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 샤프

Mike Sharpe
마이크 샤프
출생명마이클 샤프
태어난(1951-10-28)1951년 10월 28일
캐나다 온타리오 해밀턴
죽은2016년 1월 17일(2016-01-17) (64세)
캐나다 온타리오 주 해밀턴
프로레슬링 경력
링 이름마이크 샤프
마이크 샤프 주니어
빌링 높이6피트 4인치(1.93m)[1]
빌드 웨이트283파운드(약 1kg)[1]
교육 대상듀이 로버트슨
데뷔1975
은퇴한1997

마이클 샤프(Michael Sharpe, 1951년 10월 28일 ~ 2016년 1월 17일)는 "아이언" 마이크 샤프로 더 잘 알려진 캐나다의 프로 레슬링 선수였다.아버지와 삼촌(마이크, 벤 샤프)도 이 분야에서 경쟁했던 2세대 레슬링 선수인 샤프는 미국 전역의 다양한 영토에서 주축이 되어 세계레슬링연맹뉴재팬 프로레슬링의 정식 선수가 되었다.인링 대회에서 은퇴한 후 그는 뉴저지주 아스버리 파크에 레슬링 학교를 열었고, 그곳에서 찰리 하스, 노바와 같은 레슬링 선수들을 훈련시켰다.[2]

프로레슬링 경력

샤프는 의 아버지와 삼촌이 샌프란시스코에서 일본에 이르는 챔피언으로 인정받은 1950년대 성공적인 태그팀이었기 때문에 레슬링의 가족 유산에서 왔다.[3]그는 캘리포니아에서 자랐지만, 10대에 어머니와 함께 캐나다로 돌아왔다.고등학교 때, 그는 아버지의 뒤를 따르기로 선택하기 전에 권투와 역도에 손을 댔다.[4]

듀이 로버트슨은 25세의 나이에 반지를 위해 그를 훈련시켰고 그 직후 샤프는 진 키니스키NWA 올스타 레슬링과 같은 캐나다 전역의 프로모션을 위해 그의 명인 레슬링을 했다.그는 NWA 캐나다 태그팀 챔피언으로 두 번 출전하여 무스 모로우스키, 이후 살바토레 벨로모와 파트너십을 맺었으며, 태평양 코스트 헤비급 타이틀도 따냈다.그의 경력은 루이지애나로 옮겨간 후 활기를 띠게 되었고 1979년 루이지애나 챔피언(2회)과 미시시피 우승(2회)과 브래스너츠 타이틀(2회)을 따냈다.[5]그는 1980년부터 1981년까지 캘거리에서 스탬프 레슬링에서 일했고,[6] 스탬프 국제 태그팀 챔피언십을 개최했다.[7]

1983년 2월 샤프는 1995년 은퇴할 때까지 머물 세계레슬링연맹에 가입했다.그는 1980년대 중반과 1990년대 초반에 걸쳐 WWF의 정규 프로그램이었다.그는 발표되었고 "캐나다의 가장 위대한 운동선수"(키니스키에서 따온 별명)라고 자칭했다.[8]1984년, 맥클린(MacLean)은 샤프의 주장을 검증하여 그가 1990년까지 보유했던 캐나다 최고의 운동선수라는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그의 경기 내내 거의 일정한 고함소리와 투덜거림, 그리고 그의 오른쪽 팔뚝에 있는 검은 버팀대로 부상을 보호하지만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다고 더 널리 믿어지는 것으로 더욱 두드러졌다.WWF 활동 초기에 그는 루 알바노 선장에 의해 관리되었고, 팔뚝으로 그들을 때린 후 정기적으로 그들을 물리치는 상당한 압박을 받았다.이는 1983년 4월 30일, 샤프가 패배한 필라델피아 스펙트럼에서 세계 헤비급 챔피언 밥 백런드와의 경기에서 절정을 이루었고, 다시는 이 같은 주종목 고지에 오르지 못했다.[9]사실, 샤프는 결코 이 프로모션의 타이틀을 차지하지 않을 것이고, 주로 텔레비전 테이핑에서 떠오르는 WWF 스타들의 일꾼으로 사용되었다.

샤프의 텔레비전 출연은 항상 일꾼의 역할이었고, 하우스 쇼에서도 승리는 드물었지만, 그는 1984년과 1988년 사이에 꽤 많은 무전승부를 기록했다.샤프는 WWF 선수 생활을 하면서 몇 가지 더 기억에 남는 시간을 가졌다.1984년 파이퍼스 핏에 등장해 이반 푸스키의 1987년 메디슨 스퀘어 가든 복귀전에 반대편을 제공했고 보리스 주코프를 핀으로 꽂아 1988년오브 더 링 대회 2라운드에 진출시켰다.그리고 WWF에서 발뒤꿈치로 씨름했지만 샤프는 1984년 초 뉴재팬 프로레슬링의 스타들과 일본 투어 중 헐크 호건의 태그팀 파트너였다(호건은 일본의 발뒤꿈치였다).샤프 역시 1988년 말 스티브 롬바르디배리 호로위츠를 상대로 TV로 승리하며 팬 선호도로 잠시 경쟁했다.샤프는 1984년 말과 1985년 초에 멤피스에서 열린 신일본프로레슬링컨티넨탈레슬링협회(CWA)에서도 레슬링을 하며 NWA 미드아메리카 헤비급 챔피언십을 개최했다.그의 마지막 TV 경기는 1995년 6월 6일, 흡연 건스와의 듀안 길과의 태그팀 경기에서 패배한 경기였다.[10]

WWF를 떠난 후 샤프는 독립 서킷에서 계속 씨름을 했다.1996년 5월 11일 중동부 레슬링 연맹전에 출전하여 니콜라이 볼코프에게 패했고, 6월 22일 버질에게 패했다.1996년 6월 2일, 는 Bigelow가 우승한 New Jack City 레슬링을 위해 Bam Bigelow와 맞붙었다.1996년 12월 7일 샤프는 USA 프로에서 Ax에게 패했다.샤프의 마지막 경기는 1997년 11월 15일 동부 레슬링 연맹에서 조지 스틸에게 패했다.[11]

샤프는 은퇴 후 얼마 동안 뉴저지 주 브릭과 그 후 뉴저지[1] 주 애스버리 파크에 위치한 마이크 샤프의 프로레슬링 학교에서 레슬링 지망생들을 가르치며 살아왔다.그의 제자로 더 잘 알려진 사람들 중에는 마이크 부치, 크리스 포드 그리고 하스 브라더스, 찰리러스가 있다.

사생활

샤프는 이전의 레슬링 선수들인 다이너마이트 키드, 헐크 호건, 게리 마이클 카페타, 그리고 WWF의 오랜 레슬링 선수인 고릴라 몬순에 의해 적어도 세 권의 책에서, 샤프를 씻는데 몇 시간을 소비하게 한 청결에 사로잡힌 것에서 증명되었듯이, 강박장애의 특징을 보여 주었다.경기장에서 샤워를 하거나 그의 옷을 꼼꼼하게 접었다가 다시 여미었다.카페타에 따르면, 샤프의 행동은 그에게 동료들 사이에서 "미스터 클린"이라는 별명을 얻게 했다.[12][13]1986년 3월 보스턴 가든에서 열린 TV 하우스 쇼에서 몬순은 동료 해설가 알프레드 헤이스 경에게 샤프가 이전 보스턴 쇼에서 밤의 첫 경기를 가졌고, 그날 밤 늦게 문을 걸어 잠그고 경기장에서 밤을 보내도록 강요했을 때 여전히 샤워 중이었다고 농담을 하기도 했다.[14]많은 논평가들은 또한 WWF 활동 동안, 그의 강박적인 청소 외에 샤프 또한 신체적인 건강에 집착했으며 만약 그가 링이나 샤워실에 있지 않다면, 그는 운동을 하고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15][16]

건강 문제 및 사망

2007년에 그는 그의 나이든 어머니와 함께 살기 위해 해밀턴으로 돌아왔다.그해 여름 그는 조경 일을 하다가 다리에 깊은 상처를 입어 감염되었다.[17]그는 휠체어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결국 지하 아파트에서 살게 되었고 그곳에서 은둔자가 되었다.그 과정에서 다른 건강 문제들이 발생했다.[18]2015년에야 안젤로 모스카 스르에 대한 헌사의 일환으로 비디오카메라가 자신을 녹화할 수 있도록 허락했다.샤프는 2016년 1월 17일 캐나다 온타리오 주 해밀턴에서 6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9]

선수권 대회 및 성과

참조

  1. ^ a b c Shields, Brian; Sullivan, Kevin (2009). WWE Encyclopedia. DK. p. 140. ISBN 978-0-7566-4190-0.
  2. ^ ""Iron" Mike Sharpe passes away". WWE. Retrieved 2018-12-24.
  3. ^ III, Harris M. Lentz (2015-09-15). Biographical Dictionary of Professional Wrestling, 2d ed. McFarland. ISBN 978-1-4766-0505-0.
  4. ^ Position, The Gorilla (2019-01-17). "IN MEMORIAM: IRON MIKE SHARPE". The Gorilla Position. Retrieved 2021-06-20.
  5. ^ "Mike Sharpe - OWW". Online World of Wrestling. Retrieved 2021-06-20.
  6. ^ Greer, Jamie (2016-01-18). "Iron Mike Sharpe: Remembering Canada's Greatest Athlete". Last Word on Sports. Retrieved 2021-06-20.
  7. ^ Grattan, Jenni. "Stampede Wrestling". Kayfabe Memories.{{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
  8. ^ Press, The Canadian (Jan 19, 2016). "Iron Mike Sharpe, 'Canada's Greatest Athlete,' has died". CBC.{{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
  9. ^ "WWE Statement On "Iron" Mike Sharpe Passing Away". Wrestling Inc. Retrieved 2021-06-20.
  10. ^ "Iron Mike Sharpe: Profile & Match Listing". Internet Wrestling Database. Retrieved 2018-09-06.
  11. ^ "George Steele defeats Iron Mike Sharpe (7:10)". cagematch.net.{{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
  12. ^ Cappetta, Gary Michael (2006-01-10). Bodyslams!: Memoirs of a Wrestling Pitchman. ECW Press. ISBN 978-1-55022-709-3.
  13. ^ "The clean story on Iron Mike Sharpe". Slam Wrestling. 2001-09-18. Retrieved 2021-06-20.
  14. ^ Position, The Gorilla (2019-01-17). "IN MEMORIAM: IRON MIKE SHARPE". The Gorilla Position. Retrieved 2021-06-20.
  15. ^ Andrew Soucek (2017-09-23). "WRITTEN PODCAST RECAP: Something to Wrestle on Randy Savage, Relationship with Andre, the Mega Powers, "Iron" Mike Sharpe's OCD, Pomp and Circumstance, what Randy thought of Jay Lethal's impression, and much more. Part 1 of 2. (Ep. 64)". PWPodcasts. Retrieved 2021-06-20.
  16. ^ Lanny Poffo on Iron Mike Sharpe's OC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12-21, retrieved 2021-06-20
  17. ^ "Wrestling star, Iron Mike Sharp, died in his Hamilton apartment at 64". The Hamilton Spectator. 2016-01-19. ISSN 1189-9417. Retrieved 2021-06-20.
  18. ^ "Legendary wrestler Iron Mike Sharpe dead at 67". torontosun. Retrieved 2021-06-20.
  19. ^ "아이언 마이크 샤프가 67세에 죽었어" 그레그 올리버의 작품, 슬램! 레슬링
  20. ^ a b c Royal Duncan & Gary Will (2000). Wrestling Title Histories (4th ed.). Archeus Communications. ISBN 0-9698161-5-4.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