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르겐 렌
Jürgen Renn위르겐 렌(Jürgen Renn, 1956년 7월 11일 독일 무어스에서 출생)은 독일의 과학사학자로, 1994년부터 베를린의 막스 플랑크 과학사 연구소 소장이었다.
단편전기
렌은 베를린 자유대학과 로마 사피엔자 대학에서 물리학을 공부했다.1987년에 그는 박사학위를 받았다.베를린 공과대학의 수학물리학 D학번.[1]
1986년과 1992년 사이에 그는 보스턴 대학에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논문집"의 공동편집자로 일했다.1991년과 1996년 사이에 그는 베를린의 맥스 플랑크 인간개발연구소에서 피터 다메로우 "아르베이트스텔 알버트 아인슈타인"과 공동연출을 했다.
1993/94년 그는 텔아비브 대학과 ETH 취리히의 초빙 교수였다.렌은 1994년 설립 이후 베를린에 있는 막스플랑크 과학사연구소(MPIWG)의 소장으로 있다.렌 교수는 베를린 훔볼트대학과 베를린자유대학에서 과학사 명예교수직을 맡고 있다.1998년 이래로 그는 보스턴 대학의 철학과 물리학 부교수였다.국제과학사학회인 과학아카데미 레오폴디나 소속으로 베를린의 독일대학우수성취안 '토포이'[2]와 베를린의 안티케콜레그(Antike-Kolleg) 집행위원을 맡고 있다.[citation needed]
그의 저술로는 형성기 상대성 연도가 있다. 아인슈타인의 프린스턴 강의의 역사와 의미 (Hanoch Gutfreun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7) 및 상대성으로의 길: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의 기초'의 역사와 의미, 아인슈타인의 걸작 원고를 담은 (하노크 굿프룬드, 프린스턴대 출판사, 2017년), 아인슈타인에 대한 아인슈타인: 자전적·과학적 성찰 (Hanoch Gutfreund, 프린스턴 대학 출판부, 2020년).[3][4][5]
학자 활동
연구 및 연구 분야
렌의 연구 프로젝트는 세계화의 과정을 고려하면서 지식의 장기적인 발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그의 연구 프로젝트는 고대부터 20세기까지 역학의 역사적 발전을 다루었다.렌은 이와 같은 맥락에서 근대 초기의 중국 역학의 기원과 고대 지식의 변형, 유럽과 중국 간의 지식 교류 등에 대해서도 조사한다.렌의 연구의 주요 초점은 현대 물리학의 역사로서, 일반 상대성 이론의 기원과 발전, 특히 양자 이론의 기원과 발전을 조사한다.렌은 지식과 과학의 역사와 관련하여 인류세안에 대해 글을 썼다.
디지털화 및 개방형 액세스
월드 와이드 웹의 등장 이후 렌은 역사적 자료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을 주장해 왔다.[6]1992년 그는 피터 다메로, 파올로 갈루찌와 함께 온라인에서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갈릴레오-아인슈타인 전자 자료실"을 만드는 이니셔티브를 시작했다.그는 이후 유럽 공동체의 지원을 받아 ECO-Initiative(유럽 문화유산 온라인)를 설립해 온라인에서 역사 출처 연구를 추진했다.[7]렌은 '과학과 인문학의[8] 열린 지식 접근에 관한 베를린 선언'의 발기인 중 한 명으로, 맥스 플랑크 협회의 다른 동료들과 함께 출판 플랫폼인 '에디션 오픈 액세스[9]'를 출범시켰다.
전시회
렌은 과학, 기술, 문화사 분야에서 여러 차례 전시회를 기획했다.그는 다음과 같은 여러 전시회를 공동 기획했다.
- 2005: 알버트 아인슈타인 – 2005년 세계 물리학의 해 과정에 있는 우주의 수석 엔지니어, 크론프린젠팔레(베를린)[10]
- 2008: Max-Planck – Revolutionér willen, 독일 기술 박물관(Berlin)[11]
- 2010: Weltwissen – 300 Jahre Wissenschaften, Martin-Gropius-Bau(베를린)[12]
- 2013년: 아르키메데스. 예술과 발명 과학, 카피톨린 박물관 (로미)[13]
수상 및 펠로우십
- 1988: 베를린 프리츠 티센 스티프퉁의 동료
- 1988: 동료, 콘실리오 나치오날레 델레 리커슈, 로마
- 1988-1989: 펠로우, 베를린 고등 연구 연구소
- 1992: Forschungsschwerpunkt "Wissenschaftschicte und Wissenschaftstheori" der Gesellschaft für Wissenschaftliche Neuvorhaben der Max Planck Society 베를린의 방문 학자
- 1998: 피렐리 인터네셔널 상
- 2011년: 프리미오 아나실라오스 인터내셔널[14]
- 2014년: 프레미오 인테르나치오날레 "마르코 & 알베르토 이폴리토", 세지오네 컬투라[15]
- 2014년: 프랜시스-바콘-아워드[16]
- 2014년: 막스 플랑크 코뮈니타스상[17]
- 2014년: 뉴엔슈완더상[18]
- 2018년: 커미티노 메달
선택한 게시물
책들
- 상대성을 향한 길: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기반"의 역사와 의미. 프린스턴: 프린스턴 대학 출판부, 2015년 (하노크 구트프룬트와 함께).
- 상대성: 특수 이론과 일반 이론, 100주년 판.프린스턴: 프린스턴 대학 출판부, 2015년 (하노크 구트프룬드 포함)
- Wissensgeschichte der Architektur.제1권: 네오리스티쿰 bis zum Alten Orient; 제2권: 알텐 이집트인 bis zum Antiken Rom; 제3권: Bom Mittelalter bis frühen Neuzeit.연구 3, 4, 5: 지식의 역사와 발전에 관한 맥스 플랑크 연구 도서관.베를린, 에디션 오픈 액세스, 2014년 (빌헬름 오스테스, 헤르만 슐림메와 함께).
- 평형 논쟁. 구이도발도 델 몬테의 요르단우스와 베네데티의 역학과 그들의 역사적, 개념적 배경에 대한 비판적 메모.베를린:Edition Open Access, 2012년(Peter Damerow 포함)
- 역사 지식의 세계화.베를린:Edition Open Access, 2012
- 볼츠만과 다스 엔데 기계리스천 웰빌데스(Wiener Vorlesungen, 밴드 130).Wien: Picus Verlag, 2007.
- 일반상대성이론의 창세기, 4권 (과학철학에서의 보스턴 연구, 250권): 1권과 2권 (아인슈타인의 취리히 노트북), 3권 (역학, 필드 이론, 천문학 사이의 고전물리학의 황혼에서의 중력), 4권 (고전물리학의 황혼에서의 중력 - 수학의 약속.도드레흐트: 스프링거, 2007.
- 과학의 역사를 배치한다. (과학철학의 보스턴 연구, 제248권).도드레흐트: 스프링거, 2007년 (코스타스 가브로글루와 함께)
- 알버트 아인슈타인 – 인제너 드 유니버섬.3볼트.베를린:와일리-VCH, 2006년
- Auf den Schultern von Riesen und Zwergen: Einsteins unvolendete revollation. Einsteins베를린:와일리-VCH, 2006년
기사 및 책장
- 센타우루스 57(1)의 "과학사에서 지식의 역사까지 – 그리고 뒤로," 2015: 35–53.
- "아인슈타인의 코페르니쿠스 혁명"은 미쉘 얀센과 크리스토프 레너(38-71사진)가 편집한 '아인슈타인의 코페르니쿠스 혁명'이다.뉴욕: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2014년 (로버트 라이나시위츠와 함께)
- Rechtsgeschichte/Law History 2014(22):52–60의 "역사 지식의 세계화와 그 규범적 과제"
- "Endersion 이상:마이클 스톨츠와 옌춘 첸이 9-28로 편집한 Internationalitte와 Interdisziplinaritte der Editionswissenschaft의 "디지털 시대의 역사적 출처".편집오 / 베이허프테 38.베를린:드 그루이터, 2014년
- 그레인 증기 레이에서 "쓰기와 농사의 기원에 대해 쿠심으로부터 배운다." Katrin Klingan, Ashkan Sepahvand, Christoph Rosol und Bernd M에 의해 편집된 인류세 질감.241–259.케임브리지: MIT 프레스, 2015.
- 볼프강 L이 편집한 에르윈 슈뢰딩거 - 50년 후에서 "슈뢰딩거와 웨이브 역학의 창세기"야콥 옌바손 9-36을 반복한다취리히: 유럽 수학 협회, 2013.
- 제드 Z가 편집한 옥스포드 물리학 역사 핸드북의 "통계 역학의 출현"Buchwald und Robert Fox, 765–788.옥스퍼드: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2013년 (올리비에 다리골과 함께).
- 게오르크 투페르와 하르트무트 뵈메가 편집한 트랜스포메이션엔 반키커 위센샤프텐의 "고대역학의 기계론적 세계관.베를린의 Transformen der Antike:드 그루터, 2010년 (피터 다메로우와 함께)
참조
- ^ 양자장 이론과 고전통계 역학의 대규모 사인-고든 방정식, 일부 엄격한 결과
- ^ "Renn, Jürgen Topoi".
- ^ Hanoch Gutfreund, Jürgen Renn (2017). The Formative Years of Relativity: The History and Meaning of Einstein's Princeton Lectur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17463-1. Retrieved 2020-01-21.
- ^ Hanoch Gutfreund, Jürgen Renn (2017). The Road to Relativity: The History and Meaning of Einstein's "The Foundation of General Relativity", Featuring the Original Manuscript of Einstein's Masterpie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17581-2. Retrieved 2020-01-21.
- ^ Jürgen Renn, Hanoch Gutfreund (2020). Einstein on Einstein: Autobiographical and Scientific Reflections.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18360-2. Retrieved 2020-01-21.
- ^ https://www.mpiwg-berlin.mpg.de/en/research/projects/DEPT1_10_20Buettner-OpenAccess과 요약: 위르겐 렌, M이 편집한 Internationalitte와 Interdisziplinaritt der Editionswissenschaft의 "Beyond editions: 디지털 시대의 역사적 출처".스톨츠, & Y.C.첸, 베를린:드 그루이터 2014, 페이지 9-28.
- ^ https://www.mpiwg-berlin.mpg.de/en/research/projects/DEPT1_10_13Rieger-ECHO
- ^ "Archived copy"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1-05-12. Retrieved 2011-08-02.
{{cite web}}
: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 ^ "Edition Open Access".
- ^ "Albert Einstein – Ingenieur des Universums".
- ^ "Technikmuseum würdigt Max Planck". 2008-04-26.
- ^ "Katalog – 300 Jahre Wissenschaften in Berlin".
- ^ "Archimede. Arte e scienza dell'invenzione Musei Capitolini".
- ^ 클라우디아 타미로, 일렉티디아노 (13.11.11)의 "아나실라오스, 컬투라 데스포르타지오네" http://www.mpiwg-berlin.mpg.de/Presse-PDF/2011-11-13_IlQuotidianoAnassilaos.pdf
- ^ "Archived copy"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6-03-05. Retrieved 2015-06-18.
{{cite web}}
: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9-09. Retrieved 2015-06-18.
{{cite web}}
: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 ^ "Max-Planck-Communitas-Preis".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9-11. Retrieved 2015-06-18.
{{cite web}}
: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외부 링크
- 독일 국립도서관 카탈로그의 위르겐 렌에 관한 문헌
- 위르겐 렌의 MPIWG 웹사이트
- PubMan의 포괄적인 출판 목록
- MPIWG의 위르겐 렌 연구 프로젝트
- 에디션 오픈 액세스
- ECO – 온라인 문화재
- 가상 전시회 알버트 아인슈타인 – 우주의 최고 엔지니어
- 운동과 역학에 대한 갈릴레오의 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