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미 맥크래클린

Jimmy McCracklin
지미 맥크래클린
 Jimmy McCracklin in 1981
1981년 지미 맥크래클린
배경 정보
출생명제임스 데이비드 워커 주니어
태어난(1921-08-13)1921년 8월 13일
미국 아칸소일레인
죽은2012년 12월 20일(2012-12-20) (91)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 파블로
장르웨스트 코스트 블루스
점프 블루스
R&B
깊은 영혼[1]
직업피아니스트, 보컬리스트, 작곡가
년 활동1945–2012
레이블글로브 레코드, 스윙 타임, 체커 레코드, 임페리얼, 피콕, 트릴론 레코드, 모던, 라운더, 클래식 레코드, 베어 패밀리, 에이스, 스탁스, 미니트, 하이 레코드

지미 맥크래클린의 예명으로 더 잘 알려진 제임스 데이비드 워커 주니어(James David Walker Jr. 1921년 8월 13일 ~ 2012년 12월 20일)는 미국의 피아니스트, 보컬, 작곡가였다. 그의 스타일은 웨스트 코스트 블루스, 점프 블루스, R&B를 포함하고 있었다.[2] 70년에 걸친 경력 동안, 그는 거의 천 곡의 곡을 썼고 수백 곡의 곡을 녹음했다고 말했다.[3] McCracklin은 30장 이상의 앨범을 녹음했고, 4개의 금메달을 땄다. 샌프란시스코 블루스 페스티벌의 톰 마졸리니는 그에 대해 "그는 아마도 2차 세계대전 이후 베이 아역에서 나온 음악가 중 가장 중요한 음악가였을 것"이라고 말했다.[4]

전기

맥크래클린은 1921년 8월 13일 제임스 데이비드 워커 주니어로 태어났다.[5] 소식통들은 그가 아칸소[4][5]일레인에서 태어났는지 아니면 세인트에서 태어났는지에 대해 의견이 다르다. 미주리 주, 루이스.[6] 1938년 미 해군에 입대해 이후 캘리포니아주 리치먼드에 정착한 뒤 처제 윌리 매 '그랜니' 존슨이 소유한 지역 클럽 사보이에서 뛰기 시작했다.[7] 룸 길이 바에는 맥주와 와인이 제공되었고, 그라니 존슨은 집에서 만든 야채, 갈비, 치킨, 그리고 다른 남부 요리들을 제공했다. 베이 어리어에 기반을 둔 음악가들로 구성된 하우스 밴드는 B. B. King, Charles Brown, L. C. Robinson과 같은 연주자들과 번갈아 가며 자주 후원했다. 이후 1963년에 그는 "클럽 사보이"라는 곡을 그의 "I Just Got Know" 앨범에 쓰고 녹음했다.

그는 1945년 글로브 레코드 데뷔 싱글, 1945년 "Miss Mattie Left Me"와 1946년 "Street Lopin' Woman"을 녹음했다.[8] McCracklin은 1949-1950년에 Modern Records에 가입하기 전에 LAOakland에서 많은 라벨을 위해 녹음했다. 1946년 기타리스트 로버트 켈튼과 함께 지미 맥크래클린과 그의 블루스 블래스터라는 그룹을 결성하였고, 이후 1960년대 초까지 이 그룹에 남아 있던 라파예트 토마스로 교체되었다.[9]

그의 인기는 1958년 체커 레코드가 발표한 자작곡 '더 워크'(1957년)[10]를 지지하기 위해 TV 딕 클라크의 아메리칸 밴드스탠드에 출연한 이후 증가했다. 10년 이상 맥크래클린이 일련의 작은 레이블로 흑인 커뮤니티에서 음반을 판매한 후 빌보드 R&B 차트 5위, 팝 차트 7위에 올랐다.[11] 그의 첫 솔로 앨범Jimmy McCracklin Sings는 1962년에 West Coast 블루스 스타일로 발매되었다. 1962년 맥크래클린은 오클랜드에서 자신의 아트톤 레이블로 "Just Got to Know"를 녹음했고, 이 음반은 R&B 차트에서 2위를 차지했다. 1970년대 초 짧은 기간 동안 McCracklin은 샌프란시스코에서 컨티넨탈 클럽을 운영했다. 그는 티본 워커, 이르마 토마스, 빅조 터너, 빅마마 쏜튼, 에타 제임스 등의 블루스 연기를 예약했다.[12] 1967년, 오티스 레딩과 칼라 토마스는 맥크래클린과 로웰 풀슨의 곡인 "트램프"로 성공을 거두었다. 솔트앤페파는 1987년 이 곡에서 힙합 히트를 쳤다. 오클랜드 블루스(1968년)는 맥크래클린이 편곡하고 연출한 앨범으로 월드퍼시픽이 제작했다. 캘리포니아의 록큰롤 "뿌리 음악" 밴드인 "더 블래스터"는 맥크래클린의 후원 밴드인 "더 블루스 블래스터"의 이름을 따서 그들 이름을 지었다. 블래스터의 리드 싱어 필 앨빈은 밴드 이름의 유래를 설명했다. "나는 조 터너의 대서양 음반 백업 밴드가 78대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했다. 나는 그들이 블루스 블래스터인 줄 알았다. 결국 그것은 지미 맥크래클린의 것이었다. 내가 방금 '블루즈'를 벗겼는데 조가 드디어 말했어, 지미 맥크래클린의 이름이라고. 하지만 훔치라고 허락을 해줬다고."[1]

맥크래클린은 1980년대와 1990년대에 계속해서 투어를 하며 새로운 앨범을 제작했다.[13] 밥 딜런은 McCracklin을 가장 좋아하는 사람으로 꼽았다.[14] 1973년, 1977년, 1980년, 1981년, 1984년, 2007년 샌프란시스코 블루스 페스티벌에서 뛰었다. 1990년에는 리듬 블루스 재단으로부터 파이오니어 상을 받았고, 2007년에는 베이 에어리어 블랙 뮤직 어워드에서 리빙 레전드와 명예의 전당 상을 받았다.[15] McCracklin은 21세기까지 계속 쓰고, 기록하고, 공연했다.

2012년 12월 20일,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의 캘리포니아 산 파블로에서 오랜 병환 끝에 91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4]

선택된 음반 목록

연도 제목 장르. 라벨
2007 1951-1954 웨스트 코스트 블루스 고전
2004 1948-1951 웨스트 코스트 블루스 고전
2003 1945-1948 웨스트 코스트 블루스 고전
2003 점프인베이 지역 1948-1955 웨스트 코스트 블루스 피바인 재팬
1999 판사에게 말하라! 웨스트 코스트 블루스 건스모크
1997 더 워크: 지미 맥크래클린의 베스트 웨스트 코스트 블루스, 소울 블루스 면도기 & 타이
1994 블루스의 맛 웨스트 코스트 블루스 불세예 블루스
1992 머큐리 레코딩스 웨스트 코스트 블루스, 소울 블루스 베어 패밀리
1991 지미 맥크래클린: 마이 스토리 웨스트 코스트 블루스 라운더
1991 마이 스토리 웨스트 코스트 블루스 라운더
1981 올 히스 블루스블러스터 웨스트 코스트 블루스 에이스
1978 록킹맨 웨스트 코스트 블루스 스탁스
1972 어제가 사라지다 웨스트 코스트 블루스 스탁스
1971 하이 온 더 블루스 웨스트 코스트 블루스 스탁스
1969 스팅어맨 소울블루스 미니트
1968 렛 렛츠 겟 투게 웨스트 코스트 블루스 미니트
1966 뉴 소울 오브 지미 맥크래클린 웨스트 코스트 블루스 제국주의
1966 내 대답 웨스트 코스트 블루스 제국주의
1965 생각하다 웨스트 코스트 블루스 제국주의
1965 매일 밤, 매일 웨스트 코스트 블루스 제국주의
1963 마이 록킨 소울 웨스트 코스트 블루스 유나이티드항공
1963 I Just Got Know 웨스트 코스트 블루스 제국주의
1962 지미 맥크래클린의 노래 웨스트 코스트 블루스 체스

인용문

맥크래클린은 "나는 어떤 남자가 일하는 것을 볼 수 있고, 그의 말을 어떻게 발음하는지 들을 수 있다"고 말했다. "나는 그 남자를 어떻게 노래로 맞출 수 있는지 알 수 있다."[16]

참조

  1. ^ Christgau, Robert (1981). "Consumer Guide '70s: M". Christgau's Record Guide: Rock Albums of the Seventies. Ticknor & Fields. ISBN 089919026X. Retrieved March 7, 2019 – via robertchristgau.com.
  2. ^ Du Noyer, Paul (2003).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Music (1st ed.). Fulham, London: Flame Tree Publishing. p. 181. ISBN 1-904041-96-5.
  3. ^ Joel Selvin (2007-03-01). "Richmond's Jimmy McCracklin, a top-rank bluesman for many years, isn't coming back - he never left". SFGate. Retrieved 2015-08-30.
  4. ^ a b c Lee Hildebrand (1921-08-13). "Bay Area blues legend had 65-year career". SFGate. Retrieved 2012-12-21.
  5. ^ a b Eagle, Bob; LeBlanc, Eric S. (2013). Blues - A Regional Experience. Santa Barbara: Praeger Publishers. pp. 159–160. ISBN 978-0313344237.
  6. ^ J.C. Marion (2004). "The Blues Blaster; Jimmy McCrackli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10-28. Retrieved 2012-12-21.
  7. ^ 무어, 셜리 앤 윌슨, 우리의 행동을 소개한다. 캘리포니아 리치몬드의 흑인 커뮤니티, 1910-1963, 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 132페이지, (2000) - ISBN 0-520-22920-7
  8. ^ Russell, Tony (1997). The Blues: From Robert Johnson to Robert Cray. Dubai: Carlton Books Limited. p. 13. ISBN 1-85868-255-X.
  9. ^ 블라디미르, 보그다노프. 블루스에 대한 모든 음악 가이드: 블루스에 대한 최종 안내서, 백비트 북스, 384페이지, (2003) - ISBN 0-87930-736-6
  10. ^ 커닝햄, 린 드릭스. 스위트, 핫, 블루: 세인트. 루이스의 음악 유산, 맥팔랜드 퍼브, 110페이지, (1989) - ISBN 0-89950-302-0
  11. ^ "Jimmy McCracklin - Biography". Billboard. Retrieved 2015-08-30.
  12. ^ 셀빈, 조엘 샌프란시스코, 뮤지컬 히스토리 투어: 베이 지역 200개 이상의 가장 기억에 남는 음악 사이트 크로니클 북스 138쪽 (1996) - ISBN 0-8118-1007-0
  13. ^ 로젠, 스티븐 (1988년 7월 6일) 축제 순회공연에서 블루스를 선보인다. 뉴욕 타임스
  14. ^ 딜런, 밥(2006년 4월 30일). 음악: 재생목록; 괜찮아, 엄마, 난 오직 D.J.ing. 뉴욕 타임스
  15. ^ Lee Hildebrand (2007-04-17). "Local musicians get overdue honors, but awards show deserves no prizes". SFGate. Retrieved 2015-08-30.
  16. ^ Russell, Tony (1997). The Blues - From Robert Johnson to Robert Cray. Dubai: Carlton Books Limited. p. 141. ISBN 1-85868-255-X.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