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강

Imjin River
임진
Korea-Imjin River-01.jpg
임진강을 가로지르는 자유의 다리. 대한민국 파주시 문산에 위치한다.
네이티브 이름임진강/림진강 (한국어)
위치
나라북한(PRK), 남한(한국)
지방강원(PRK), 황해북도(PRK), 경기(KOR)
물리적 특성
출처투류산
• 위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팝통
한강
• 위치
대한민국 경기도 파주시
길이273.50km (1983.95mi)[1]
분지크기8,197.90km2(3,197.45제곱 mi)[1]
한국이름
한글
한자
수정 로마자 표기법임진강 또는 림진강
매쿠네-라이샤워임진강 또는 림진강

임진강(한국어: 임진江) 또는 림진강(북한어: 림:江)은 한국에서 7번째로 큰 강이다.[2] 남북으로 흘러 비무장지대를 넘어 황해와 가까운 서울 하류 한강과 합류한다. 이 강은 임진왜란(16세기 말 일본의 침략)의 이름이 아니다.

역사

임진강은 1592년 7년 전쟁 때의 임진강 전투한국전쟁 당시 벌어진 임진강 전투의 두 가지 주요 전투가 있었던 곳이다.

공동이용구역

2018년 11월 4일 임진강 하구 공동이용구역 개발로 이어지기 위해 북측 10명과 남측 10명으로 구성된 20명의 조사단이 남북 공동조사를 시작했다.[3][4] 이 구역은 민간인들이 하구에 접근하여 관광, 생태 보호, 그리고 한국 국경 양쪽의 군대의 보호 아래 건설 골재 수집을 할 수 있게 할 것이다.[3][4] 2018년 11월 5일 파주 도라산역에서 DMZ와 접경하는 대한민국 강원·경기지역 협의회가 '평화실무협정'을 체결하여 공동이용구역에 대한 현지 승인을 하였다.[5] 임진강 하구 남북조사는 2018년 12월 9일 완료됐다.[6] 새로 발견된 암초들로 구성된 강 하구의 새 지도는 2019년 1월 25일까지 공개될 예정이었다.[6]

특성.

1889년 임진강 나루터

임진강의 활동 수로는 평균 저수위 약 75피트(23m) 위에 서 있는 거의 수직 암벽에 접해 있는 마른 강바닥의 폭 1,200피트(370m)의 약 150~200피트만 사용한다. 그것은 홍수에 있을 때 그것이 발달하는 엄청난 힘의 정상적인 시간에는 아무런 징후도 주지 않는다. 7, 8월 한국의 장마철에 임진왜란은 주로 가파른 바위둑에 갇혀서 맹렬한 급류가 된다. 그것의 더 큰 지류와 많은 작은 산줄기에 의해 공급된, 그것은 평균 수위보다 48피트(15m)의 홍수 높이와 초당 15~20피트(6m/s)의 속도에 도달한다. 폭우 때 강수량의 약 95%가 급속하게 유출되면서 임진왜란은 때때로 시간당 6피트 이상의 속도로 상승하고 있다.

혹독한 겨울 동안, 얼음 같은 바람이 임진강을 휩쓸고, 영하의 기온으로 인해 강에 두꺼운 얼음이 형성된다. 강 수위의 변동, 특히 하류의 조수 작용은 이 얼음을 깨뜨리고, 대량의 플로어 얼음이 수로의 어떤 장애물에도 부딪혀 쌓인다.

남한의 많은 사람들은 과거처럼 임진강을 "죽은 자의 강"이라고 부른다. 가장 최근의 사건은 1990년대의 대규모 기근 때인데, 그 때 수백만 명의 북한 주민들이 굶어 죽었다고 여겨지고 있다.

대중문화에서

인기 소설 'MASH: 3군 의사들관한 소설'에서 미국 4077군 외과병원(이하 'MASH') 부대는 임진강 분기점에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다.[7]

임진강은 강 이름을 딴 북한의 유명 대중가요 '림진강'의 주제다. 1957년 북한 시인 박세용이 작사한 가사로 작곡했다. 임진강을 남북으로 흐르는 자유의 상징으로 지칭할 정도로 북한에서 잘 알려진 노래다. 이 노래는 분단된 조국의 슬픔을 그리고 악명 높은 강의 역사를 암시한다. 이 노래(이무진가와로 불림)는 훗날 일본에서 민중 십자군 등 예술가들이 커버하면서 인기를 끌었다.[8][9] 한민족이 다시 한 번 하나가 되어 자유로워지길 바라는 희망의 노래로 전 세계 한인 커뮤니티에서 여전히 인기 있는 곡이다.

참고 항목

참조

  1. ^ a b 2013년 한국하천일람 [List of Rivers of South Korea, 2013] (PDF) (in Korean). Han River Flood Control Office, Republic of Korea. 31 December 2012. pp. 112–1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4 March 2016. Retrieved 2 July 2014.
  2. ^ 2014-01-13년 연천군 웨이백머신에 보관명소 7곳
  3. ^ a b "(LEAD) Koreas begin joint waterway survey along western border". 5 November 2018.
  4. ^ a b GhostarchiveWayback Machine에 보관:
  5. ^ "South and North launch joint hydrographic survey of Han and Imjin estuaries".
  6. ^ a b "Two Koreas Complete Joint Waterway Survey of River Estuaries l KBS WORLD Radio".
  7. ^ Hooker, Richard (12 June 2014). MASH: A Novel About Three Army Doctors (M*A*S*H) (First ed.). UK: Hatchett Books. p. 9. ISBN 978-1780228884.
  8. ^ 2012년 6월 7일 임진강 가요
  9. ^ 임진강 : 한국인의 눈물이 흐르는 강, 2014년 3월 11일

외부 링크

좌표: 37°47°N 동경 126도 40도 / 37.783°N 126.667°E / 37.783; 126.6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