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조셉 몽고메리

John Joseph Montgomery
존 조셉 몽고메리
04-02392 John J. Montgomery.jpg
태어난(1858-02-15)1858년 2월 15일
죽은1911년 10월 31일(1911-10-31) (53)
사망원인글라이딩 사고
휴게소캘리포니아 주 콜마
37°40′16″n 122°26′43″w / 37.671155°N 122.445191°W / 37.671155; -122.445191
국적미국인의
교육산타클라라 대학교, 세인트. 이그나티우스 대학(B.A, 물리학, 1879; M.A, 물리학 1880), 산타 클라라 대학(명예 박사, 물리학 1901)
직업항공 개척자, 발명가, 물리학 교수, 물리학자
배우자레지나 클리어리 (m. 1910)

조셉 몽고메리(John Joseph Montgomery, 1858년 2월 15일 ~ 1911년 10월 31일)는 미국 발명가, 물리학자, 엔지니어, 캘리포니아 산타 클라라에 있는 산타 클라라라 대학의 교수로 공중보다 무거운 비행기의 발명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1][2][3][4][5][6][7]

1880년대 캘리포니아 유바시 출신인 몽고메리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인근 오타이 메사에서 일련의 글라이더에서 유인 비행 실험을 했다.[8][9][7][10][11][12] 1880년대에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이러한 초기 비행은 1893년 시카고에서 열린 국제 항공 항법 회의에서 행해진 강의의 일부로 몽고메리에 의해 처음 설명되었다.[13][14] 이러한 독립적인 발전은 영국의 조지 케일리의 코치(1853년), 프랑스의 장 마리브리즈(1856년)와 같은 유럽 개척자들의 활공 비행 이후에 이루어졌다.[15] 비록 몽고메리가 첫 비행을 주장한 적은 없지만, 1880년대의 그의 활공 실험은 근원에 따라 [18][19][20][21][22][23][24][25]미국이나[16][14][17] 서반구에서 공중보다 무거운 비행기의 첫 번째 조종 비행이었다고 일부 역사학자들과 단체들은 생각한다.

몽고메리는 그의 글라이더에 대해 다양한 제어 방법을 고안했는데, 그 중에는 롤링용 체중 이동과 피치용 엘리베이터(1884년)도 포함된다. 후속 설계에서는 롤 컨트롤을 위해 날개(1885-1886)에 힌지, 파일럿으로 작동되는 후행 가장자리 플랩을 사용했으며,[26][27][28][29][9][30] 이후 롤링(1903-1905)[31][32]과 피치 및 롤링(1911) 모두에 대해 풀 윙 뒤틀림 시스템을 사용했다.[33]

조류학

1880년대 초에 몽고메리는 날개 면적, 총체적 무게, 곡면 등 그들의 기본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대형 치솟는 새들의 해부학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는 비행 중인 새들, 특히 독수리, 매, 독수리, 펠리컨과 같은 크고 치솟는 새들을 자세히 관찰했다.[34]

그는 처음에 오니토퍼들과 함께 유인 비행을 시도했다. 1883년, 그는 일련의 3개의 오르니토퍼를 건설하고 실험했지만, 인간의 힘이 필요한 양력을 발생시키기에 부족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는 날아오르는 새들을 고정익 비행기로 모방하는 대신 펄럭이는 날갯짓 비행을 포기했다. 그는 활공과 급상승 비행의 물리학을 해결한 다음 모터를 추가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라고 추론했다.[35]

고정익 글라이더

Montgomery는 먼저 소규모의 무료 비행 모델을 가지고 글라이더의 설계, 구성 및 제어에 대한 그의 개념을 시험했다. 1883-84년 그의 첫 글라이더는 갈매기 날개의 곡선을 바탕으로 한 캠베어링된 에어포일을 가지고 있었다. 피치는 작동 가능한 엘리베이터에 의해 제어되었고 롤링은 조종사 무게 시프트에 의해 제어되었다. 는 통제가 되지 않았다. 이 항공기 설계는 1883–1886년에 걸쳐 3개의 글라이더의 기초가 되었다. 1884년 봄, 몽고메리는 오테이 메사의 테두리에서 최대 600피트(180m)[29]의 비행을 했다.[9][36] 몽고메리는 이 기구를 실험하는 동안 글라이더가 옆 돌풍에 잘 반응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는 조류학으로 돌아와서 칠면조 독수리가 어떻게 상당한 수면을 가지고 있으며 횡평형의 한 형태로 날개를 비틀었는지에 주목했다.[9]

이러한 제어 방법을 모방하여 1884-1885년에 그는 힌지 플랩을 두 번째 글라이더의 후행 가장자리에 통합했다. 이것들은 돌풍 시 자동 균형을 위해 봄철 장력으로 유지되었으나, 조종사가 롤링 제어를 위해 기계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케이블을 통해 조종사의 좌석에도 연결되었다.[9][37] 본질적으로 이 플랩들은 초기 에일러론이었다.[29][38] 두 번째 글라이더는 평평한 판형 에어포일, 안정성을 위한 상당한 강관 및 피치 제어를 위한 작동 가능한 엘리베이터를 가지고 있었다. 몽고메리는 조종사 글라이더가 언덕 위에서 굴러서 비행속도에 도달할 수 있도록 경사형 레일 시스템을 고안했다.

1885-86년 겨울에 몽고메리는 세 번째 글라이더를 만들었다. 앞쪽과 뒤쪽의 가장자리가 약간 위로 향했지만, 독수리의 날개를 본뜬 캠버어 에어포일을 가지고 있었다. 그 날개는, 스팬사이즈로, "갈"모양이었다. 조종사는 조종사가 좌우 날개의 입사각도를 일치시키거나 독립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었다. 디헤드랄과 작동 가능한 엘리베이터도 포함되었다.[9] 몽고메리는 적절한 에어포일을 설계하기 위해 공기역학에 대한 더 나은 이해가 필요하다고 결론지었다.

1893년 연설에서, 몽고메리는 1884–1886년 동안 적어도 세 명의 친구와 두 명의 남동생의 도움으로 이 세 개의 우주선에서 비행이 이루어졌다고 말했다.[39] 1893년 옥타브 차누트의 계정으로 비행시험을 치렀던 것 중 옥타브 차누트는 "여러 차례의 시험이 있었지만, 효과적인 양력을 얻을 수 없었다"고 언급했다. 1886년 3번째 우주선 중 샤누트는 "이 마지막 기구는 180lbs를 운반하기에 충분한 바람으로부터 효과적인 리프팅 효과를 얻을 수 없었기 때문에 전체 고장을 증명했다"고 썼다.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40]

몽고메리 자신의 설명은 1885년과 1886년의 제2, 제3의 글라이더 기술을 유효하다고 여겼지만, 에어포일 디자인은 제1의 우주선인 1884년에 비해 훨씬 짧은 글라이딩 비행을 생산했기 때문에 리프트 발생 측면에서 실망스러운 것이었다. 그는 자신이 리프트의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에서 점점 더 멀어지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에어포일을 조사하기 위해 통제된 실험실 실험을 시작했다. 1886년, 그는 측면 균형에 대한 특허 주의사항 제출을 잠시 고려했지만, 검토하지 않았다.[10]

공기역학

1885년경 몽고메리는 곡면 주위의 흐름의 물리학을 이해하기 위해 회전하는 팔 장치, 연기실, 수류 테이블, 그리고 바람으로 각진 커다란 나무 표면으로 긴 일련의 실험을 시작했다.[41] 그는 또한 풍류에 배치된 마른 새의 날개를 사용하여 그 효과를 관찰했다. 1880년대 그의 연구는 조종사가 사용하는 기계 시스템이 측면 균형과 글라이딩 비행에서 어느 정도 평형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의 실험은 또한 양력을 얻기 위해 캠베어링된 표면의 값을 확인했다.[42]

1893년 몽고메리는 시카고에서 열린 세계 컬럼비아 박람회를 방문했는데, 처음에는 전기 전문가 니콜라 테슬라의 강연에 참석하려고 했다. 도착하자마자, 그는 8월 첫째 주에 열리는 국제 항공 항법 회의에 대해 들었다. 그는 콘퍼런스의 의장으로 협력하고 있던 옥타브 차누트알버트 F. 자옴에게 자신을 소개했다. 그는 논문을 발표하지 않았으나, 이후 찬우트와 자름의 초청을 받아 직접 두 차례 강연을 하며 회의에 참가하게 되었다. 그의 첫 번째 실험은 공기와 수류의 표면에 대한 그의 실험에 초점을 맞췄다. 이 강연은 기사로 개정되어 회의 진행에 포함되었다.[43] 그 기사는 이후 1894년 7월 항공사에 실렸다. Chanute의 격려로 Montgomery는 두 번째 강의를 하기로 결정했다. 설계자들에게 유용할 수 있는 충분한 세부사항을 제공하는 것은 자제했지만, 그는 측면 제어를 위한 힌지 날개 부분의 사용에 대해 논의하였다.[13] Chanute는 Montgomery가 특허 보호를 받기를 원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그의 두 번째 강의는 회의 진행의 일부로 발표되지 않았다. 대신 찬우트는 1893년 미국 공학자 철도 저널에 연재된 그의 글 시리즈 '비행기의 진보'에서, 그리고 그 이듬해에 같은 이름의 책으로 몽고메리의 비행 실험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제시했다. 몽고메리는 1910년 뉴욕 항공 협회와의 강연에서 두 번째 강연을 재개했으며, 그 내용은 이후 여러 저널과 책에 발표되었다.[9]

1893년부터 1895년까지, 캘리포니아 로너빌에 있는 세인트 조셉 산 대학에서 가르치는 동안,[44] 몽고메리는 연막과 물 테이블을 이용하여 날개 위의 흐름과 리프트 생성의 물리학에 대한 추가 실험을 실시했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 그는 양력 이론 또는 현대의 공기역학자들이 말하는 "순환 이론" 또는 "리프팅 라인 이론"[10][45]을 개발했다. 몽고메리는 자신의 결과를 '욱일기[46]'라는 제목의 131쪽짜리 원고로 정리해 마티아스 N에 의해 출판되도록 시도했다. ForneyScientific American의 편집자들은 옥타브 차누트의 도움을 받았다.[47] 샤누트는 이론적 내용 중 일부와 의견이 맞지 않아 승인을 꺼렸고, 실험 결과와 이론적 추론을 구분하기 위해 편집하자고 제안했다.[48] 과학계 미국인은 원고를 거절했지만, 후에 추상적인 책을 출판했다. 샤누트는 또한 그의 협력자 중 한 명인 아우구스투스 헤링에게 원고가 "지반 효과"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교훈적이라고 생각하면서 원고를 연구하도록 지시했다.[49]

발명

1884년 몽고메리는 인도의 고무를 경화시키고 탈경화시키는 과정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 1895년 그리고 1901년에서 1904년 사이에 다시 몽고메리는 이따금 전기, 통신, 천문학, 광산 등 과학의 다른 분야에서의 연구로 그의 항공 연구를 보충했다. 1895년에 그는 석유 연소로의 효율 개선으로 4개의 특허(미국, 독일, 영국, 캐나다)를 받았다. 1897년 산타클라라 대학에서 교직에 올라 리처드 벨 신부와 함께 무선 전신 연구를 지휘했다. 그들은 처음으로 산타 클라라 대학에서 샌프란시스코로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전송했다.[50] 몽고메리는 광부들이 해변 모래에서 금을 추출하는 것을 돕기 위해 두 개의 금 농축 장치 장치에도 특허를 냈다(특허 목록 참조).

탠덤윙 글라이더

1903년 초, 베테랑 풍선학자 토마스 스콧 볼드윈은 몽고메리의 항공학에 대한 지식을 찾았다. 볼드윈은 또한 어거스트 그레스캘리포니아 산호세에서 비행선을 만들고 실험하는 것을 도왔다.[51] Baldwin은 비행선을 위한 개선된 프로펠러 디자인을 원했다. 그는 그레스와 함께 일하는 것을 중단하고 몽고메리로부터 항공학을 배우기 위해 산타 클라라 대학에 장기간 왔다. 그들이 함께 한 연구에는 그 대학에서 풍동실험이 포함되어 있었다.[52][53][54] 볼드윈의 제안으로 그들은 1904년 무인 볼드윈 풍선으로부터 높은 고도에서 발사된 유인 몽고메리 글라이더와 함께 공개 전시회를 만들기 위해 사업협약을 맺었다.[55] 1904년 5월 말에 몽고메리는 새로운 글라이더로 시험 비행을 했다.[56][57] 그러나 볼드윈은 이들의 협업을 포기하고 대신 몽고메리의 프로펠러 디자인과 7마력의 모터사이클 엔진(G.H. 커티스 Mfg Co.)을 통합한 산호세에서 독자적인 비행선(캘리포니아 화살)을 건설했다. 캘리포니아 화살표는 미국에서 처음으로 반복 회로를 제어하는 것이 될 것이다.[54][58][59][60] 몽고메리와 볼드윈의 오랜 악감정 기간 동안, 볼드윈은 세인트 항공 대회에서 캘리포니아 화살에 들어갔다. 1904년 11월 루이 월드 페어(Louis World's Fair)가 1위를 차지했다.[61][62][63]

존 J. 몽고메리와 그의 탠덤윙 글라이더 1905년 4월 29일 산타 클라라

1904년 가을, 몽고메리는 그의 동료 프랭크 해밀턴과 다니엘 J. 말로니와 함께 그의 탠덤 윙 글라이더인 몽고메리 항공기에 대한 테스트를 실시했다. 1905년 3월 16일과 20일 캘리포니아주 아파토스에서 다니엘 말로니는 고공 열기구에서 방출된 후 레너드의 목장(란초 산 안토니오, 현재 시스케이프)에서 글라이더로 몇 차례 비행에 성공했다. 그 결과 생긴 글라이드는 잘 통제되었고, 비행은 최대 13분 동안 지속되었다.[64][65] 이 비행들에 대한 소식은 미국과 유럽 양쪽에서 주목을 받았다.[66][67][68][69][70][71][72] 이 성공 후 몽고메리는 처음으로 항공학 분야에서 노력한 이력을 제공하기 위해 기자회견을 열고 자신의 항공기에 대한 특허 출원과 날개 뒤틀림 방법을 발표했다.[73] 1905년 4월 29일 몽고메리, 말로니, 해밀턴은 몽고메리 항공기의 공개시연을 하였고, 그날은 산타클라라 칼리지의 기념으로 산타 클라라라는 이름으로 다시 예배를 드렸다. 수백 명의 관중과 언론사 회원들을 보기 위해 말로니는 산타클라라 칼리지 위 약 4,000피트 상공에서 풍선으로부터 방출했다. 말로니는 미리 정해진 기동을 연달아 펼치며 대학 운동장 부근에 연착륙했다.[74][75][76] 이 전시회는 몽고메리에게 널리 인정을 받았고 일반적으로 항공의 이정표로 받아들여졌다.[6][77][78][79][80][81][82][14][83] 다음 달에 몽고메리와 말로니는 샌프란시스코 만 지역에서 산타 클라라와 함께 많은 전시회를 열었다. 1905년 7월 18일 풍선에서 나온 밧줄이 상승 중 글라이더를 손상시켜 방출 후 구조적 고장을 일으켜 말로니가 사망했다.

상록수

J. 몽고메리는 1911년 10월에 에버그린모노플레인 글라이더를 착륙시켰다.

1906년 샌프란시스코 대지진에 이어 몽고메리의 글라이딩 실험은 1911년까지 축소되었다. 몽고메리는 꼬리 어셈블리가 고정된 상태에서 날개가 뒤틀려 글라이더의 피치와 롤을 관리하는 새로운 제어 시스템으로 실험을 시작했다. 몽고메리는 모터를 추가하고 특허를 출원할 작정이었다. 이 글라이더인 에버그린(비행시험이 발생한 캘리포니아 산호세에버그린 지구에서 이름을 따온 것)은 몽고메리 뿐만 아니라 또 다른 항공사인 라인하르트가 1911년 10월 50회 이상 비행한 것이다.

죽음

1911년 10월 31일 몽고메리는 에버그린호를 저속으로 착륙시키려다가 난기류를 만나 좌초했다. 그는 현장에서 부상을 입어 추락해 사망했다. 산비탈(현재의 몽고메리 힐)은 에버그린 밸리 칼리지 바로 뒤에 있다. 존 J. 몽고메리는 1911년 11월 3일 캘리포니아 콜마홀리 크로스 묘지에 묻혔다.

힐러 항공 박물관상록수 복제품

조직 구성원 자격

  • 퍼시픽 에어로 클럽 (1909), 창립 멤버.[84]
  • 일리노이주 에어로 클럽(1910).[85]
  • 뉴욕 항공 협회(1910년)는 "항공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인정받아" 명예 회원을 선출했다.[38]
  • 항공 협회(1911년)는 기술 위원회와[86][87] 조직 및 컨벤션 위원회의 연구 위원회의 초청된 회원이다.[88]
  • 산타 클라라 밸리 에어로 클럽(1911), 초대 부회장.[89]

갈란트 여정

1946년 컬럼비아 픽쳐스는 존 J. 몽고메리의 삶과 작품을 원작으로 한 장편 영화[90] '갤런트 여정'을 개봉했다. 이 영화는 윌리엄 A가 감독했다. 웰먼글렌 포드가 몽고메리 역을, 자넷 블레어가 1910년에 결혼한 아내 레지나(네 클리리), 찰스 루글이 주연을 맡았다. 이 영화의 스턴트 파일럿은 폴 맨츠,[91] 폴 툰틀랜드[92][93], 돈 스티븐스였다. 이 영화에는 몽고메리의 글라이더 비행을 재현한 여러 가지 다른 역사적 장면이 포함되어 있었다.[94] 갈란트 여정은 1946년 9월 2일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에서 초연되었고, 1946년 9월 24일에 정식 개봉되었다. 이 영화의 홍보의 일환으로 컬럼비아 픽처스는 몽고메리의 마지막 비행과 같은 빈티지한 1911년형 빈티지 오토가 특징인 보스턴에서 LA로 가는 크로스컨트리 투어를 후원했다. 윌리엄 웰먼은 이전에 미 육군 항공대에서 근무한 적이 있으며, 캘리포니아 주 샌디에이고의 록웰필드에서 장교로 근무했으며, 글렌 포드도 제2차 세계 대전 중 샌디에이고에서 복무했다.

인식

역사적 랜드마크

그 상패는 몽고메리 그로브에 놓여 있었다. 에버그린 밸리 칼리지의 캠퍼스에서 현재의 부지로 이전하였다.

두 개의 캘리포니아 역사적 랜드마크가 몽고메리와 연관되어 있다.

  • 몽고메리 메모리얼 [95][96]오테이 메사 몽고메리 메모리얼은 1950년 5월 21일에 헌납되었으며, 수 마일에 걸쳐 볼 수 있는 통합 B-32 도미네이터를 위한 은색 정적 시험 날개 패널을 갖추고 있다.[97] 또한 그의 첫 활공 장소 근처의 휴양소와도 관련이 있다(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의[98] 몽고메리 월러 레크리에이션 센터). 기념비는 모더니스트 로이드 뤄코를 개척해 설계했다.[99]
  • 몽고메리 힐, 에버그린 밸리 대학 근처 산호세[100]. 에버그린 밸리 칼리지도 녹지공간(몽고메리 그로브), 강연장(몽고메리 홀), 전망대(몽고메리 힐 전망대) 등으로 그의 추억을 기리고 있다. 2008년 3월 15일, 몽고메리를 기리는 의미로 캘리포니아 산호세의 산펠리페와 예르바 부에나 도로에서는 조각상이 공개되었다. 글라이더 날개의 30피트 높이의 강철 구조물은 샌프란시스코의 예술가 켄트 로버츠가 디자인한 지름 32피트짜리 플라자(몽고메리 플라자)에 놓여 있었다.[101]

공항 및 항공 클럽

1919년 샌프란시스코 감독위원회는 크리시 필드 바로 동쪽에 있는 마리나 플라잉 필드의 이름을 '몽고메리 필드'로 변경했다.[102] 1920년부터 1944년까지 몽고메리 필드는 항공 우편 시설의 역할을 했다. 이 밭은 아직도 엠바르카데로를 따라 마리나 그린으로 존재한다.

1950년 5월 20일, 세계에서 가장 붐비는 종합 항공 공항 중 하나인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의 몽고메리 필드(KMYF)가 그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97]

샌디에이고 몽고메리 필드 헌납 명패

캘리포니아 산호세의 민항 초계함 36대는 존 J. 몽고메리 메모리얼 캐데트 36 편대로 그를 기리기 위해 "존 J. 몽고메리 메모리얼 캐데트 36 편대"로 명명되었다.[103] 그들의 좌우명은 "도전보다 앞서라"이다. 캘리포니아 산호세실험 항공기 협회 338장도 몽고메리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104]

학교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 오테이 메사에 있는 몽고메리 월러 레크리에이션 센터에 있는 실버 윙 기념비
    • 캘리포니아[109] 샌디에이고의 몽고메리 중학교

기타인식

몽고메리의 탠덤윙 글라이더가 1905년 3월 세계 최초로 고공비행을 위해 비행한 캘리포니아주 아파토스에 배치된 표식기.

존 J. 몽고메리는 1964년 미국 항공 명예의 전당, 2001년 미국 치솟는 명예의 전당,[110] 2015년 캘리포니아 항공 명예의 전당,[111] 2017년 국제 항공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12]

1924년, 산타클라라 대학 캠퍼스의 몽고메리 연구소로 새로운 공학 건물이 헌정되었다. 이 실험실은 오늘날의 메이어 극장이 있는 곳에 위치해 있었다.[113] 1934년 3월 18일 산타클라라 대학에서 몽고메리의 첫 글라이더 비행 50주년을 기념하는 축하 행사가 열렸다.[114] 또한 산타클라라 대학 캠퍼스에서도 1946년 4월 29일 캘리포니아주 산타클라라 시민들에 의해 말로니의 1905년 글라이더 비행장소에서 오벨리스크가 몽고메리에게 헌납되었다.[115]

1949년, 현재 5번 주간 고속도로의 일부인 몽고메리 1880년대 과일랜드 목장의 옛 터를 지나 멕시코 국경에서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 시내로 가는 구간이 존 J. 몽고메리 프리웨이로 명명되었다.[116][117]

1960년대에, 미국 항공우주 전문가 협회와 샌디에이고 항공우주 박물관은 항공우주 우수성에 대한J. 몽고메리 상을 제정했다. X-15, 수성, 폴라리스 프로그램의 멤버들은 닐 A와 같은 우주비행사를 포함한 상을 받았다. 암스트롱.

1996년 5월 11일 몽고메리의 1883년형 글라이더는 미국기계학회로부터 국제역사기계공학 랜드마크로 인정받았다.[118]

2005년 3월 19일, 존 J. 몽고메리는 그의 초기 글라이더 실험의 장소에서 캘리포니아주 아파토스에서 열린 '폭등 비행 100주년 기념행사'의 초점이었다. 이 기념식에서 아파토스에 첫 유인 고공 비행을 기념하는 마커가 배치되었다.[119]

2008년 4월 5일, 캘리포니아 산 카를로스 힐러 항공 박물관에서 존 몽고메리의 첫 활공 125주년 기념행사가 열렸다.[120]

2016년 5월, 샌디에이고 항공우주박물관1911년의 에버그린 글라이더와 1896년 몽고메리의 원고를 포함한 주요 로툰다에 존 J. 몽고메리를 위한 새로운 전시회를 설립했다.[121] 2017년 몽고메리는 박물관에서 국제항공우주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22]

참고 항목

출판물

스미스소니언 협회가 샌디에이고 항공우주 박물관에 전시한 에버그린 글라이더
  • 몽고메리, 존 J. 시카고 에어리얼 네비게이션 국제회의의 급상승 비행진행에 관한 다양한 논문에 대한 토론 8월 1-4. 1893 페이지 246–249.
  • 몽고메리, 존 J. 플라잉 플라이트, 원고, 1895.
  • 몽고메리, 존 J 1897년 11월 9일 치솟는 새의 날개에 관련된 기계학항공학과의 관계, 로스앤젤레스 남캘리포니아 과학 아카데미 연설.
  • 몽고메리, 존 J 1905년 캘리포니아주 산타클라라의 항공기 광고회사.
  • 몽고메리, 존 J. "항공 비행의 새로운 원리", 1905년 11월 25일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 몽고메리, 존 J. 날개 달린 표면의 형성과 치솟는 현상에 관련된 원리 1907년 10월 28~29일 뉴욕 항공학회에서 발표되었다. 항공학 제 3, 4, 30–33권, 1908년 10월, 10월, 10월, 1908년 10월, 3권, 5권, 34–40권, 11월, 1908년 11월, 3권, 6권, 32–36권, 1908년 12월, 4권, 1권, 43–46권에 연재되었다.
  • 몽고메리, 존 J. "미국의 몇몇 조기 활공 실험", 항공학, 제4권, 제1권 1909호, 페이지 47–50.
  • 몽고메리, 존 J. "날개 워핑의 기원: 몽고메리 교수의 실험", 항공학 (런던), 제3권, 제6권, 1910권, 페이지 63–64.
  • 몽고메리, 존 J. "비행술의 우리 지도자들", 항공학, 1915년 9월 22일, 페이지 99–100 (사후 인쇄된 기사)

특허

  1. 미국 특허 0,308,189 - 경화 고무 분해 복원 - 1884년 11월 18일
  2. 미국 특허 0,549,679 - 석유 버너 - 1895년 11월 12일
  3. 영국 특허 21477 - 석유 버너 용해로 - 1895년 11월 12일
  4. 독일 특허 88977 - 석유 오븐 - 1895년 11월 12일
  5. 캐나다 특허 50585 - 석유 버너 - 1895년 11월 14일
  6. 캐나다 특허 70319 - 집선 장치 - 1901년 2월 19일
  7. 미국 특허 0679,155 - 집선 장치 - 1901년 7월 23일
  8. 미국 특허 0,742,889 - 집선 장치 - 1903년 11월 3일
  9. 미국 특허 0,831,173 - 항공기 - 1906년 9월 18일
  10. 미국 특허 0,974,171 - 전류 교정 - 1910년 11월 1일
  11. 미국 특허 0,974,415 - 전기 모터가 현재 모터를 구동하는 파동이나 임펄스에 보조를 맞출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스 - 1910년 11월 1일

참조

  1. ^ Tandy, Edward T. (1910). An Epitome of the Work of the Aeronautic Society from July, 1908 to December, 1909. New York, NY: Aeronautic Society of New York.
  2. ^ Peyrey, François (1909). Les Oiseaux Artificiels. Paris, France: Derlis Fréres.
  3. ^ "An American Pioneer of Soaring Flight: John J. Montgomery". Aviation. 4 (1): 302–303. 1918.
  4. ^ Walker, Thomas (1910). The Art of Flying. London, England: King, Sell & Olding.
  5. ^ Turner, Charles C. (1910). Aerial Navigation of To-day: A Popular Account of the Evolution of Aeronautics. London, England: Seeley & Co.
  6. ^ a b Colwell, J.H. (1920).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Aeronautics". Journal of the Patent Office Society. 3: 12.
  7. ^ a b Hunt, Rockwell D. (1932). "John J. Montgomery". California and Californians. 3 (126): 27.
  8. ^ 몽고메리 에버그린 스미스소니언 국립항공우주박물관
  9. ^ a b c d e f g Montgomery, John J. (April 21, 1910). The Origin of Wing Warping (Speech). Aeronautic Society of New York.(Aeronomatics 1910) 없음: (
  10. ^ a b c Harwood, Craig; Fogel, Gary (2012). Quest for Flight: John J. Montgomery and the Dawn of Aviation in the West. Norman, Oklahoma: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ISBN 978-0806142647.
  11. ^ 베리만, 알제리논 E. 항공 1912년 런던 메투엔사의 비행요소 소개 페이지 213-214.
  12. ^ 찰스 B, 헤이워드의 "몽고메리 글라이딩 실험" 실용 항공학: 항공학에서 흥미롭고 본질적인 사실에 대한 이해할 수 있는 발표'라고 말했다. 시카고: 1912년 미국 통신학교
  13. ^ a b 자움, 알버트 F. (1923년) 벤슨, 윌리엄 셰퍼드, 제임스 월시, 에드워드 J. 한나, 콘스탄틴 E의 "항공학 분야의 가톨릭 공헌" 맥과이어. 가톨릭 국가 건설자: 미국 문명에 대한 가톨릭의 공헌에 관한 심포지엄. 보스턴: 컨티넨탈 프레스.
  14. ^ a b c Pritchard, John Lawrence (1929). The Book of The Aeroplane. The University of Michigan: Longmans Green & Company. p. 17.
  15. ^ 샌디에이고 역사 저널, 1968년 7월 14권 3호.
  16. ^ 미국 전기의 국가 사이클로피디아: 공화국의 건국자, 건설자, 방어자 등의 삶에서 삽화가 된 미국의 역사..., 저명한 전기 작가들에 의해 편집된 제임스 T. 화이트앤코 1916년 제16권
  17. ^ 산타 클라라 공대 마크 D. 아르데마와 조셉 마하, 윌리엄 애덤스 주니어 "존 조셉 몽고메리, 1883 글라이더: 1996년 5월 11일 힐러 항공기 박물관과 산타 클라라 대학교에서 미국기계학회 지정 국제역사기계공학 랜드마크(브로추어, 11쪽)
  18. ^ "몽고메리 퍼스트 투 더 에어: 1909년 5월 16일 샌프란시스코 심사관 "조사 후 오스트리아 관리들이 캘리포니아 발명가에게 손바닥을 주었다." 1909년 6월 12일 샌프란시스코 모니터의 "Conquireing the Air"도 참조하십시오.
  19. ^ 제이콥스, 제임스 W. "존 조셉 몽고메리" James W. Jacobs에서 Investine 앨범: 제1차 21년, 134⟨n3535. 오하이오 주 데이턴: 국립 항공 명예의 전당, 1984.
  20. ^ McCormick, Barnes (2004). Aerospace Engineering Education During the First Century of Flight. Reston, VA: American Institute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ISBN 9781563477102.
  21. ^ L'écho Des Ailes: Revue Indépendante는 1948년 1월 23일, 제17권 2번, 제17권, 제2권, 제2권, 제2권, 제2권, 제2권, 제2권, 제2권, 제2권, 제2권, 제2권, 제2권, 제3권 Fédération des Clubs Belges d'Aviation de Tourisme, Belgues d'Aviation de Tourisme.
  22. ^ "Flug-Revue"("Flight Review"), 1968년 베레이니그테 모터-버리지, 페이지 155.
  23. ^ 미국 의회, 하원 과학우주위원회의 청문회, 보고서인쇄물. 하원 과학우주위원회, 미국 정부 1972년 워싱턴 D.C. 인쇄소
  24. ^ Histoire de l'éronautique et de l'Espace, 2001.
  25. ^ 데이비, 모리스 J.B. (1935년) 항공, 과학 박물관.
  26. ^ "Professor Montgomery's Experiments". Aeronautics (London). 3 (6): 73, 111. 1910.
  27. ^ "날개가 달린 기계는 이론을 발전시킨다," "문제 해결에 수년간의 연구가 적용되었다," 1905년 3월 31일, 산호세 머큐리 이브닝 뉴스.
  28. ^ 1905년 3월 26일 샌프란시스코 회보 "세 번째 테스트는 모두 성공적이다"
  29. ^ a b c Montgomery, John J. (1909). "Some Early Gliding Experiments In America". Aeronautics (New York). 4 (1).
  30. ^ 헤이워드, 찰스 B. (ed.) (1912) 시카고 미국 통신학교 실용항공학.(Orville Wright 소개서)
  31. ^ 항공학 1910.
  32. ^ 샤누트, 옥타브(1907) "몽고메리." 인: Hermann이 편집한 Pocket-Book of Aeraistics. W. Mansergh Varley가 번역한 W. L. Moedebeck, 309권 10호. 런던: 휘태커와 주식회사.
  33. ^ Campi, Richard B.(1961) "글라이더를 운반하는 1911년 몽고메리 제어 가능 인간의 설명과 분석" 작업용지, 1961년 12월 29일.
  34. ^ Montgomery, John (1910). "Our Tutors in the Art of Flying". Aeronautics (London): 99–100.
  35. ^ Kavanagh, Dennis K. (1905). The Aeroplane. Santa Clara, California: The Aeroplane Advertising Company.
  36. ^ 몽고메리, 제임스 P, 1919년 1월 13일, 레지나 C에 대한 직접적인 증언. 몽고메리 외 대 미국 - 주식 번호 33852.
  37. ^ 1919년 1월 13일 몽고메리, 리차드 J. 법정에서 직접 증언(Equity No. 3385.
  38. ^ a b 1910년 4월 24일 뉴욕 월드는 "몽고메리, 라이트 특허 출원: 캘리포니아 대학 교수가 1885년에 뒤틀린 날개를 발명했다"고 주장했다.
  39. ^ 미국 N.D. 청구 재판소 제33852호. 후계자인 레지나 클리어리 몽고메리, 그리고 리처드 J. 몽고메리, 메리 C. 몽고메리, 마가렛 H. 몽고메리, 그리고 제인 E. 몽고메리, 존 J. 몽고메리의 후계자 엘렌 몽고메리의 양도인, 고인이 된, 미국 대 대." Charles T에 의한 직접 및 교차검사에서 제공된 증언. 커츠, 찰스 버로우스, 제임스 P. 몽고메리, 리처드 J. 몽고메리, 메리 F. 매카시, 1919년 1월."
  40. ^ Chanute, Octave. (1893) Flying Machine의 진보, The American Engineer and Railway Journal, 1893년 12월.
  41. ^ 몽고메리, John J. (1894) "급상승 비행에 관한 다양한 논문의 토론", 1893년 8월 1일부터 4일까지 일리노이주 시카고, 1893년 8월 4일까지 미국 엔지니어철도 저널에 의해 출판됨, 페이지 247부터 249까지.
  42. ^ 몽고메리, 존 J. (1894) "급상승 비행에 관한 다양한 논문의 토론," 항공학 제1권, 제10권(7월), 127권-128권.
  43. ^ "Forgotten Aviation Pioneer: California's Own John J. Montgomery". militarymuseum.org. Retrieved April 28, 2015.
  44. ^ 1894년 12월 31일 캘리포니아 유레카 데일리 스탠더드 "A Home School – What's Teached in St. Joseph's College,"
  45. ^ Fogel, Gary B.; Harwood, Craig S. (January 4, 2016). John J. Montgomery's Circulation Theory of Lift. 54th AIAA Aerospace Sciences Meeting. San Diego. doi:10.2514/6.2016-1159. Retrieved December 11, 2020.
  46. ^ "John J. Montgomery Manuscript "Soaring Flight"". Flickr. December 28, 2012. Retrieved April 28, 2015.
  47. ^ Chanute, Octave (July 17, 1895). "Montgomery publication". Letter to Matthias Forney.
  48. ^ Chanute, Octave (July 15, 1895). "Montgomery publication". Letter to John Montgomery.
  49. ^ Chanute, Octave (March 17, 1895). "Ground effect". Letter to August Herring.
  50. ^ 1904년 3월 6일 샌프란시스코 콜은 "현지 과학자들이 새로운 무선 전신 시스템을 발명한다"고 말했다.
  51. ^ "Montgomery Seeks to Restrain Baldwin and Seeks Damages". San Jose Evening News. San Francisco, CA. April 7, 1905.
  52. ^ "Airship Inventor Visits San Jose: Captain Baldwin, Builder of the California Arrow, Talks of His Plans and Future of Aerial Navigation". San Jose Daily Mercury. San Jose, CA. December 5, 1904.
  53. ^ 볼드윈, 토마스 1904년 11월 27일 뉴욕 월드 매거진
  54. ^ a b "Father Bell and Captain Baldwin: Priest-Scientist of Santa Clara College Gives Credit for Success of Aerial Experiments to Professor Montgomery". San Jose Daily Mercury. San Jose, CA. December 6, 1904.
  55. ^ "Aeronauts Row Over Airship". San Francisco Call. San Francisco, CA. April 8, 1905.
  56. ^ "Careful Research of Several Years Assured Success". San Francisco Bulletin. San Francisco, CA. March 26, 1905.
  57. ^ "Inventor of New Airship Has Trouble with Baldwin". San Jose Mercury. San Francisco, CA. April 7, 1905.
  58. ^ J. 메이네 볼티모어, "The New Baldwin Airship," Scientific American 91번, 9번 (1904년 8월 27일) : 147.
  59. ^ 글렌 커티스와 아우구스투스 포스트, 커티스 항공서 (뉴욕: 프레데릭 A) 스톡스 주식회사, 1912년, 30년
  60. ^ "Did Baldwin Have Ideas for Airship?". San Jose Mercury News. San Jose, CA. December 27, 1904.
  61. ^ Scamehorn, Howard Lee (1905). "Thomas Scott Baldwin: The Columbus of the Air". Journal of the Illinois State Historical Society. 49 (2): 163–189.
  62. ^ Knabenshue, A. R. "나의 '화살에서의 비행', 1904년 11월 10일 독립, Volume LVII, 페이지 1127-1130.
  63. ^ Dewey, Elbert E. (1905). "An Airship's Success". The Technical World. 1 (September): 476–484.
  64. ^ 존 J. 몽고메리, 1905년 4월 11일 S J, 아서 스피어맨에서 옥타브 차누트에게 보낸 편지, 존 조셉 몽고메리 기본 비행의 아버지, 산타 클라라의 유니브, 1967 페이지 92-94
  65. ^ Bell, Richard H. (1905). "The Success of March 18th". The Redwood. 4 (5): 24–25.
  66. ^ Masfrand, D.E. (1905). "Les Essais et la Catastrophe du 'Santa Clara'". L'Aérophile (August): 178–180.
  67. ^ DeMeriel, P. (1905). "Un aeroplane a 1200 meters". La Nature (November 25): 412.
  68. ^ 헤르만 모데벡, 플리겐데 멘첸! Das Ringen um die Beherrschung der Luft 벙어리장갑 Flugmaschinen (베를린: O. Salle, 1905)
  69. ^ "Notizen". Wiener Luftschiffer-Zeitung. 4 (8): 169–170. 1905.
  70. ^ "The Montgomery Aeroplane". Automotor Journal. 10: 1079. 1905.
  71. ^ A. 제야스메트, "마키나 벨라도라" 엘 헤랄도 마드리드, 1905년 3월 31일, MO 16세—Num. 5.242
  72. ^ Coupin, Henri (1905). "Un descende de 1200 metres en aeroplane". Le Magasin Pittoresque (March): 139–140.
  73. ^ Harwood, Craig S.; Fogel, Gary B. (January 7, 2019). On the Invention of Lateral Control: Wright and Montgomery. AIAA Scitech 2019 Forum. San Diego. doi:10.2514/6.2019-0123. Retrieved December 11, 2020.
  74. ^ "The Montgomery Aeroplane". Scientific American (May 20): 404. 1905.
  75. ^ "Most Daring Test of Flying Machine Ever Made". Popular Mechanics. 7 (6): 703–707. 1905.
  76. ^ "The Montgomery Aeroplane". Popular Mechanics. 7 (7): 703–707. 1905.
  77. ^ 맥심, 허드슨, 윌리엄 조셉 해머. 1910. 항공 연대기 웨스트필드, 뉴저지 주: H. 프랜시스, 프린터, 페이지 8.
  78. ^ 허먼 모드벡의 '항공학 포켓북'에 실린 옥타브 차누트, "몽고메리 실험"
  79. ^ 헤이워드, 찰스 B. (edd.) 실용 항공학, 1912년 시카고 미국 통신학교.
  80. ^ 클레민, 알렉산더 1943년 브리태니카 백과사전 "글라이딩"
  81. ^ Albert F. Zahm, "항공에서의 수동 비행기의 성장" 과학 아메리칸 참고서, Munn & Co., Inc., New York, 1912. 페이지 441.
  82. ^ Davy, M.J.B. (1929). Aeronautics – Handbook of Collection Illustrating Heavier-Than-Air Craft. London, England: Science Museum.
  83. ^ "Cornell University". The Cornell Engineer: 9. 1935.
  84. ^ 존슨, 케네스 M. (1961) 에어리얼 캘리포니아: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도슨 서점 제1차 세계 대전으로 가는 1849년 북부와 남부의 조기 비행 계정
  85. ^ 회원 카드의 사본은 노스캐롤라이나 주 채플힐에 있는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도서관의 존 J. 몽고메리 페이퍼스 1885-1947, 서던 히스토리 컬렉션에서 찾을 수 있다.
  86. ^ 존 J. 몽고메리 페이퍼스 1885-1947,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채플 힐, 노스캐롤라이나 도서관 남부의 역사 수집.
  87. ^ "Club News". Aircraft (July): 159. 1911.
  88. ^ Gibson, Ada (1910). "Club News". Aircraft (July): 191.
  89. ^ "Club News". Aeronautics. 8 (3): 110. 1911.
  90. ^ Neil Doyle (September 24, 1946). "'Gallant Journey' (1946)". IMDb. Retrieved April 28, 2015.
  91. ^ 드와긴스, 돈(1967)할리우드 파일럿: 뉴욕 가든 시티의 더블데이와 주식회사 폴 맨츠의 전기
  92. ^ [1]
  93. ^ [2]
  94. ^ "Retakes of Flying History". Popular Science. Bonnier Corporation (August). 1946.
  95. ^ #711: 몽고메리 메모리얼, 오테이 메사 2005년 11월 24일 웨이백 머신보관(32.577449 -117.052631)
  96. ^ Wilson, Bob (1994). "Starting the Montgomery Monument". San Diego Aerospace Museum Newsletter (Spring).
  97. ^ a b 샌디에이고 유니언은 1950년 5월 21일 "첫 번째 글라이더 타워가 최초 비행을 한다"고 말했다.
  98. ^ "Montgomery-Waller Recreation Center - City of San Diego Official Website". sandiego.gov. Retrieved July 24, 2016.
  99. ^ "Modern San Diego Dot Com". modernsandiego.com. Retrieved July 28, 2016.
  100. ^ #813: 몽고메리 힐, 산호세(37.302289 -121.758084)
  101. ^ 피사로: 상록수 예술품은 계곡의 비행의 선구자를 기린다 - 산호세 머큐리 뉴스 www.mercurynews.com
  102. ^ 샌프란시스코 시·군, 감독 위원회, 시 기록 12번, 1번(1919), 페이지 394
  103. ^ "CAP Squadron 36".
  104. ^ "Home". eaachapter.org. Retrieved July 24, 2016.
  105. ^ 2007년 8월 24일 웨이백 머신보관캘리포니아 처라 비스타의 J. 몽고메리 초등학교
  106. ^ "Evergreen School District: Search Results". eesd.org. Retrieved April 28, 2015.
  107. ^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의 몽고메리 중학교 2005년 11월 2일 웨이백 기계보관
  108. ^ "Montgomery High School, San Diego, CA". suhsd.k12.ca.u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27, 2010. Retrieved July 24, 2016.
  109. ^ "Montgomery Middle School, San Diego, CA". suhsd.k12.ca.u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4, 2010. Retrieved July 24, 2016.
  110. ^ "Hall of Fame". soaringmuseum.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21, 2015. Retrieved April 28, 2015.
  111. ^ "California Aviation Hall of Fame Inductees". Museum of Flying. March 24, 2015. Retrieved April 28, 2015.
  112. ^ "San Diego Air & Space Museum - Historical Balboa Park, San Diego".
  113. ^ "Santa Clara University School of Engineering - Campus Changes". scu.edu. Retrieved April 28, 2015.
  114. ^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은 1934년 3월 11일 "베이 지역에서 계획한 '비행의 아버지'에게"라고 말했다.
  115. ^ "John J Montgomery Obelisk - Santa Clara, CA - Obelisks on Waymarking.com". waymarking.com. Retrieved April 28, 2015.
  116. ^ Rhodes, W.T. (1951). "Montgomery Freeway Will Relieve Traffic in South San Diego". California Highways. Jan.-Feb.: 34–35.
  117. ^ "US 101 Photo Gallery". gbcnet.com. Retrieved April 28, 2015.
  118. ^ "Archived copy"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September 24, 2015. Retrieved March 11, 2015.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119. ^ "First High Altitude Aeroplane Flights March 1905 - Aptos, CA - E Clampus Vitus Historical Markers on Waymarking.com". waymarking.com. Retrieved April 28, 2015.
  120.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10, 2008. Retrieved March 20, 2008.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121. ^ Museum, San Diego Air & Space. "San Diego Air & Space Museum - Historical Balboa Park, San Diego". sandiegoairandspace.org. Retrieved July 28, 2016.
  122. ^ 슈프레켈마이어, 린다, 편집자 These We Honor: 국제항공우주 명예의 전당. 도닝사 출판사, 2006년. ISBN 978-1-57864-397-4.

전기

  • 스피어맨, 아서 더닝 존 J. 몽고메리: 베이직 플라잉의 아버지. 산타클라라 대학 1967년과 1977년 2차 개정.
  • 하우드, 크레이그 S, 포겔, 게리 B. 퀘스트 플라이트: J. 몽고메리와 서부의 여명 항공 오클라호마 프레스 2012 대학

연구자료실

  • 캘리포니아 산타 클라라, 산타 클라라 대학 존 J. 몽고메리 컬렉션
  •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의 샌디에이고 항공 우주 박물관에 있는 존 J. 몽고메리 개인 신문
  • 노스캐롤라이나 주 채플힐에 있는 노스캐롤라이나 대학 도서관, 존 J. 몽고메리 페이퍼스 1885–1947. 남부의 역사 컬렉션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