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반 마슬레니코프

Ivan Maslennikov
이반 마슬레니코프
Ivan Maslennikov in 1945.jpg
1945년 마슬레니코프
출생명이반 이바노비치 마슬레니코프
태어난(1900-09-16)16 1900년 9월
러시아 제국 사마라 주, 오진스키 군 칼리클라
죽은1954년 4월 16일 (1954-04-16) (53)
모스크바, 러시아 SFSR, 소비에트 연방
얼리전스 소비에트 연방
근속년수1918–1954
순위원수
보유된 명령29 육군
39 육군
노스캅카스 전선
제8 근위대
42군
제3차 발트 전선
바쿠 군구
트라사우카스 군구
전투/와이어제2차 세계 대전
수상소비에트 연방의 영웅

이반 이바노비치 마슬레니코프(러시아어: иаа́нннооооччччччччччч;;;;;;;;;;;;;; september; 1900년 9월 16일 ~ 1954년 4월 16일)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소련군 및 NKVD급 육군 및 전방사령관이었다.직업별 적군 장교인 마슬레니코프는 1928년 NKVD 제도로 이양되었고, 1941년 독일의 침공 때까지 그곳에 남아 대게릴라 편대 지휘관에서 NKVD 부대장으로 진척되었다.마슬레니코프는 제2차 세계대전과 3년 전후의 야전군에서 혼혈 생활을 한 후 1948년 NKVD로 복귀하여 정치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1954년 자살할 때까지 그곳에 머물렀다.

전기

남북전쟁과 전쟁중기

오늘날의 사라토프 주(州)의 외딴 철도역에서 태어난 이반 마슬레니코프는 1917년 친볼셰비키 적위군에 입대해 아스트라칸 근처에서 전투를 벌였다.남북전쟁 기간 내내 남부 극장에서 붉은 군대에서 복무했고, 1921년 기병여단장으로 진급했다.전후 군대의 탈권위화 과정에서 그는 중대장의 하위 역할을 수락했고, 1928년에는 정규군에서 중앙아시아 국경지역의 OGPU 국경부대로 이양되어 처음에는 중대를 지휘하던 중후 연대가 되었다.마슬레니코프의 부대는 남아 있는 바스마치 군벌 우탄 벡(1928년 10월 1929년), 이브라힘 벡(1931년), 아흐메트 벡(1933년)을 격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35년 마슬렌니코프 대령프룬제 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이후 2년간 아제르바이잔 국경부대와 함께 주둔한 뒤 벨라루스의 국경부대를 지휘하는 것으로 진급했다.[1]1939년 2월 새로 임명된 NKVD라브렌티 베리아 소장은 마슬렌니코프를 부대의 NKVD 커미사르 부대의 지위로 승진시켜, 마슬렌니코프를 내군은 물론 소련 국경 부대를 장악하게 했다.세르고 베리아에 따르면, 마슬레니코프가 경험이 풍부한 전투 지휘관이었다는 단순한 사실에 근거해 선택을 한 것이라고 한다.[2]Beria과 Maslennikov의 관계의 정확한 정도, 현대 작가들 Maslennikov Beria의"이너 서클"(BogdanKobulov, 블라디미르 Dekanozov고 다른 사람들과)에서 정황 증거(Beria 대통령과의 회담을 10월 1939년에 파벨 Sudoplatov의 계좌와 같)에 따라 포함하는 경향이 있고,[3] 다른 사람들처럼 그를 치료하(빅토르 수보 로프)여전히 알려지지 않았다.aNKVD 심복은 정규군에서의 경험과 정식 훈련에도 불구하고.

마슬레니코프의 국경 부대는 1939년 9월 폴란드 점령에 참가했다.[4]같은 해 10월 마슬렌니코프는 발트해 점령[5] 계획과 옛 폴란드와 발트해 국가들로부터의 송환에 관한 독일-소비에트 위원회 등에 종사하였다.독일의 보도에 따르면, 마슬레니코프는 소련이 "부자 우크라이나인과 벨라루스인, 프롤레타리아만이 필요"하다고 공공연히 시인했다. 이는 우연히 독일인들이 소련이 유대인을 전혀 배려하지 않았다고 생각하게 만들었다.[6]

1941-42: 겨울 공세

1941년 7월 서부 국경의 그의 군대가 독일의 공세로 격파되자 마슬레니코프 중장제29군 사령부에 배치되어 NKVD 직원과[7] 부하를 거느리고 레저비 프런트 HQ, 후에 칼린 프런트 HQ로 유인되었다.모스크바 사무실에서 볼로고예에 있는 HQ로의 이사는 마슬렌니코프가 '전쟁포로 결사'를 승인한 [8]7월 4일부터 7월 6일 사이에 발생했으며, 그 때 세르게이 루덴코 미래 공군 대장에 따르면 그는 육군 부대를 사열하고 있었다고 한다.[7]이 임명에도 불구하고 마슬레니코프는 NKVD 위원회 위원 9명 중 1명의 자리를 지켰다.[9]

육군은 7월 21일 처음으로 독일군의 공격을 받아 토로페츠 지역에서 다시 레제프 지역으로 떨어졌다. 여기에는 잘려나간 31군단의 유해가 통합되어 있었다.10월 12일, 독일군은 29군을 포위했지만, 가까스로 볼가 북쪽 둑으로 돌파했다.1941년 10월 칼린 전선 사령관 이반 코네프에 따르면 마슬레니코프는 베리아의 영향력을 이용해 코네프의 29군행진 명령을 방해했고, 마슬레니코프의 반항은 테버의 함락으로 이어졌다.[10]

1941년 12월 5일, 마슬레니코프 제29군은 모스코바 전투의 공격 단계를 개시하여 독일군이 점령한 TVER로부터 남서쪽을 공격했다. 8일 후 29일과 31군은 도시 주위의 주머니를 닫았다. 12월 16일에 점령되었다.그러나 공격 초반 마슬레니코프는 갑자기 지휘권을 해제하고 토르조크 지역에 집중하면서 새로 편성된 39군을 지휘하도록 배정받았다.전후 소련 소식통들은 31군 사령관 바실리 유스케비치 장군에게 트베르를 데려간 공로를 인정한다.

39군은 갑옷이 부족했지만 소련 기준에 잘 적응했다. 소련 6개 보병사단은 각각 평균 9,000명이 넘었다.[11]1942년 1월 7일 제39군은 1941-1942년 겨울 공세의 북쪽 선봉이 되어 토르조크 지역에서 날카로운 독일 전선(戰線)을 뚫고 독일 9군을 격파하여 남서쪽으로 나아가게 되었다.제29군과 제31군은 제39군의 초기 성공에 이어 독일군 그룹 센터를 감싸며 레제프를 점령한 책임이 있었다.그러나 소련 핀커스는 월터 모델이 가까스로 독일 전선을 복구하는 동안 실패하였다.반년 동안 39군은 게릴라 전술에 의존하여 독일 후방 깊숙이 작전을 전개했다.1942년 2월 독일군은 29군을 격파했다; 6월 30일 발사된 세이들리츠 작전은 39군을 완전히 고립시키고 절단했다.7월 17일까지, 군대는 8천 명으로 줄어들었다; 다음날 밤 스타브카의 지시를 받은 마슬레니코프와 그의 직원들은 포-2s의 주머니에서 탈출했다.그 다음 주에 39군단 3,500명이 소련의 주요 부대로 침입했고 나머지는 죽었다.[12]

1942-43: 코카서스 전투

같은 1942년 7월, 레제프 주머니에서 꺼낸 직후, 마슬레니코프가 남쪽에 다시 나타나, 코카서스를 향해 진격하는 Evald von Kleist 부대의 진로를 임시방편으로 방어했다.이 임명은 대개 베리아에게 인정되는데, 자신은 코카서스에 종사하고 있다(예:[2] 최근의 연구에서는 적어도 전투 개시 기간에는 베리아와 별도로 운영되는 게오르기 말렌코프에 의해 실제로 관리되었다고 주장한다.[13]

테렉 계곡과 그루지야 군사로 방어를 담당하는 마슬레니코프북부 그룹은 곧 9, 37, 44군을 통합했지만, 8월 중순에 독일군의 공격에 맞닥뜨렸을 때 417 소총 사단은 단지 500명의 현역병만 보유하고 있었다.[14]이후 100대의 탱크로 보강되었고, 바쿠 방어를 위해 배치되었으며,[15] 실험 적외선 조준기와 침묵 저격 소총은 1943년까지 계속되었다.[2][16]조셉 스탈린이 개인적으로 감독한 매장량 통폐합은 마슬레니코프가 테렉 계곡에서 1기갑군 진격을 견제하고 바쿠 석유를 확보할 수 있게 했다.[17]

1943년 1월 4일, 요셉 스탈린은 정전이 일어나면 독일의 코카서스 철수가 지연되고 그들을 봉투와 파괴로 이끌기를 바라면서 마슬렌니코프의 북부집단 임무를 반격작전에서 독일군을 묶는 것으로 바꾸었다.스탈린은 마슬렌니코프와 이반 페트로프(흑해그룹 부장)에게 "이것을 이해하지 못했다"[18][19]고 질책했고, 사흘 뒤엔 군대의 고갈을 위해 비현실적인 공격명령을 내렸고, 그로 인해 독일군에 의한 통제력 상실과 잠재적 은신처로 이어졌다.[20]마슬레니코프는 아르마비르에서 병력을 재편성하여 단 한 번의 타격으로 이끌었다.결국 클라이스트는 덫을 피했지만 마슬레니코프의 전진을 견제하지 못했다.1월 22일, 그의 부대는 남전선과 접촉하여 티호레츠크에 있는 철도 분기점에 접근했다.이 순간부터 북부그룹은 마슬레니코프가 여전히 지휘하고 있는 가운데 바타이스크에서 클라이스트의 생명줄을 끊는 전략적 임무를 맡고 있는 독립된 노스 코카서스 전선이 되었다.이 궁극적인 목표는 실현되지 않았다: 독일군은 육군 A조에서 탈출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벌면서 바타이스크를 맹렬하게 방어했다.[21]

1944년: 레닌그라드와 발트해 국가

마슬레니코프는 코카서스 전투가 끝난 후 (1943년 5월)의 경력은 대략적인 것이었으며, 6개월 만에 (육군 사령관과 부사령관급) 4개의 다른 지휘를 변경하여 1943년 12월 마침내 레닌그라드 전선의 42군 사령부를 상륙시켰다; 그는 1944년 말까지 발트 연극에서 주로 연기했다.제3전선의 지휘관(가명 미로노프[22])이다.

레닌그라드 지역의 독일 팬더-워탄 노선을 타파하기 위한 42, 67군단의 첫 번째 시도는 실패했다. 스타브카는 새로 구성된 제3차 발트 전선 본부에서 두 번째 시도에 병력을 집중시켰다.1944년 4-6월에 전선은 정적을 유지했다.7월 17일 전선은 프스코프 호수 인근 밀집지역부터 프스코프, 더 서쪽으로 육군그룹 노스(North)를 상대로 전면 공격에 나섰다.1주일간의 전투 끝에 독일인들은 프스코프를 버렸다. 페푸스 호수에서 북쪽으로 레오니드 고보로프의 군대가 나르바를 점령했다. 이 작전은 마슬레니코프가 육군 장군의 계급으로 승격되었다.8월 10일 마슬렌니코프의 부대는 마리엔부르크 선을 돌파하여 8월 13일 바루(Võru)를 점령했다.발가타르투 이전에 다시 전선이 정지되었다.그것은 라트비아에 있는 독일군을 본토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병력을 집중시키기 시작했다.8월 24일 폰 스트라흐비츠 백작의 탱크 그룹은 실패한 반격작전을 시도했고 다음날 마슬레니코프의 군대는 타르투를 사로잡았다.9월 15일 전선은 리가를 향해 공세를 펼쳤는데, 이 공격이 성공하면 육군그룹 노스(North)를 고립시킬 수 있다.그러나 독일의 저항은 10월 15일까지 리가의 포획을 지연시켰고, 독일 18군은 포획에서 벗어났다.다음날 지금은 중복된 제3차 발트 전선의 HQ가 해체되었다.

1945: 만주

만주 작전에서 마슬레니코프의 역할은 아직 연구가 거의 남아 있지 않다.공식적으로, 그는 알렉산더 바실레프스키 극동군 총사령관의 초대 부관이었다. 이 작전은 마슬레니코프를 소비에트 연방의 영웅으로 만들었다.그러나 만주 작전에 관한 바실레프스키 회고록에는 마슬레니코프의 이름조차 언급되지 않고 있다(그의 1944년 사건 설명과는 달리). 게다가 그의 이름을 딴 표도르 마슬레니코프 장군은 참모총장 제1군단장으로서 작전에 임하고 있었다.

개인 계정

콘스탄틴 베르시닌 미래 소련 공군 수장은 마슬레니코프의 이 시기 개인적 스타일은 "엄청난, 때로는 무자비하다"[23]고 묘사했다.비체프스키 중장은 1944년 마슬레니코프를 불규칙하고 불건전한 결정을 내리는 신경질적이고 편협하고 우울한 성격이라고 묘사했다.[24]

1941-1942년 레제프 주머니에 있는 부하인 콘코프 장군은 정반대의 설명을 한다. "나는 첫눈에 그에게 동정심을 느꼈다.평균 키에도 못 미치는 린은 주위의 남자들에게 한결같은 태도를 유지했다.이제 적들이 좌, 우, 뒤에 있는 그 시절이 어땠는지, 우리를 짓뭉개버리려고 혈안이 되어 있는 모습을 상상해 보시오."[25]

세르고 베리아에 따르면 게오르기 주코프는 마슬레니코프를 "군 사령관이 아닌 게릴라"라고 혐오했고, 라브렌티 베리아에게 그의 보호자를 제거해 달라고 호소했지만 허사였다.그러나 1930년대 그의 실제 게릴라 및 대게릴라 경험은 코카서스에서 필수적인 기술이었다.[2]

1944년 7월 요셉 스탈린 자신은 마슬렌니코프가 바그라티케 작전에서 제 역할을 하지 못할 수 있다고 우려하며 의아한 말을 했다.그는 숙련된 포수들과 조종사들에 의해 강화가 필요하다."[26] - 1941년과 1942년 마슬레니코프의 작전에 스탈린이 개인적으로 관여했다는 것을 감안할 때 놀라운 진술이다.

전후 경력

제2차 세계 대전 후 3년간 마슬레니코프는 극동군의 부사령관과 바쿠·크로사카시아 군구의 사령관으로 육군에 남아 있었다.1948년[1] 6월 마슬레니코프는 다시 NKVD 제도로 불려가 MGB로 개칭되었고, MGB군 사령관인 MGB 부장관으로 전쟁 전 직책을 맡았다.그의 정확한 기능과 책임 범위는 NKVD-MGB-MVD 시스템의 수많은 재편성 동안 다양했다; 예를 들어, 1951년 2월, 그의 역할은 내부 부대로만 축소되었다;[27] 새로운 MVD는 1939년처럼 한 번의 명령으로 다시 많은 병력을 집중시키지 않았다.

마슬레니코프는 라브렌티 베리아 체포(1953년 6월)와 베리아와 그의 핵심 측근들에 대한 즉결 처형(53년 12월) 이후에도 직위를 유지했다.알렉산드르 솔제니친보르쿠타 봉기의 유화작전에 참가한 마슬레니코프 장군이 곧 폭동 수용자들에 대한 집단 총격으로 변질되었다고 언급한다.[28]

그러나 4월 1954년에 그는, 필시 Beria과 내무 인민 위원회 대체적으로 자신의 장기적인 유친 repressions을 무서워해서 자살을 했다.파벨 Sudoplatov, 1953년 7월에 으스러지Maslennikov을 목격했다에 따르면, Maslennikov Beria의 존재하지도 않는 계획 절대 권력 Maslennikov의 군대를 사용한 것에 대해 한참의 심문에 적용을 받았다.Sudoplatov처럼 노련한 요원들도 그의 자살 거의 1년 후 에였다 충격적인 일은 그 자신을 투옥해다.[29]

Maslennikov 공식적으로 어떤 잘못을(또는 사후에 살아 있)로 기소되지 않았다.철저한 연구 전기의 자주 세계 대전(좀처럼을 지나 그의 내무 인민 위원회를 언급하는)에서 소련의 책에 나타났지만, 그는 되지 못 과목이다.

참조

  • (러시아어로)Beria, S.L. 아버지, Lavrenty Beria(Берия С.Л. Мой отец— Лаврентий Берия. — М.:Современник, 1994년)[1].
  • (러시아어로)Bychevsky, B.V전선선 도시(Бычевский Б. В. Город— фронт. — Л.:Лениздат, 1967년)[2].
  • (러시아어로)Galitsky, 전쟁의 내무 인민 위원회 수용소 V에서 P. 핀란드 죄수들— М(Галицкий В. П. Финские военнопленные в лагерях НКВД(1939–1953гг.).:Издательский дом «Грааль», 1997년, кн. 1. — Подредакцией В. С. Ещенко. ISBN5-7873-0005-X)[3]
  • (러시아어로)Isaev, A.V장은 샤포슈니 코프의 타격(Исаев А. Краткий курсистории ВОВ.Наступление маршала Шапошникова. — М.:Яуза, Эксмо, 2005년.아이 에스비엔 5-699-10769-X)[4]
  • (러시아어로)코네프, 나. S. 회고록(На правом фланге Московской битвы/Сост. М. Я. Майстровский.— Тверь:Моск.рабочий, 1991.아이 에스비엔 5-239-01085-4)[5]
  • (러시아어로)Kokurin, A. 나, 페트로프, N.P. 굴 라크[6](Кокурин А. И.,Петров Н. П. Гулаг, М. 2002년).
  • (러시아어로)Konkov, VF파와 시간(Коньков В. Ф. Время далекоеи близкое. — М.:Воениздат, 1985년)[7]근처에 두었다.
  • (러시아어로)쿠즈네초프, N.G., 전쟁(Кузнецов, Н. Г. Накануне.-М:АСТ, 2003년의 전야에아이 에스비엔 5-17-017888-3)[8]
  • (러시아어로)Semiryaga, M. 나 비밀 보호는 스탈린의 외교 1939-1941(Семиряга М.И. Тайнысталинской дипломатии. 1939—1941. — М.:Высшая школа, 1992년)[9].
  • (in Russian) Shtemenko, S. M. General Headquarters during the war (Штеменко С.М. Генеральный штаб в годы войны. — М.: Воениздат, 1989) [10]
  • (영어) 솔제니친, A, 굴락 군도, v.3
  • (러시아어로) 수도플라토프, P. 특수작전 (су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 ипп.ап. лубаааааа 1930–1950 гоыы. — —. :.: оааа аааа-прп----, 1997 ISBN 5-87322-726-8)
  • (in Russian) Utkin, A. I. History of World War II (Уткин А. И. Вторая мировая война. — М.: Алгоритм, 2002 ISBN 5-699-03786-1) [11][permanent dead link]
  • (in Russian) Vasilevsky, A. V. A whole life's job (Василевский А. М. Дело всей жизни. Издание третье. М., Политиздат, 1978)
  • (러시아어로) 버시닌, K. A.제4항공군( (ерр и.ASA. чераааааааа — — — — — — — — — — — — — — — — —. —. —.: ооааааааа, 1975년) [12]
  • (러시아어) 소비에트 및 공산사 참조 / 이반 마슬레니코프 [13]

메모들

  1. ^ a b 소련에 대한 참조...
  2. ^ a b c d 베리아, ch.5
  3. ^ 수도플라토프, 5장
  4. ^ 쿠즈넷초프, ch.유럽의 전쟁
  5. ^ 수도플라토프, 6장
  6. ^ 세미랴가, 페이지 36
  7. ^ a b 루덴코, 17페이지
  8. ^ 갈리츠키, 페이지 22, 1941년 7월 4일 NKVD 법령 N0318을 인용한다.
  9. ^ 코쿠린과 페트로프 9장은 1941년 7월 31일 NKVD 법령 N1910을 인용한다.
  10. ^ 코네프, 페이지 63-64
  11. ^ 이사예프, 페이지 92
  12. ^ 381쪽 이자예프는 1941년 7월 39군단의 모든 손실을 2만3647명으로 인용했다.
  13. ^ 웃킨, 11장
  14. ^ 슈테멘코, 페이지 69
  15. ^ 슈테멘코, 페이지 71
  16. ^ 슈테멘코, 페이지 78
  17. ^ 슈테멘코, 페이지 70
  18. ^ 슈테멘코, 페이지 77
  19. ^ 바실렙스키, 페이지 263
  20. ^ 슈테멘코, 페이지 79
  21. ^ 슈테멘코, 페이지 83
  22. ^ 바실렙스키, 페이지 401
  23. ^ 베르시닌, 페이지 162
  24. ^ 비셰프스키, 페이지 335, 337, 352
  25. ^ 콘코프, 페이지 150-151
  26. ^ 웃킨, 16장
  27. ^ 19장, 코쿠린과 페트로프는 1951년 2월 10일 MVD 법령 N155를 인용한다.
  28. ^ 솔제니친, v. 3 ch. 11.굴라크 군도에서 마슬레니코프라는 이름이 나온 것은 이번이 유일하다.
  29. ^ 수도플라토프, 12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