림하크 리
Rimhak Ree림하크 리 | |
한글 | 이임학 |
---|---|
한자 | 李林學 |
수정 로마자 표기법 | 이임학 |
매쿠네-라이샤워 | 이임학 |
림하크 리 | |
---|---|
이임학 (李林學) | |
태어난 | |
죽은 | 2005년 1월 9일 | (82)
국적 | 한국어, 사실무근 |
시민권 | 캐나다인 |
모교 |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
로 알려져 있다. | 리 그룹 |
배우자 | 로다 리 |
수상 |
|
과학 경력 | |
필드 | 수학 그룹 이론 |
기관 | |
논문 | 비트 알헤브라스 (1955) |
박사학위 자문위원 | 스티븐 아서 제닝스 |
림학 리(대체 철자:임학 리, 1922년 12월 18일 ~ 2005년 1월 9일)는 한국의 캐나다 수학자였다.그는 집단 이론 분야에서 기여했는데, 가장 두드러지게는 (1960년, 1961년)에서 리 집단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초년기
리씨는 함경남도 함흥에서 지금의 북한인 함흥에서 조기교육을 받았고 함흥 #1공립보통학교(함흥 #1공립보통학교)에 다녔으며, 1934년 함흥공립고등학교(함흥공립고등학교)에 입학했다.[1]그는 게이조 제국대학에 진학했고, 그곳에서 물리학을 공부했는데, 당시 한국인들에게는 이례적인 선택이었다.리 교수는 1944년에 물리학 학위를 받고 졸업했으며, 그 후 그는 펑톈, 만주국(오늘날 선양, 중화인민공화국의 랴오닝)으로 가서 항공기 회사에 근무했다.
경력
1945년 일본의 항복과 한국에서 일본의 지배가 끝난 후, 리씨는 본국으로 돌아갔고 1947년에는 조교수로 서울대 수학부 교수직에 올랐다.그 해 말, 남대문 시장에서 리씨는 미국 수학 학회 회보 문제를 발견했는데, 이 회보에는 미군 병사가 남긴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게시판에는 '파워 시리즈에 관한 노트'라는 논문이 실렸는데, 이 논문에서 맥스 조른은 복잡한 계수를 가진 특정 파워 시리즈가 융합되는 문제를 해결했다.논문에서, 조른은 같은 결과가 실제 계수를 가진 파워 시리즈에 대해 유지되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2]리우는 문제를 해결하고 해결 방법을 막스 조른에게 보냈다.조른이 리의 해답을 받았을 때 1949년 '맥스 조른의 문제에 대하여'라는 제목으로 미국수학협회 회보에 송부되어 한국인이 국제학술지에 발표한 최초의 수학 논문이 되었다.[3]한국전쟁 당시 부산으로 남하했고, 1953년 캐나다 밴쿠버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을 수 있도록 캐나다 장학금을 받았다.[4]그는 1955년에 위트 알헤브라스라는 제목으로 논문을 완성했다.그의 논문 고문은 스티븐 아서 제닝스였다.박사학위 수여에 이어, 리 교수는 노동 허가 및 국적과 관련하여 몇 가지 문제에 직면했음에도 불구하고 몬태나 주립 대학교의 강사로 임명되었다.1955년 여름, 리우는 캐나다 국립 연구 위원회로부터 보조금을 받았고 제닝스와 함께 리 알헤브라스에서 일했다.그의 가장 유명한 두 논문은 1960년부터 1961년까지 쓰여졌는데, 그 논문은 그가 현재 그의 이름을 딴 유한한 분야에 걸쳐서 Lie 타입의 그룹을 제안하였다.1962년 브리티시 컬럼비아대 수학 조교수로 승진한 뒤 예일대에서 보낸 학년을 받았다.그는 1964년 캐나다 왕립 협회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사생활
상태 비저장
리가 영사관에 비자를 연장하러 갔을 때, 그의 여권은 압수되었고 그는 무국적자로 선언되었다.[5]결국 상당한 어려움을 겪으면서 여권 문제가 정리됐고 그는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에서 계속 근무했다.그의 한국 입국은 1996년 한국수학협회 창립 50주년 기념식에 초청돼 금지령이 취소될 때까지 금지됐다.동료들에 따르면 림학 리 씨는 국적을 한국의 옛 이름이자 북한의 현재 자칭인 '조선'으로 확인했다고 한다.
트리비아
- 리에는 중국계 미국인 로다 리와 결혼하여 로날드, 로버트, 리차드 등 세 아들을 두었으며, 이전 결혼부터 에란과 히란이라는 두 딸을 두었다.
- 리씨는 2005년 1월 9일 캐나다 밴쿠버에서 사망했다.
- 리의 Erdős 번호는 1이다.
- 로버트 랭랜즈는 리가 "최선을 다한 것"이라고 회상하지만, 돌이켜보면, 그가 이 과목의 본질을 전달했다고 생각하지 않으며, 또한 어느 학생도 매우 유망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출판물
- Ree, Rimhak (1960), "A family of simple groups associated with the simple Lie algebra of type (G2)", 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66: 508–510, doi:10.1090/S0002-9904-1960-10523-X, ISSN 0002-9904, MR 0125155
- Ree, Rimhak (1961), "A family of simple groups associated with the simple Lie algebra of type (F4)", 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67: 115–116, doi:10.1090/S0002-9904-1961-10527-2, ISSN 0002-9904, MR 0125155
메모들
- ^ 2007년 2월
- ^ "Rimhak Ree". MacTutor History of Mathematics. Retrieved 3 April 2018.
- ^ "Rimhak Ree". MacTutor History of Mathematics. Retrieved 3 April 2018.
- ^ 2007년 3월
- ^ "Rimhak Ree". MacTutor History of Mathematics. Retrieved 3 April 2018.
참조
- Carol Tretkoff; Marvin Tretkoff (January 1979), "On a theorem of Rimhak Ree about permutations", Journal of Combinatorial Theory, Series A, 26 (1): 84–86, doi:10.1016/0097-3165(79)90056-6
- 주진순 [Ju Jin-sun] (March 2007), "세계적인 수학자 이임학 형을 그리워하며" (PDF), Newsletter of the Korean Mathematical Society, vol. 112, no. 1, pp. 2–4, retrieved 2010-10-08
- "Canadian Mathematical Bulletin 1963", Bulletin of Canadian Mathematical Congress, p. 465, 1963, retrieved 2018-05-30
외부 링크
- 수학 계보 프로젝트에서 림학 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