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너선 다울링

Jonathan Dowling
조나단 P.다울링
Dowling Jonathan P 2.JPG
2010년 다울링
태어난(1955-04-03)3 1955년 4월
죽은2020년 6월 5일(2020-06-05) (65세)[1]
국적아일랜드어, 미국인
모교콜로라도 대학교 볼더
로 알려져 있다.양자 광학, 양자 기술
수상윌리스 양 메달
과학 경력
필드물리학자
기관루이지애나 주립 대학교
박사학위 자문위원아심 오르한 바루트

조나단 P. Dowling(1955년 4월 3일 ~ 2020년 6월 5일)은 아일랜드계 미국인 연구자 겸 이론물리학 교수로 양자 기술에 관한 연구로 유명했으며, 특히 양자측량학, 양자감지, 양자영상 분야에 응용하기 위한 양자 얽힘(NOW 상태의 형태)을 이용했다.

경력

다울링은 1988년 콜로라도 볼더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2]그는 Max Planck Institute of Quantum Optics,[3][4] 미국 육군 항공미사일 사령부, NASA 제트 추진 연구소,[5] 루이지애나 주립 대학교에서 일했다.[2]

다울링은 양자 컴퓨팅과 양자 암호학의 미국 정부 프로그램의 창시자 중 한 명이었다.[6]

다울링은 루이지애나 주립대학교에서 호레이스 허네 이론물리학 연구소의 공동 소장이자 물리학 천문학과 허네 학장이었다.

리서치

다울링은 양자 전자역학, 양자 광학, 양자 기술 분야의 과학 출판물을 저술했다.그가 사망할 당시 그의 출판물은 허쉬지수 64로 2만200번 이상 인용되었다.[7]

Dowling 출판된 논문들은 Linear 광학 양자 컴퓨팅,[8] 양자 석판학,[9] 광학 결정광학 스위칭,[10] 광학 밴드 에지 레이저의 주제에 관한 것이다.[11]Dowling은 또한 광학 마이크로 캐비티와 광학 결정에서 원자 자발적 방출과 그 밖의 양자 전기역학 효과의 양자 이론을 연구했고,[12] 광학 양자 계산,[13] 양자 측정학, 양자 이미징,[14] 양자 감지도 연구했다.[15]

수상 및 인정

출판물

다울링은 인기 있는 과학서적 '슈뢰딩거의 킬러 앱 – 세계 최초의 양자컴퓨터 구축 레이스'[23]의 저자다.미군에 의한 양자컴퓨팅 자금 조달을 위한 초기 동기에 대한 이 책의 이야기는 그의 사망 이후 토요일 아침 아침 식사 시리얼에 의해 웹툰으로 묘사되었다.[24]이 영화의 속편인 "슈뢰딩거의 거미줄: 양자 인터넷을 구축하기 위한 경주"는 사후에 개봉되었다.[25]

다울링은 양자 기술의 붐을 예측한 2003년 논문을 공동저술했다.[26]

참조

  1. ^ "In Memory Of Professor Jonathan Dowling". Inside Quantum Technology. Retrieved 29 June 2020.
  2. ^ a b Louisiana State University (LSU). "Jonathan Dowling". Lsu.edu. Retrieved 7 June 2020.
  3. ^ Barut, A. O.; Dowling, Jonathan P. (1990). "Self-field quantum electrodynamics: The two-level atom". Physical Review A. 41 (5): 2284–2294. Bibcode:1990PhRvA..41.2284B. doi:10.1103/PhysRevA.41.2284. PMID 9903354.
  4. ^ Dowling, Jonathan P.; Scalora, Michael; Bloemer, Mark J.; Bowden, Charles M. (1994). "The photonic band edge laser: A new approach to gain enhancement". Journal of Applied Physics. 75 (4): 1896–1899. Bibcode:1994JAP....75.1896D. doi:10.1063/1.356336.
  5. ^ "Info" (PDF). trs.jpl.nasa.gov/bitstream. Retrieved 7 June 2020.
  6. ^ 마이클 브룩스(런던, 스프링거, 1999년)의 107페이지 인용: "이것은 널리 알려지지 않았지만, 양자컴퓨팅에 관한 미국의 NSA-ARO-DARPA 연구 프로그램은 유럽 화자에 의해 간접적으로 진행되었고, 당시 ph였던 존 다울링에 의해 미국 자금 지원 기관에 전달되었다.미 육군 항공 및 미사일 사령부의 ysicist....존은 브리티시 텔레콤이 10km 이상의 광섬유를 넘는 양자암호키 전송을 공개한 1994년 IQEC와 ICAP 회의에 참석했고, 아르투르 에커트는 쇼르의 팩토링 알고리즘 발견을 각각 발표했다.육군연구소에 이러한 돌파구를 알린 후, 1995년 겨울 투싼에서 양자암호법과 양자컴퓨팅에 관한 ARO 워크숍을 열기로 결정했다.양자컴퓨팅의 핵심 연구자 중 상당수가 이번 워크숍에 참석했으며, 키스 밀러 등 국가안보국(NSA)의 연구원들이 참석했다.이번 워크숍은 양자컴퓨팅 연구 추진에 관한 ARO-NSA 협업이 계기가 됐다."http://www.worldcat.org/oclc/901463471
  7. ^ Dowling's Google Scorces https://scholar.google.com/citations?user=3YObZBIAAAAJ&hl=en
  8. ^ Kok, Pieter; Munro, W. J.; Nemoto, Kae; Ralph, T. C.; Dowling, Jonathan P.; Milburn, G. J. (2007). "Linear optical quantum computing with photonic qubits" (PDF). Reviews of Modern Physics. 79 (1): 135–174. arXiv:quant-ph/0512071. Bibcode:2007RvMP...79..135K. doi:10.1103/RevModPhys.79.135.
  9. ^ Boto, Agedi N.; Kok, Pieter; Abrams, Daniel S.; Braunstein, Samuel L.; Williams, Colin P.; Dowling, Jonathan P. (25 September 2000). "Quantum Interferometric Optical Lithography: Exploiting Entanglement to Beat the Diffraction Limit". Physical Review Letters. 85 (13): 2733–2736. arXiv:quant-ph/9912052. Bibcode:2000PhRvL..85.2733B. doi:10.1103/physrevlett.85.2733. ISSN 0031-9007. PMID 10991220. S2CID 7373285.
  10. ^ Scalora, Michael; Dowling, Jonathan P.; Bowden, Charles M.; Bloemer, Mark J. (5 September 1994). "Optical Limiting and Switching of Ultrashort Pulses in Nonlinear Photonic Band Gap Materials". Physical Review Letters. American Physical Society (APS). 73 (10): 1368–1371. Bibcode:1994PhRvL..73.1368S. doi:10.1103/physrevlett.73.1368. ISSN 0031-9007. PMID 10056775.
  11. ^ Dowling, Jonathan P.; Scalora, Michael; Bloemer, Mark J.; Bowden, Charles M. (15 February 1994). "The photonic band edge laser: A new approach to gain enhancement". Journal of Applied Physics. AIP Publishing. 75 (4): 1896–1899. Bibcode:1994JAP....75.1896D. doi:10.1063/1.356336. ISSN 0021-8979.
  12. ^ Dowling, Jonathan P.; Bowden, Charles M. (1 July 1992). "Atomic emission rates in inhomogeneous media with applications to photonic band structures". Physical Review A. American Physical Society (APS). 46 (1): 612–622. Bibcode:1992PhRvA..46..612D. doi:10.1103/physreva.46.612. ISSN 1050-2947. PMID 9907901.
  13. ^ Kok, Pieter; Munro, W. J.; Nemoto, Kae; Ralph, T. C.; Dowling, Jonathan P.; Milburn, G. J. (24 January 2007). "Linear optical quantum computing with photonic qubits" (PDF). Reviews of Modern Physics. American Physical Society (APS). 79 (1): 135–174. arXiv:quant-ph/0512071. Bibcode:2007RvMP...79..135K. doi:10.1103/revmodphys.79.135. ISSN 0034-6861.
  14. ^ Lee, Hwang; Kok, Pieter; Williams, Colin P; Dowling, Jonathan P (28 July 2004). "From linear optical quantum computing to Heisenberg-limited interferometry". Journal of Optics B: Quantum and Semiclassical Optics. IOP Publishing. 6 (8): S796–S800. arXiv:quant-ph/0312169. Bibcode:2004JOptB...6S.796L. doi:10.1088/1464-4266/6/8/026. ISSN 1464-4266. S2CID 5701971.
  15. ^ 물리학 2, 225 (2005)의 개념 [1].
  16. ^ "Fellows" (PDF). www.aaas.org. Retrieved 7 June 2020.
  17. ^ "APS Fellow Archive". www.aps.org.
  18. ^ "2006 Fellows - Awards & Grants The Optical Society".
  19. ^ "The 2002 Willis E. Lamb Award for Laser Science and Quantum Optics". www.lambaward.org.
  20. ^ Louisiana State University (LSU). "LSU Faculty Awards 2012 LSU Academic Affairs". Lsu.edu. Retrieved 7 June 2020.
  21. ^ Louisiana State University (LSU). "Awards". Lsu.edu. Retrieved 7 June 2020.
  22. ^ Louisiana State University (LSU) (24 April 2017). "2017 Annual Physics & Astronomy Awards Ceremony Department of Physics & Astronomy". Lsu.edu. Retrieved 7 June 2020.
  23. ^ P., Dowling, Jonathan (7 May 2013). Schrödinger's killer app: race to build the world's first quantum computer. Boca Raton. ISBN 9781439896730. OCLC 746838207.
  24. ^ "Saturday Morning Breakfast Cereal - Jonathan Dowling". www.smbc-comics.com. Retrieved 3 July 2020.
  25. ^ "Taylor & Francis Group: Schrödinger's Web: Race to Build the Quantum Internet".{{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
  26. ^ 조나단 P의 "양자 기술: 제2의 양자 혁명"Dowling & Gerard J. Milburn; 2003년 8월 15일 발행; DOI:10.1098/rsta.227 [2]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