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P. 리바다리
John P. Livadary존 P. 리바다리 | |
---|---|
태어난 | |
죽은 | 1987년 4월 7일 | (90세)
직업 | 사운드 엔지니어 |
년 활동 | 1929-1960 |
존 폴 리바다리(John Paul Livadary, 1896년 5월 20일, 터키 이스탄불 출생, 1987년 4월 7일 사망, 캘리포니아 뉴포트 비치, 미국 )는 사운드 디자이너였다.
그는 1928년 컬럼비아 픽처스에서 일을 시작해 아카데미 음향 믹싱상을 3번 수상했으며, 30년 경력의 커리어에서 14번 더 후보에 올랐다. 첫 번째 오스카상은 One Night of Love(1934),[1] 두 번째 오스카상은 The Jolson Story(1946),[2] 세 번째 오스카상은 From Here to Emperities(1953)를 위한 것이었다.[3][4] 기술공로 아카데미상(공로상 2회), 아카데미 과학기술상(공로상 1회)도 수상했다.
부분 필모그래피
- 브로드웨이 스캔들(1929년)
- 사랑의 노래 (1929년)
- 비행(1929년)
- 무죄 (1929년)
- 브로드웨이 후퍼 (1929년)
- 월 스트리트 (1929년)
- 코너 주변 (1930)
- 군인 및 여성 (1930년)
- 헬스 아일랜드 (1930년)
- 레이디스 머스트 플레이 (1930)
- 그림자 목장(1930년)
- 허리케인(1930년)
- 법 없는 남자(1930년)
- 디리거블 (1931)
- 원나이트 오브 러브 (1934년)
- Love Me Forever (1935년)
- 워싱턴에 가는 스미스 씨(1939년)
- 너무 많은 남편(1940년)
- 졸슨 스토리 (1946)
- 브레이브 불스 (1951년)
- 여기서 영원으로(1953년)
- The Law vs. 빌리 더 키드 (1954년)
- 푸슈호버 (1954)
- 인간 욕구 (1954)
- 블랙 다코타스 (1954년)
- 죽이는 데 3시간(1954)
- 식인 공격(1954년)
- Phfft (1954년)
- 폭력적인 남자 (1955)
- 캔자스 주의 마스터슨 (1955년)
- 대나무 감옥 (1955)
- 수배자 10명(1955)
- 롱 그레이 라인 (1955)
- 여자 교도소(1955)
- 트리폴리 해적(1955)
- 와이오밍 레니게데스(1955년)
- 셋 포 더 쇼 (1955)
- 2455호, 사형수(1955)
- 세미놀 봉기(1955년)
- 꽉 끼는 곳(1955)
- 5 의회를 상대로 (195
- 미소를 동반하라 (1955)
- 라라미에서 온 남자 (1955)
- 아일린 수녀(1955년)
- 삼백작과 기도 (1955)
- 퀸 비 (1955)
- 무리스 거리 (1955)
- 피크닉 (1955년)
- 라스트 프론티어(1956년)
- 배틀 스테이션 (1956)
- 핫 블러드 (1956)
- The Hard Thes Fall (1956년)
- 주발(1956년)
- 에디 듀친 이야기 (1956년)
- 단풍(1956년)
- 그는 마지막에 웃었다 (1956년)
- 스톰 센터 (1956)
- 솔리드 골드 캐딜락(1956)
- 보복!(1956년)
- 도망칠 수 없다(1956년)
- Full of Life (1957)
- 나이트폴(1957)
- 페티코트 요새의 총(1957)
- 의복 정글(1957)
- 3:10 to 유마(1957)
- 잔 에겔스 (1957년)
- 더 브라더스 리코 (1957)
- 선다운에서의 결정(1957)
- 매드볼 작전(1957)
- 팔 조이 (1957)
- Going Steady (1958)
- 카우보이 (1958)
- 비명을 지르는 미미(1958)
- 브루클린 반대 사건(1958)
- 라인업 (1958)
- 17세 (1958)에 시작된 인생
- 총잡이의 산책로(1958)
- 부차난 혼자 타기 (1958)
- 중국해의 유령 (1958)
- 아파치 준주(1958)
- 나와 대령(1958)
- 라스트 후라 (1958)
- 타라와 비치헤드(1958)
- 제7회 신밧드 항해(1958)
- 종, 책, 초 (1959년)
- 시니어 프롬 (1959년)
- 교수형하기에 좋은 날 (1959년)
- Lonelant 승차(1959년)
- 라레도 출신 무장괴한(1959년)
- 금단의 섬 (1959년)
- 쥬크 박스 리듬(1959년)
- 기젯(1959년)
- 이봐! 헤이걸! (1959년)
- 도망자의 얼굴 (1959년)
- 제인에게 일어난 일 (1959년)
- 캔디 록의 30피트 신부(1959년)
- Have Rocket, Will Travel (1959년)
- 크림슨 기모노 (1959년)
- 팅글러 (1959년)
- 그들이 코르두라에 왔다(1959년)
- 산호해 전투(1959년)
- 라스트 앵그리 맨 (1959년)
- 플라잉 폰테인 (1959년)
- 에지 오브 영원의 날 (1959년)
- 1001 아라비안 나이트 (1959년)
- 코만치 역 (1960년)
- 산길(1960)
참조
- ^ "The 7th Academy Awards (1935) Nominees and Winners". oscars.org. Retrieved 2011-08-07.
- ^ "The 19th Academy Awards (1947) Nominees and Winners". oscars.org. Retrieved 2011-08-19.
- ^ "The 26th Academy Awards (1954) Nominees and Winners". oscars.org. Retrieved 2011-08-20.
- ^ Selise Eiseman (March–April 2006). "Pushing the Envelope..." Editors Guild Magazine. 27 (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01-29. Retrieved 2009-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