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F. 파울크스

J. F. Foulkes
J.F. 파울크스
1913 Canadian Davis Cup Team.jpg
캐나다의 1913년 데이비스 컵 팀; J. F.파울크는 오른쪽에 있다.
풀네임존 포티스큐 파울크스
나라(스포츠)캐나다
태어난1872년 7월 10일
미들섹스(현 런던), 영국
죽은1948년 6월 22일 (1948-06-22) (75)
캐나다
싱글스
그랜드 슬램 단식 경기 결과
윔블던3R (1908)
기타 대회
올림픽 경기3R (1908)
단체전
데이비스컵F(1913)

존 포테스큐 'J.F.' 파울크스 DSO(1872년 7월 10일 ~ 1948년 6월 22일)는 캡틴 파울크스로도 알려진 캐나다 테니스의 초기 스타였다.[1]파울키스는 오늘날 로저스컵으로 알려진 캐나다 전국 챔피언쉽의 세 번 우승자였을지도 모른다.그는 데이비스컵 결승에 오른 유일한 캐나다 팀의 멤버였다.[2]

어린 시절과 가족

파울키스는 영국 미들섹스에서 태어났으며, 6명의 아이들 중 둘째로 Rev에게 태어났다.아우구스티누스 렘프리 파울크스, 프란체스카 포르스터( 고드프리).크리켓 선수였던 그의 아버지는 옥스퍼드 퀸스 칼리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스테벤톤의 대리인이었습니다.[3]그에게는 세 형제(고드프리, 루이, 레너드)와 두 자매(프란스카와 캐서린)가 있었다.

1899년 12월 2일 그는 마가렛 메이 토마스 (1879년 7월 1일 출생)와 결혼하였고, 그들은 포테스큐 렘프리 파울크스 (1900년 9월 28일 출생)와 프란체스카 메이 파울크스 (1902년 12월 3일 출생)라는 두 자녀를 두었다.[4]

테니스 커리어

그는 1891년 10대 때 캐나다로 이주했고, 빠르게 토너먼트에서 우승하기 시작했다.빅토리아 잔디 테니스 클럽의 회원인 파울키스는 1907년, 1909년, 1910년 단식 경기에서 캐나다 전국 우승을 차지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적어도 한 소식통은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5]그의 1907년 우승은 미국 선수의 13연승 기록을 깨며 18년 만에 캐나다 선수로는 두 번째에 불과했다.파울키스가 우승을 차지했다고 주장하는 소식통은 그가 1907년과 1908년에 다시 준우승을 차지했다고 주장했다.

1908년 하계 올림픽 남자 단식복식 종목에 출전하였다.[6]

동료 빅토리아 원주민인 B. P. 슈벤저스, R. B. 파월, 빅토리아에 본사를 둔 헨리 메이스와 함께 파울크는 이 나라의 첫 번째 시도에서 1913년 데이비스 컵 결승에 올랐다. (4명의 선수 모두 빅토리아 LTC 멤버였다.)[7]6월 윔블던 대회 전체 출전으로파웰과 슈완저스가 매 경기 출전하는 7월 신생 캐나다인들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을 4대 1로 누르고 벨기에를 4대 0으로 꺾고 결승에 올랐다.하지만 결승전에서 그들은 그들이 겨룬 세 경기 세트에서 각각 패배한 미국인들 때문에 압도당했다.

파울크스 역시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출신으로 퍼시픽 노스웨스트 5회 우승자, 워싱턴 주 2회 우승자였다.1914년 USTA 퍼시픽 노스웨스트에서 싱글 1위에 올랐다.[8]

파울키스는 1913년 데이비스 컵 팀의 일원으로 대 빅토리아 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선출되었다.2008년 USTA 퍼시픽 노스웨스트 테니스 명예의 전당에 당선되기도 했다.[2][9]

파울크스 선장

파울키스는 보어 전쟁 당시 캐나다 육군에서 복무하며 4개의 클라스로 퀸즈 메달을 획득했다.그때부터 그는 종종 "캡틴" 파울크스라고 불렸다.[10][11][12]제1차 세계 대전 때 캐나다 봉사단 제4차 캐나다 사단에서 다시 복무했다.[2]그는 프랑스로부터 농공훈장을 수여받았으며 1917년과 1918년에 세 차례나 파견에 언급되었다.[13]전쟁 이후인 1919년 새해 영예에서는 공로훈장을 받았다.[14]

그의 아내의 여동생은 시인 로즈마리 토마스였다.그녀의 시집, 즉흥 태양(1951년)에는 '대령'이라는 제목의 파울크스에 관한 시가 포함되어 있다.[15]

참조

  1. ^ "J. F. Foulkes". Olympedia. Retrieved 12 April 2021.
  2. ^ a b c "John Fortescue Foulkes". Tennis Archives.
  3. ^ Holland, Arthur William (1904). Oxford & Cambridge Yearbook. S. Sonnenschein & Company, Limited. p. 216. Retrieved 19 June 2017.
  4. ^ "Margaret May Thomas 1879-1967". Ancestry.ca. Retrieved 1 October 2020.
  5.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July 2011. Retrieved 26 September 2009.{{cite web}}: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6. ^ "J. F. Foulkes Olympic Results". sports-referenc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February 2014. Retrieved 31 January 2014.
  7.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January 2010. Retrieved 17 August 2010.{{cite web}}: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8. ^ 명예의 전당 및 역사관 - USTA 퍼시픽 노스웨스트
  9. ^ "USTA PNW Hall of Fame Inductees". USTA. 17 May 2017.
  10. ^ Lefroy, W. (1908). Canada: An Illustrated Weekly Journal for All Interested in the Dominion. p. 5. Retrieved 19 June 2017.
  11. ^ Wright & Ditson's Lawn Tennis Guide. 1914. p. 190. Retrieved 19 June 2017.
  12. ^ Wright & Ditson Officially Adopted Lawn Tennis Guide. Wright & Ditson. 1911. p. 179. Retrieved 19 June 2017.
  13. ^ Quarterly Army List for the Quarter Ending 31st December, 1919 - Volume 4. Andrews UK Limited. 2012. p. 1960. ISBN 9781781502990. Retrieved 19 June 2017.
  14. ^ "No. 31092".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31 December 1918. p. 21.
  15. ^ Thomas, Rosemary (1951). Immediate Sun. New York: Twayne Publishers, Inc. p. 4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