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랄 알-에-아흐마드

Jalal Al-e-Ahmad
잘랄 알-에-아흐마드
جلال آلاحمد
Jalal Al-e-Ahmad05 (1).jpg
태어난(1923-12-02)2 1923년 12월
죽은1969년 9월 9일 (1969-09-09) (45세)
아살렘, 이란
국적이란의
직업작가, 사회, 정치 평론가
정당
배우자시민 다네시바 (1998년, 그의 죽음)
서명
Jalal-e Al-e-Ahmad signature.png

세이예드 잘랄 알바-에-아흐마드(페르시아어: جلالل آلل;;; 1923년 12월 2일 ~ 1969년 9월 9일)는 이란의 저명한 소설가, 단편작가, 번역가, 철학자,[1] 사회정치학자[2], 또한 "현대 이란 민족학자 중 가장 초창기적이고 가장 뛰어난 사람"이었다.[3]그는 영어로 다양하게 번역된 가르브자데기(gharbzadegi)라는 용어를 "서구",[4] "서구화", "오시덴토시스"로 대중화하여 "프란츠 파논마르크스의 강한 주제를 결합한" 서양에 대한 총체적인 이념적 비평을 이끌어냈다.[5]

사생활

잘랄 테헤란에서, 특정 종교를 믿는 가정에 – 그의 아버지가 성직자 –"Aurazan의 Taliqan 지역 북부 이란에서 Mazandaran 땅에서 그 마을은 원래 하고, 시간의 잘랄 거기에 가, 적극적으로 마을 사람들의 복지에 챙기는 자신이 그의 인류학적 논문의 첫번째 행사였다" 태어났다.[6]그는 마흐무드 탈가니의 사촌이었다.[7]초등학교 이후 알-에-아흐마드는 테헤란 바자회에서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파견되었지만, 마르비 마드레세에게도 종교 교육을 받으러 다녔고, 아버지의 허락 없이 다르울-포눈에서 야간수업도 했다.그는 1944년에 나자프 신학교에 다녔지만 매우 빨리 집으로 돌아왔다.[8]그는 "아흐마드 카스라비의 연설과 말에 익숙해졌다"면서 "망토와 아바 모양의 올가미"라고 표현하며 아버지와 형이 취하기를 바랐던 성직자들에게 헌신할 수 없었다.[9]그는 1967년 세상을 떠난 뒤 출간된 자전적 스케치에서 자신의 가족을 종교적인 가족으로 묘사하고 있다.[10]

1946년 그는 테헤란 교사[11] 대학에서 페르시아 문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교사가 되었으며, 동시에 "완전히 자신의 자원으로" 남겨둔 그의 종교적인 가족과 첨예한 결별을 했다.[12]그는 학문적 연구를 더 추구했고 테헤란 대학에서 페르시아 문학 박사 과정에 등록했지만 1951년 자신의 논문을 옹호하기 전에 그만두었다.[13]1950년 페르시아의 유명한 소설가 시민 다네슈바르와 결혼하였다.잘랄과 시민은 불임이었으며, 잘랄의 일부 작품에 반영된 화제였다.

그는 이란 북부의 시골 지역인 아살렘에서 거의 전적으로 혼자 지은 오두막집 안에서 사망했다.는 이란 레이의 피루자바디 모스크에 묻혔다.[14]커먼스와 그의 아내 시민은 그가 사바크에게 독살당했다고 믿는다.[15][16]

2010년 테헤란 문화재 관광 수공예부는 잘랄 알-에 아흐마드와 그의 형 샴스가 모두 태어나 살았던 집을 구입했다.[17]

정치생활

가르브자데기: "웨스트옥시화"

우리는 그 기계와 그것의 숙명적인 맹공 앞에서 우리 자신의 역사적 문화적 특성을 보존할 수 없었다.오히려 우리는 패배했다.우리는 이 현대 괴물의 면전에서 고려된 입장을 취할 수 없었다.우리가 서양 문명의 진정한 본질, 근간, 철학을 이해하지 못하는 한, 오직 서양만을 겉으로 그리고 형식적으로(그 기계를 소비함으로써) 유인하는 한, 우리는 사자의 껍질 속에서 돌아다니는 엉덩이와 같을 것이다.우리는 그가 어떻게 되었는지 안다.비록 그 기계를 만든 사람이 지금 그것이 자신을 억누르고 있다고 외치지만, 우리는 기계 입찰자의 겉모습을 가정할 때 그것을 거절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것에 자부심을 느낀다.200년 동안 우리는 파르트리지(항상 서양은 파르트리지이고 우리는 까마귀라고 가정한다)를 흉내내는 까마귀와 닮아왔다.우리가 소비자로 남아 있는 한, 기계를 만들지 않은 한, 우리는 신비주의자로 남아있다.우리의 딜레마는 일단 기계를 만들고 나면 기술과 기계가 통제할 수 없게 된 방식에 울부짖으며 서양처럼 기계적인 존재가 될 것이라는 점이다.

Jalal Al-e Ahmad, Occidentosis: A Plague From the West, Mizan Press (1984), p. 31

알-이-아흐마드는 아마 아흐마드 파르디드에 의해 원래 만들어졌으며 영어로 서경, 서경화, 후두증으로 다양하게 번역된 가르브자데기라는 용어를 서경화, 서경화, 후두화라는 같은 이름의 책에서 사용한 것으로 가장 유명하다. 서방으로부터의 전염병, 1962년 이란에서 알-이 아흐마드에 의해 자간되었다.알-이-아흐마드는 이 책에서 서구 문명의 함축적 의미에 의해 서구 기술에 대한 신랄한 비평이 전개되었다.stitution)을 전개했다.그는 카펫 포장 등 이란 전통 산업의 쇠퇴가 서구 '동양에 대한 경제적, 실존적 승리'의 시작이라고 주장했다.[4]그의 서구 기술과 기계화에 대한 비판은 아흐마드 파르디드를 통해 하이데거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장 폴 사르트르를 또 하나의 반론적인 철학적 영향력으로 여겼다.[18]또한 에른스트 귄거도 있었는데, 그는 잘랄이 그의 유명한 책의 계보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말하고, 그는 계속해서 말한다. "정거와 나는 둘 다 같은 주제를 탐구하고 있었지만, 두 가지 관점에서 탐구하고 있었다.우리는 같은 질문을 하고 있었지만, 두 개의 언어로 이야기를 하고 말했다.[19]에세이의 12장 내내, 알-에 아흐마드는 가르베자데기를 전염병으로 정의하고, 초기 증상과 세부사항을 열거하고, 지역 환자를 진단하고, 다른 지역의 환자들에게 예후를 제공하며, 다소 흐릿한 해독제를 제안하기 위해 다른 전문의들과 상의한다.[20]

그의 메시지는 아야톨라 호메이니가 1971년 쓴 글에서 받아들여졌다.

"제국주의의 독한 문화는 이슬람 세계 전역의 마을과 마을 깊숙한 곳까지 침투하여 쿠란의 문화를 대체하고, 외국인과 제국주의자들의 봉사에 우리 청년들을 대거 동원하고 있다.."[21]

그리고 1979년 이란혁명의 이념의 일부가 되어 산업의 국유화, 소련과 서방세계로부터 모든 생활영역에서 독립, 경제학의 '자족'을 강조했다.그는 또한 아흐마디네자드의 주요 영향 중 하나였다.[22]

진위 담론

알리 미르세파시는 잘랄이 샤리아티와 함께 진정성의 담론에 관심을 갖고 있다고 믿는다.미르세파시에 따르면 잘랄은 서부 패권국에 대한 비판을 확대했다.그 비평은 서독화의 개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알 아하마드는 그 개념으로 세속적인 지식인을 공격한다.그는 지식인들이 실제로 이란의 현대성을 효과적으로 건설할 수 없었다고 믿는다.이 자리에서 그는 진정한 이슬람 문화로의 회귀라는 개념을 동시에 내세웠다.잘랄은 현대의 균질화와 소외를 피하는 것이 이슬람 문화의 뿌리로 돌아갈 필요가 있다고 믿었다.물론 잘랄의 담론은 정치적으로 몇 가지 복잡했다.사실, 알 아흐마드는 이란-이슬람 전통으로 현대성을 재구상하고 싶었다.[23]

정치활동주의

알-이-아흐마드는 제2차 세계대전 직후 그의 스승 칼릴 말레키와 함께 공산당 투데 당에 가입했다.이들은 "당으로서는 너무 독립적"이라며 민주주의가 결여돼 있고, 이란 아제르바이잔 점령과 석유 양보를 요구하는 소련의 요구에 대한 "가짜 친소련 지지"에 반발해 사임했다.이들은 1948년 1월 이란 대중사회당(Social Society of the American Mass)을 결성했으나 며칠 뒤 라디오 모스크바가 '세계에서 가장 진보적이라고 여기는 국가'에 공개적으로 반대하려 하지 않고 이를 공격하자 이를 해산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알-이-아흐마드와 말레키의 반대는 "지적 삶을 둘러싼 당의 근접한 패권주의의 종말"[24]을 의미했다.

이후 그는 국민전선의 구성요소 정당 중 하나인 친모사데그 토일러스 정당을 설립하는 것을 도왔고, 그 후 1952년에 제3세력이라 불리는 신당을 창당하였다.1953년 이란의 쿠데타 이후, 그는 몇 년 동안 투옥되었고 "당정치에 대한 믿음이 완전히 상실되어" 이란 신문에 게재된 회개서에 "제3군에서 전역했고, ...정치를 완전히 포기했다"[25]고 선언할 정도로, 그는 이란 신문에 게재된 회개서에 서명했다.그러나 그는 제3군 정치 집단의 일원으로 남아 회의에 참석했으며, 1969년 그들이 사망할 때까지 칼릴 말레키의 정치 지도자를 계속 따랐다.1963년, 2주 동안 이스라엘을 방문했고, 그의 여행에 대한 설명에 따르면, 그가 이스라엘에서 발견한 종교인과 세속주의자들의 융합이 이란 국가에 잠재적인 모델을 제공했다고 한다.[26]알-이-아흐마드는 세속적인 제3군 단체와의 관계에도 불구하고 특히 1963년 아야톨라 호메이니가 부상한 이후 이란 정치의 변혁에 있어 종교적 리더십의 필요성에 대해 더욱 공감하게 되었다.[27]

문학생활

알-이-아흐마드는 산문체로 구어체를 사용했다.그런 의미에서 그는 모하마드-알리 자말자데와 같은 전위파 페르시아 소설가들의 추종자다.그의 작품(노벨, 수필, 여행기, 민족학 단문)의 주제가 대개 문화, 사회, 정치 문제인 만큼 상징적 표현과 빈정거리는 표현은 그의 책의 규칙적인 패턴이다.그가 쓴 글의 뚜렷한 특징은 정치, 사회, 종교 세력의 가능한 반응에 관계없이 주제에 대한 그의 솔직한 심사다.

리처드 넬슨 프리의 초청으로 알-이-아흐마드는 헨리 키신저가 이란의 유망한 지식인들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한 '명문 방문 펠로우십'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하버드 대학교에서 여름을 보냈다.[28]

알-이-아흐마드는 니마 유시즈(현대 페르시아 시의 아버지)를 엄격하게 지지했고 니마의 혁명적 양식을 수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짧지만 다작의 경력"에서, 그의 저술은 "35권 이상을 채울 수 있다."[29]

소설과 중편

  • 학교장
  • 바이 더 펜
  • 벌집 이야기
  • 땅의 저주
  • 무덤 위의 돌

위 목록의 첫 두 권을 포함한 그의 소설들 중 많은 부분이 영어로 번역되었다.

단편 소설

  • "세타"
  • "우리의 고통에서"
  • "다른 사람의 아이"
  • "핑크 네일 폴리쉬"
  • "중국 화분"
  • "소인"
  • "보물"
  • "순례자"
  • "신"

비평논술

  • "7편의 에세이"
  • "수사를 서두르다"
  • "서방에 의해 결속" (가르바데기)

모노그래프스

잘랄은 이란에서 멀리 떨어진 가난한 지역으로 여행을 가서 그들의 생활, 문화, 문제를 기록하려고 노력했다.이러한 모노그래프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여행기

번역

잘랄 알-에 아흐마드 문학상

잘랄 알-에 아흐마드 문학상은 2008년부터 매년 수여되는 이란 문학상이다.매년 페르시아의 저명한 작가인 잘랄 알-에 아흐마드의 생일에 이란 최고의 작가들에게 상이 수여된다.최고 수상자는 110 바하르 아자디 금화(약 3만3000달러)를 받아 이란에서 가장 수익성이 좋은 문학상이 된다.[31]어떤 해에는 최고의 승자가 없다. 다른 유명인들은 25개의 금화를 받는다.'노벨', '단편소설', '문학평론', '역사·문서화'[32] 등이 범주에 속한다.이 상은 2005년 최고문화혁명위원회가 확정했으며, 2008년 첫 상이 수여됐다.[32]

참고 항목

참조

  1. ^ 세나 카라시파히, 현대 터키의 이슬람교도: 케말리즘, 모더니즘, 이슬람 지식인의 반란, I.B.타우리스(2008), 페이지 177
  2. ^ 윌리엄 O. 비만, 위대한 사탄미친 물라: 미국과 이란이 서로를 악마화하는 방법, 시카고 대학 출판부(2008), 페이지 181
  3. ^ 네마톨라 파젤리, "이란 문화의 정치", 루틀리지(2006), 페이지 114
  4. ^ a b 브룸버그, 호메이니 재창조: 이란의 개혁을 위한 투쟁, 2001년 시카고 대학 출판부, 페이지 65
  5. ^ 에모리 C.보글, 이슬람교: 오리진 믿음, 텍사스 프레스 대학(1998), 페이지 124
  6. ^ 하미드 알가르, 잘랄 알-에 아흐마드의 "소개서": 서부발 전염병, 미잔 프레스 (1984), 페이지 31
  7. ^ 8 September 2016. "All written relics of Jalal / the author who is not tired of writing". Tasnim. Retrieved 20 September 2016.
  8. ^ Ali Rahnema (3 March 2016). Shi'i Reformation in Iran: The Life and Theology of Shari'at Sangelaji. Routledge. p. 54. ISBN 9781317055334.
  9. ^ 모타헤데, 로이, 예언자의 맨틀: 이란의 종교와 정치, 원 월드, 옥스포드, 1985, 2000, p.288
  10. ^ J. W. Clinton. "ĀL-E AḤMAD, JALĀL". Encyclopædia Iranica. Retrieved 11 September 2016.
  11. ^ 보루헤르디, 메흐르자드.이란 지식인과 서양:고통스러운 민족주의의 승리. 1996. 페이지 187
  12. ^ 모타헤데, 로이, 예언자의 맨틀: 이란의 종교와 정치, 원 월드, 옥스포드, 1985, 2000, p.289
  13. ^ 보루헤르디, 메흐르자드.이란 지식인과 서양:고통스러운 민족주의의 승리. 1996. 페이지 65
  14. ^ "Photograph of Jalal Al-e-Ahmad's grave". Mehr News Agency. December 9, 2010.
  15. ^ a b "Jalal Al Ahmad". Iran Chamber society. Retrieved 22 September 2016.
  16. ^ Iraj Bashiri. "Al-i Ahmad, Jalal". angelfire. Retrieved 22 September 2016.
  17. ^ I-e Ahmad patrimony in Tehran, 2012년 10월 13일 웨이백 머신에서 보관된 것을 획득
  18. ^ 메흐르자드 보루헤르디, 이란 지식인과 서방: 시러큐스 대학 출판부(1996), 페이지 68-69
  19. ^ 잘랄 알-에 아흐마드, 서양식: 서부발 전염병, 미잔 프레스 (1984), 페이지 25
  20. ^ Hendelman-Baavur, Liora, "잘랄 알-아흐마드의 가르브자데기의 오디세이 - 5년 후" 페르시아어, 문학문화: New Leaves, Fresh Looks (London and NY: Routrege, 2015), 페이지 258-286.ISBN 9781138826212
  21. ^ "순례자들에게 보내는 메시지"(나하프에 망명 중인 호메이니에서 사우디아라비아 하지에 있는 이란 순례자들에게 보내는 메시지)1971년 2월 6일, 이슬람과 혁명: 이맘 호메이니의 글과 선언, (1981), 페이지 195
  22. ^ 에이비데 메이빌, J. 해롤드 엘렌스(ed.), 승리 혁명: 자유, 공정, 권리를 위한 리볼트의 심리사회 역학 [3권], ABC-CLIO(2013), 페이지 311
  23. ^ Ali Mirsepasi (2000). intellectual discourse and the politics of modernization. Cambridge University. p. 96. ISBN 0521650003.
  24. ^ 모타헤데, 로이, 예언자의 맨틀: 이란의 종교와 정치, 원 월드, 옥스포드, 1985, 2000, p.290
  25. ^ 모타헤데, 로이, 예언자의 맨틀: 이란의 종교와 정치, 원 월드, 옥스포드, 1985, 2000, 페이지 291
  26. ^ 아담 샤츠, '이스라엘의 푸틴화' 런던 리뷰 제38권 제4·18권 2016년 2월 11-12쪽
  27. ^ "Homa Katouzian on Khalil Maleki Part 2: Debunking Conspiracy Theory - Tehran Bureau". PBS. 2012-04-16. Retrieved 2013-09-26.
  28. ^ Frye, Richard Nelson (2005). Greater Iran: A 20th-century Odyssey. University of Michigan. p. 103. ISBN 9781568592893.
  29. ^ Stephanie Cronin 박사, Reformers and Reformers and Revolutionarys in Modern 이란: 이란의 좌파에 대한 새로운 시각, 루트리지(2013), 페이지 269
  30. ^ Al-e Ahmad, Jalal. "The Israeli Republic". Restless Book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01-09.
  31. ^ "전쟁의 길" 저자는 수익성이 좋은 잘랄 상에 대해 놀라지 않았다." 2011년 11월 20일 테헤란 타임즈 웨이백머신에 2011년 11월 27일 기록.
  32. ^ a b "제4회 잘랄 알-에 아흐마드 상" 이란 라디오 문화, IRIB 월드 서비스, 2011년 8월 17일 웨이백 머신에서 2012-04-07년 아카이브된 작품 5000여 점이 경쟁하고 있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