1월 23일 | 1138년 4월 13일 | ||
마티아스 1세 | 1138년 4월 13일 | 1176년 5월 13일 | ||
사이먼 2세 | 1176년 5월 13일 | 1205 | ||
프레데릭 1세 | 1205 | 1206년 4월 7일 | ||
프레데릭 2세 | 1206년 4월 7일 | 1213년 10월 10일 | ||
테오발트 1세 | 1213년 10월 10일 | 1220년 2월 17일 | ||
마티아스 2세 | 1220년 2월 17일 | 1251년 6월 24일 | ||
프레데릭 3세 | 1251년 6월 24일 | 1302년 12월 31일 | ||
테오발트 2세 | 1302년 12월 31일 | 1312년 5월 13일 | ||
프레데릭 4세 | 1312년 5월 13일 | 1328년 8월 23일 | ||
라울 | 1328년 8월 23일 | 1346년 8월 26일 | 크레시 전투에서 전사하다. | |
존 1세 | 1346년 8월 26일 | 1390년 9월 27일 | ||
샤를 2세 | 1390년 9월 27일 | 1431년 1월 25일 | ||
이자벨라 | 1431년 1월 25일 | 1453년 2월 28일 | 남편 레네 1세와 함께 |
안주 왕가
이름 | 초상화 | 출생 | 결혼 | 죽음 |
---|---|---|---|---|
레네 1431년 1월 25일 – 1453년 2월 28일 | 1409년 1월 16일 샤토당거 안주 루이 2세와 아라곤 욜란데의 아들 | (1) 이사벨라 1420 열 명의 아이들 (2) 잔 드 라발 1454년 9월 10일 논점 없음 | 1480년 7월 10일 아이ix-en-Provence 71세 | |
요한 2세 1453년 2월 28일 – 1470년 12월 16일 | 1424년 8월 2일 낸시 르네와 이사벨라의 아들 | 마리 드 부르봉 1444 다섯 아이 | 1470년 12월 16일 바르셀로나 46세 | |
니콜라스 1세 1470년 12월 16일 – 1473년 7월 24일 | 1448 낸시 요한 2세와 마리 드 부르봉의 아들 | 한 번도 결혼한 적이 없다 | 1473년 7월 24일 낸시 만 22세 |
로레인 가문
로레인 가문으로 알려진 아르덴-메츠의 역대 통치자들의 주니어 지부
초상화 | 이름 | 시작기간 | 말기 | 참고 |
---|---|---|---|---|
레네 2세 | 1473년 7월 24일 | 1508년 12월 10일 | 레네 1세와 이사벨라의 손자, 또한 바 공작 | |
앙투안 | 1508년 12월 10일 | 1544년 6월 14일 | ||
프란시스 1세 | 1544년 6월 14일 | 1545년 6월 12일 | ||
샤를 3세 | 1545년 6월 12일 | 1608년 5월 14일 | ||
헨리 2세 | 1608년 5월 14일 | 1624년 7월 31일 | ||
니콜 | 1624년 7월 31일 | 1625년 11월 25일 | 그녀는 헨리 2세의 딸이었다; 로레인의 영지는 결국 그녀가 통치할 자격이 없다고 결정했고, 그녀의 삼촌인 프란시스 2세에게 왕관을 주었다; 그녀의 남편이자 첫 사촌인 찰스 4세가 그 후 통치할 것이다. | |
프란치스코 2세 | 1625년 11월 25일 | 1625년 12월 1일 | 그는 즉시 그의 아들 Charles 4세를 위해 퇴위했다; 1632년 죽었다. | |
샤를 4세 | 1625년 12월 1일 | 1634년 1월 19일 | 형에게 유리하게 퇴위하다. | |
니콜라스 2세 | 1634년 1월 19일 | 1634년 4월 1일 | 망명하여 그의 형을 위해 퇴위했다; 그 뒤취미는 이후 27년 동안 프랑스의 효과적인 지배하에 있었다. | |
샤를 4세 | 1634년 4월 1일 | 1675년 9월 18일 | 동생의 퇴위로 명목상 회복되었다; 로레인은 1634년부터 1661년까지 프랑스와 망명중인 공작에 의해 점령되었다. 그리고 1670년부터 그가 죽을 때까지. | |
샤를 5세 레오폴트 | 1675년 9월 18일 | 1690년 4월 18일 | 그는 망명 중이었고 로레인은 그의 명목상의 통치기간 내내 프랑스에 의해 점령당했다. | |
레오폴드 | 1690년 4월 18일 | 1729년 3월 27일 | 그는 망명 중이었고 로레인은 1697년 10월 30일까지 프랑스에 의해 점령되었다. 그 때는 레오폴드 요셉에게 반환되었다. 공작은 제자리를 지켰지만 1702년부터 1714년까지 다시 프랑스가 점령했다. | |
프란치스코 3세 | 1729년 3월 27일 | 1737년 7월 9일 | 로레인을 투스카니 대공과 교환하여 트레이드했다; 1745년 신성로마제국으로 선출되었다; 1765년 마리아 테레사 황후의 남편으로 죽었다. |
레시치스키 가문
초상화 | 이름 | 시작기간 | 말기 | 참고 |
---|---|---|---|---|
스타니스와프 1세 | 1737년 7월 9일 | 1766년 2월 23일 | 폴란드의 전 왕. 그의 뒤를 이어 두치족은 사위인 프랑스의 왕 루이 15세에게 물려받아 그의 영토에 편입된다. |
합스부르크-로레인 가문은 로레인의 십일조 듀크스라는 타이틀을 계속 가지고 있었다.
참고 항목
외부 링크
추가 읽기
퍼트남, 루스. 알자스와 로레인: 서기 58년-기원전 1871년 케사르에서 카이저까지. 뉴욕: 1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