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하트필드
James Heartfield제임스 하트필드(James Heartfield, 1961년 리즈 출생)는 영국의 역사가 겸 강사다.[1]
인생
하트필드는 대영제국의 역사를 다룬 저서로는 『영·외국 노예제도 반대회』(2016), 『피 묻은 양귀비: 기념정치 비판』(2019) 등을 다수 집필했다. 그의 박사학위 논문(웨스터민스터대 교수)은 2013년 '유럽연합과 정치의 종말'로 출간됐다. Heartfield는 ArtReview, Blueprint, Spicked Online 및 Times Education Supplement를 위해 글을 썼다. 2006년 5월, 줄리아 스베틀리히나자와 함께 그는 러시아의 반체제 인사인 알렉산더 리트비넨코와 인터뷰했다.[2]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에서 하트필드는 가이즈 병원과 세인트 토마스 병원에서 백신 접종자로 일했다.[3]
정치
그는 지식경제에 대한 환상에 대해 말하고 쓰면서 창조산업에 대한 정부 정책에 비판적이었으며, 1998년 '영국 브랜드 리브랜딩' 컨퍼런스에서 연설하며 창조산업에 대한 현실적 평가를 위한 캠페인을 벌이며 '디자인 어젠다' 그룹에 적극적이었다.[4] 닉 벨은 하트필드를 "디자인에 관한 가장 중요한 해설자 중 한 명"으로 선정했다.[5] 하트필드는 1980년대 혁명공산당의 당원이었습니다.[6] 2002년에 그는 더 많은 집을 짓기 위한 대담성 캠페인을 준비하는 것을 도왔다.[7] 하트필드는 영국 요크셔와 험버의 2019년 유럽의회 선거에서 브렉시트당 후보로 나섰지만 의석을 얻지 못했다.[8]
사생활
그는 런던 북부에 살고 있으며 두 딸을 두고 있다.[9]
출판물
- 피 묻은 양귀비: 런던, 제0권, 2019년 기념 정치 비판
- 기회균등 혁명 런던, 리피터 북스, 2017
- 영국 및 외국 노예제도 반대 협회 런던 허스트 북스/옥스포드 대학 출판부, 2016[10]
- 부활절의 부활절을 두려워하는 사람은? (케빈 루니와 함께), 런던 제0호, 북스, 2015
- 유럽 연합과 정치의 종말 런던, Zer0 북스, 2013[11]
- 영국 노동자 & 미국 남북전쟁 런던, 2013년[12] 역성찰
- 제0차 세계대전의 비애국사, 제0권, 2012년[13]
- 원주민 보호 협회: 인도주의 제국주의 호주, 뉴질랜드, 피지, 캐나다, 남아프리카, 콩고, 1836-1909 허스트(런던), 컬럼비아 대학 출판부(뉴욕), 2011년[14]
- 녹색자본주의: 풍요로운 시대의 제조업 희소성 오픈뮤트, 2008[15]
- 건설합시다! 향후 10년간 500만 가구가 필요한 이유(오디오시티, 2006년)
- 2006년 NESTA의 Chris Powell과 함께 Creative Ghetto 탈출
- 창의성 갭 청사진, 2005
- "주제의 죽음"은 셰필드 할람 대학 출판부, 2002년에[16] 설명되었다.
- 큰 기대: 2000년 런던 신경제 창조산업, 디자인 어젠다
- 쉐필드 할람 대학 출판부의 니즈와 욕구, 1998
- 2002년 존 와일리, 런던 이언 에이블리와 함께 반기계 시대 편집자의 건축을 지탱한다.
참조
- ^ Bickerton, Christopher; Cunliffe, Philip; Gourevitch, Alexander (December 2006). Contributors, James Heartfield, Bickerton et al (eds) Politics Without Sovereignty, 2005, p x. ISBN 9781134113866.
- ^ Svetlichnaja, Julia; Heartfield, James (2008). "The Russian Security Service's Ethnic Division and the Elimination of Moscow's Chechen Business Class in the 1990s". Critique. 36 (3): 385–402. doi:10.1080/03017600802434227. S2CID 144709404.
- ^ 역사는 우리에게 백신이 왜 자발적이어야 하는지 보여준다. Spiked-online.com, 2021년 5월 31일
- ^ 1998년 디자인 어젠다 컨퍼런스
- ^ 게르버와 루츠, 인플루언서, 2006년, 페이지 59.
- ^ 제임스 하트필드, 2008년 1월 25일 스파이크드 온라인 "아이덴티티의 폭정"
- ^ 2007년 10월 23일 대토론회
- ^ "EU parliamentary elections". www.leeds.gov.u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April 2019. Retrieved 9 June 2019.
- ^ 제임스 하트필드 홈페이지 2017년 9월 16일
- ^ 영국 및 외국 노예제도 반대 협회의 리뷰:
- 케이티 도닝턴, 역사: 역사학회지, doi:10.111/1468-229X.123
- 리처드 R. 폴렛, 역사: 신간 서평, doi:10.1080/03612759.2018.1412763
- 케빈 그랜트, 아프리카 역사 저널 doi:10.1017/S002185371800001068
- 리처드 후즈지, 빅토리아학, doi:10.2979/피해학생.59.4.23, JSTOR 10.2979/피해학생.59.4.23
- 라인하르트 쾰러, 페리페리, [1]
- 알렉스 미들턴, The English History Review, doi:10.1093/ehr/cey187
- J. R. Oldfield, Journal of British Studies, doi:10.1017/jbr.2017.221
- Dorothy V. Smith, Africa Today, doi:10.2979/아프리카의 날 63.4.10, JSTOR 10.2979/아프리카의 날 63.4.10
- ^ 유럽연합과 정치 종식 검토:
- Alexandru Dr,gulin, Ethnophilosophical Questions and Global Ethics, [2]
- ^ 영국 노동자와 미국 남북전쟁에 대한 검토:
- John Asimakopoulos, ProQuest 1349392042, 실행 이론
- ^ 제2차 세계대전의 비애국사 검토:
- ^ 원주민 보호협회의 리뷰:
- 사무엘 퍼피, 원주민 역사, JSTOR 24047001
- 수잔 하이넬리, 인권 리뷰, doi:10.1007/s12142-015-0380-4
- 더글러스 A. 로리머, 빅토리아학, doi:10.2979/피해학생.56.3.522, JSTOR 10.2979/피해학생.56.3.522
- Jane Samson, The Journal of Pacific History, doi:10.1080/00223344.2012.727219, JSTOR 41999451
- Caroline Shaw, Journal of Human Rights, doi:10.1080/14754835.2014.988785
- Rachel Standfield, H-Net Reviews, [4]
- ^ 녹색자본주의 검토:
- Nathan Coombs, 마르크스 & 철학 서평, [5]
- ^ "주제의 죽음"에 대한 검토 설명:
- 무니라 미르자 국제문화정책저널 doi:10.1080/102866309029715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