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차이나 (밴드)

Indochine (band)
인도차이나
2009년 Meteor Tour 중 인도차이나 공연
배경정보
기원.파리, 프랑스
장르, 뉴웨이브
활동년수1981(1981)-현재
레이블Sony BMG, Jive, Epic, Ariola, Clemence Melody, Stranded, Columbia, Indochine, Tourneur Live Nation
회원들니콜라 시르키스
보리스 자델
올리비에 제라르
마크 엘리어드
루트비히 달베르크
기 구성원스테파네 시르키스
도미니크 니콜라
디미트리 보디안스키
아르노 데보스
장 마이 트렁
장 피에르 파일럿
알렉상드르 아자리아
무슈 톡스
무슈 얀
마티유 라바테
프레데릭
프랑수아 솔리에 "미스터 슈즈"
프랑수아 마투젠스키
웹사이트www.indo.fr

인도친(Indochine, 프랑스어 발음: [ɛ̃dɔʃin])은 1981년 파리에서 결성된 프랑스의 팝 록 밴드입니다.그들은 1980년대에 프랑코포니, 유럽 그리고 라틴 아메리카에서 "L'Aventurier"와 "Canary Bay"와 같은 노래들로 큰 성공을 거두었습니다.1990년대에 비평적으로 호평을 받았지만 상업적으로 성공하지 못한 앨범들이 발매된 후, 그룹은 2002년 파라다이스의 발매와 함께 스타덤으로 돌아왔습니다.이 밴드는 1천 3백만 장 이상의 앨범과 [citation needed]싱글 앨범을 팔았습니다.

역사

1980년대

인도차이나(인도차이나를 뜻하는 프랑스어)는 1981년 파리에서 니콜라 시르키스(Nicola Sirkis)와 도미니크 니콜라스(Dominique Nicolas)라는 20대 초반의 프랑스인들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그들은 곧 니콜라의 친구 중 한 명의 사촌인 디미트리 보디안스키를 추가했습니다.

그들은 1981년 9월 29일 파리의 카페 르 로즈 봉봉에서 첫 번째 콘서트를 열었습니다.이 짧은 무대 공연으로 그들은 음반회사와 첫 계약을 맺었습니다.

그들은 1981년 11월에 첫 번째 싱글을 녹음했습니다."Dizdence Politik"과 "Françoise"라는 두 곡이 수록되었지만, 주류 언론보다 비평가들의 관심을 더 끌었고 제한된 관객들에게만 다가갔습니다.

니콜라의 쌍둥이 동생이자 이미 무대에서 함께 공연을 했던 스테파니 시르키스가 공식적으로 밴드에 합류했고, 1982년 4월, 이 그룹은 25만 장 이상 판매된 그들의 첫 번째 앨범인 라벤투리에를 녹음했습니다.그 앨범은 언론과 떠오르는 뉴웨이브 청중들에게 호평을 받았습니다.

라벤투리에는 1982년 프랑스 여름의 노래입니다.

1983년, 인도친은 225,000장이 팔린 "Le Péril Jaune"라는 제목의 두 번째 앨범을 발표했습니다.이 단계에서 인도차이나는 프랑스 음악의 주요한 무대가 되었습니다.1984년 밴드는 프랑스를 순회 공연했습니다.그들은 또한 스칸디나비아, 특히 스웨덴에서 성공적이었습니다.

1985년에는 〈Troisième sexe〉, 〈Canary Bay〉, 〈Troisuites parsemaine〉 등의 노래가 큰 성공을 거두며 많은 팬을 확보했습니다.그들의 세 번째 앨범인 3은 유럽에서 75만장이 팔렸습니다.Serge Gainsbourg는 이 비디오를 그룹의 가장 성공적인 노래 중 하나인 "Tesyeux nuirs"로 감독했습니다.

인도차이나는 프랑스에서 가장 큰 "뉴 웨이브" 밴드가 됩니다.싱글 "L'Aventurier"는 프랑스 상 "bus d'acier 1983"을 수상했습니다.

1986년, 밴드의 5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인도친은 파리의 제니스에서 열린 콘서트의 녹음을 공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들의 네 번째 앨범인 7000 Danses는 Joe Glasman에 의해 제작되었고, 1987년에 발매되었습니다.이 앨범은 약 32만 장의 판매고를 올리며 전작인 3장보다는 훨씬 적었지만 성공적인 앨범이 되었습니다.이것은 부분적으로 덜 주류적이고 상업적인 앨범을 만들기 위한 밴드의 노력 때문입니다.7000 Dancees 또한 인도차인이 영국 밴드 The Cure의 단순한 복제품이라고 주장하는 록 비평가들로부터 비롯된 논란 속에서 공개되었습니다.논란에도 불구하고 팬들은 계속해서 그 그룹을 지지했습니다.

1988 투어

1986년 페루 리마에서 'L'Aventurier' 싱글의 라디오 방송으로 밴드는 팬들을 확보했습니다.그 후 1987년 초, 작은 음반사인 엘 비레이는 33rpm LP[2][3]카세트 테이프로 발매된 'Au Zénith' 음반에 대한 권리를 협상했습니다.

이러한 발전에 놀란 인도친은 [2]몬트리올에서 대서양 횡단 데뷔를 한 후 리마에 정차하기로 결정했습니다.1988년 4월 6일 몬트리올에서 공연을 한 후, 밴드는 페루로 여행을 갔습니다.그곳에서 그들은 4월 29일과 30일, 그리고 5월 6일과 7일 콜로세오 아마우타에서 4회 공연을 하며 총 40,000명 [2][3][4]이상의 관객을 동원했습니다.그 기간 동안 이 밴드는 [3]페루에서 약 40만 장의 음반을 팔았습니다.

그것이 1980년대 후반 인도차이나 투어의 유일한 것이었습니다.이번 투어에서 Diego Burgard (Bass)와 Jean-My Truong (Drums) 등의 객원 음악가들이 참여한 이 4중주단은 유럽, 캐나다, 페루의 여러 도시에서 투어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촬영했으며 [5]1989년 VHS 테이프로 판매하기 위해 공개되었습니다.

1990년대

몇 달 동안 투어를 한 후에 진이 빠진 그 밴드는 휴식을 취했습니다.그들의 다섯 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Le Baiser는 1990년 초에 발매되었습니다.1989년 1월 디미트리 보디안스키가 밴드를 떠나기로 결정한 후 더 이상 그룹의 일원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 팬들은 충격을 받았습니다. 그의 탈퇴는 여러 가지 이유에 기인합니다.무엇보다도, 인도친의 소리는 수년에 걸쳐 진화해 왔고 보디안스키는 색소폰 연주자로서 할 일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최근 아버지가 된 그는 집에서도 부담감을 느끼고 있었습니다.이 모든 것이 그와 밴드의 다른 멤버들 사이의 긴장에 기여했습니다.보디안스키는 오리지널 인도차이나 라인업의 많은 사랑을 받고 있으며 그가 떠난 이후로 게스트가 밴드와 함께 무대에서 주연을 맡았습니다.

1991년은 인도차이나의 10주년이 되는 해였습니다.이를 기념하기 위해 생일 앨범(Le Birthday Album)을 발매했습니다.이 곡은 싱글로 발매된 "La Guerre Est Finie" ("The War Is Over")라는 새로운 곡을 포함한 최고의 모음곡이었습니다.이 음반의 성공은 상당했고(유럽 전역에서 60만 장이 팔렸습니다), 그룹에 대한 관심을 다시 불러일으켰습니다.그러나, 그 싱글의 제목은 페르시아만 전쟁이 막 시작되었다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 불행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이러한 이유로, 많은 라디오 방송국들은 트랙을 연주하지 않기로 선택했습니다.

그들의 여섯 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Unjourdans Notrevie는 1993년에 발매되었습니다.그것은 상업적으로나 비판적으로나 성공적이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Unjourdans not revie" 프랑스 상 수상 "동영상 클립 판타스틱 제라르메르 1994"

1999년 2월 27일, 키보디스트이자 니콜라의 쌍둥이 동생인 스테파니 시르키스가 간염으로 39세의 나이로 사망했습니다.그는 그가 [6]죽은 후에도 그 밴드를 계속할 것을 요청했습니다.

2000년대

인도차이나 콘서트, 파라다이스 투어 (2003, 프랑스)

2000년 10월, 밴드는 Nuits Intimes라는 이름의 작지만 성공적인 어쿠스틱 투어를 시작했습니다.이 앨범은 2001년 1월에 발매됩니다.

2001년이 시작됩니다.Nicola와 Olide Sat는 다음 해에 발매될 앨범 Paradize의 대부분을 작곡합니다.Year Scott, Camille Laurens, Mickey 3D, Gerard Manset, Jean-Louis Murat 그리고 Melissa Auf Der Maur가 앨범에 공동 작업을 했습니다.

2002년, 그들은 1,000,000장의 판매고를 올린 파라다이스 앨범으로 새로운 성공을 누렸습니다.[citation needed]이 앨범은 나인 인치 네일스, 플라시보, 마릴린 맨슨과 같은 인기 있는 배우들의 영향을 받아 더 어두운 음색과 더 내성적인 가사로 나아가는 미학과 장르의 변화를 보여주었습니다.

2003년, 밴드는 MTV 유럽 뮤직 어워드에서 "베스트 프렌치 액트"로, NRJ 뮤직 어워드에서 "올해의 앨범"으로, 그리고 "올해의 최고의 팝 앨범"으로 라 빅투아르 드 라 뮤지크를 수상했습니다.

2005년 12월, 인도친은 플라시보의 선두주자인 브라이언 몰코와 공동 작업을 하며 앨리스 &함께 돌아왔습니다.2006년 6월 6일과 7일에는 하노이 오페라 하우스에서 25주년 기념 콘서트를 열었습니다.

2007년 12월, 인도차인은 "앨리스 & 준 투어"라는 제목의 트리플 라이브 DVD와 더블 CD 앨범을 발매했습니다.이 앨범은 2007년 3월 프랑스 릴에서 녹음된 완전한 콘서트를 특징으로 합니다.

2008년 인도차이나는 베이징 올림픽 개막식 보이콧을 위한 기자프론티어 운동에 동참하고 있습니다.80년대 싱글 'You Spin me Round'의 커버가 공개되었습니다(수집된 모든 자료는 RSF에 모두 전달되었습니다).

2009년 3월 9일 11번째 정규 앨범 La République des Meteors가 발매되었습니다.이 음반은 그들의 음악 스타일의 변화를 보여주었고, 그들이 "Paradize"와 "Alice & June"으로 탐구했던 어둡고 기발한 영역에서 서서히 벗어났습니다.

2010년대

인도친은 2010년 6월 26일 스타드 드 프랑스에서 공연한 최초의 프랑스 밴드로, 80,000명의 사람들 앞에서 그들의 사상 최대 공연은 매진되었습니다.

2012년 11월, 이 밴드는 그들의 다가오는 앨범 블랙 시티 퍼레이드에 수록된 새 싱글 Memoria를 발표했습니다.

블랙 시티 퍼레이드는 2013년 2월 11일 팬들의 많은 기대 속에 개봉되었습니다.이 앨범은 거의 우울한 커버 아트에도 불구하고 지난 두 앨범보다 훨씬 밝고 따뜻한 음악이 특징입니다.그 밴드는 그들의 신스팝과 새로운 웨이브 시작에 대한 언급을 포함하고 싶어하는 것처럼 보였습니다.인도친은 2013년 2월 21일에 시작된 "블랙 시티 투어" 1차전에서 매진된 공연을 몇 차례 했습니다."블랙 시티 투어"에는 다섯 개의 다리가 계획되어 있습니다.그 밴드는 그들이 전세계에서 연주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그들은 이후 2014년 6월 27일 스타드 드 프랑스로 돌아갈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Black City Parade의 두 번째 싱글은 College Boy로, 때리기와 괴롭힘에 대처하는 동성애적인 십대 소년의 삶을 묘사하기 위해 널리 인정되는 노래입니다.싱글의 비디오는 캐나다의 영화제작자 자비에 돌란이 감독했습니다.그 비디오는 폭력적인 장면을 포함하고 있어서 어린 관객들에게 적합하지 않을 것이라는 면책 조항과 함께 온라인에서 초연되었습니다.이 비디오는 어린 남학생이 학교 친구들로부터 폭도와 괴롭힘을 당하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습니다.비디오는 그가 동료 학생들에 의해 잔인하게 십자가에 못 박혀 몸통에 총을 맞는 장면으로 끝이 납니다.이 동영상이 방송돼야 [citation needed]하는지에 대한 많은 비판이 인터넷을 통해 쏟아졌습니다.

이 밴드는 2014년 6월 27일과 28일 이틀간 스타드 드 프랑스에서 공연했습니다.그들은 2014년 7월 14일 런던의 O2 셰퍼드 부시 엠파이어에서 훨씬 더 작은 공연으로 경기장 콘서트를 이어갔습니다.

2015년 4월, 밴드는 8일간의 유럽 시티 클럽 투어를 진행했는데, 이 투어에서 밴드는 스페인, 독일, 스웨덴, 덴마크, 노르웨이, 네덜란드를 방문함으로써 프랑코폰 기반을 넘어 확장되었습니다.

2016년은 파필롱누이트 (5월 20일), 레 앙디앙테스 (7월 6일), 카르카손 축제 (7월 15일), 시옹 수 레 에투아레스 (7월 18일), 푸펫 (7월 22일), 라 페트브뤼트 (8월 12일), 카바레 베르트 (8월 25일)에서 공연을 가진 축제 투어의 해였습니다.

13(2017)으로 명명된 그들의 13번째 앨범은 프랑스에서 Unété français나 La vieest belle와 같은 싱글로 큰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2020년에 밴드는 2021년에 그들의 40년 경력을 기념하는 새로운 투어인 센트럴 투어를 발표했는데, 이는 프랑스에서 가장 큰 경기장에서 5일간의 일정으로, 4번째 스타드 드 프랑스가 되었습니다.

밴드 멤버들

현재 구성원
  • Nicola Sirkis (보컬, 기타, 신디사이저, 하모니카, 1981년부터 현재까지)
  • 마크 엘리어드 (1992년부터 베이스)
  • 보리스 자델 (1998년부터 리드 기타)
  • oLidE SaT (올리비에 제라르) (1999년부터 키보드 및 리듬 기타)
  • 루트비히 달베르그 (2015년 이후 드럼)
과거 구성원
  • 스테판 시르키스 (1982년부터 1999년까지 키보드와 키보드 → 사망)
  • 도미니크 니콜라스 (1981년부터 1994년까지 기타)
  • Dimitri Bodiansky (색소폰 1981년부터 1988년까지)
  • 아르노 데보스 (1985년부터 1986년까지 드럼)
  • 디에고 버가 (1988년부터 1992년까지 베이스)
  • Jean-My Truong (1988년부터 1994년까지 드럼)
  • Didier Petitbeure (2002년 팀바데)
  • 필립 아이델 (1992년 아코디언)
  • 장 피에르 파일럿 (1994년부터 2001년까지 키보드)
  • 알렉상드르 아자리아 (1995년부터 1997년까지 기타)
  • 무슈 톡스 (1996년부터 1997년까지 기타)
  • 무슈 얀 (1996년부터 1998년까지 드럼)
  • 마티유 라바테 (1999년부터 2002년까지 드럼)
  • 무슈 프레데릭 (프레데릭 헬버트) (2002년부터 2004년까지 키보드)
  • Mr Shoes (프랑수아 솔리에) (2002년부터 2015년까지 드럼)
  • Mr Matu (Francois Matuszenski) (2005년부터 2015년까지 키보드)

디스코그래피

전기

  • 인도친 (1986), 장 에릭 페린
  • 르 셉테나트(1988), 마크 티리온
  • 세바스티앙 바타유의 인도차이나아즈 (2003)
  • 기독교 영어와 프레데릭 티보의 인도차이나 (2004)
  • 세바스티앙 미쇼의 불요불요석 (2004)
  • 장클로드 페리에의 인도차이나 (2005)
  • 필리핀 크로크의 술라 무라유 다인도친 (2007)
  • 아누크 빈센트의 인도친 이야기 (2009)
  • Agnès Michaux의 Kissing my song (2011)

참고문헌

  1. ^ "Indochine – traduction – Dictionnaire Français-Anglais WordReference.com". wordreference.com. Retrieved 7 July 2016.
  2. ^ a b c ""Le jour où Indochine a mis le Pérou à feu et à sang"". Noisey by Vice. Vice.com. 27 June 2016. Retrieved 24 April 2020.
  3. ^ a b c Michael Zárate (30 May 2018). "Especial: A 30 años de la llegada de Indochina al Perú". El Comercio. Retrieved 24 April 2020.
  4. ^ "Concert in Lima, Peru". YouTube.com. 6 May 1988.
  5. ^ "Indochine – Tour 88 Peru – Canada – Europe". Discogs. Retrieved 24 April 2020.
  6. ^ "Biographie de Stéphane". le-baiser-indochine.com. 26 November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May 2007.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