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너선 리치먼

Jonathan Richman
조너선 리치먼
2014JonathanRichmanNoNameBar.jpg
미네소타 주 Winona, Ed's의 Jonathan Richman(2014년)
배경 정보
태어난 (1951-05-16) 1951년 5월 16일(71세
보스턴, 매사추세츠, 미국
장르, 포크, 프로토펑크, 차고록
직업뮤지션, 싱어송라이터
기기기타, 보컬, 색소폰
액티브 년수1970–현재
라벨Beserkley, Rounder, United Artists, Twin Tone, Uppers, Rough Trade, Warner Brothers, Vapor, Blue Arrow

조너선 마이클[1] 리치먼(Jonathan Michael Richman, 1951년 [2]5월 16일 ~ )은 미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기타리스트이다.1970년, 그는 영향력 있는 프로토 펑크 밴드인 Modern Lovers를 결성했다.1970년대 중반부터 리치먼은 솔로로 일하거나 저음의 음향 및 전기 백으로 작업해 왔습니다.그는 이제 청력을 보호하기 위해 음향만 연주한다.그는 눈이 [3]휘둥그레지고, 꾸밈이 없고, 어린애 같은 시각과 록앤롤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세계 각국의 음악에 영향을 받는 음악으로 알려져 있다.

전기

초기 생활

매사추세츠 보스턴에서 태어나 나틱에서 유대인 [4]가정에서 자란 리치먼은 1960년대 중반부터 음악을 연주하고 자신의 노래를 쓰기 시작했다.그는 벨벳 언더그라운드에 푹 빠져 1969년 뉴욕으로 건너가 매니저 스티브 세스닉의 소파에서 지내며 잡일을 하며 전문 음악가로 들어가려 했다.이 일에 실패하여 는 보스턴으로 돌아왔다.

모던 러버스

10대 때는 화가가 될 줄 알았는데 소리가 나를 압도했다.어쩔 수 없이 노래를 지어낸 거예요.나는 내 감정을 표현할 필요가 있었다.그리고 여전히 그렇다.그게 내가 하는 일이야.관객이 없을 때 하고, 관객이 있을 때 해요그리고 제가 그림을 그릴 때도 그렇게 그려요.

Richman in a 2020 online thread[5]

리치먼은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에서 프로토 펑크 차고 록 밴드인 모던 러버스(Modern Lovers)를 결성했다.그룹의 다른 주목할 만한 멤버는 키보드 연주자 제리 해리슨과 드러머 데이비드 로빈슨으로 이들은 각각 나중에 [2]Talking Heads와 The Cars합류했다.

1972년, 그들은 프로듀서 케일과 함께 일련의 데모를 녹음했다.이 곡들 중에는 "로드러너"와 "파블로 피카소"가 있으며,[2] 결국 1976년 8월 그룹의 해체 후 앨범인 "모던 러버스"에 수록되었다.이 앨범은 글램과 프로그레시브 이 일반적이었던 당시 벨벳의 영향을 받은 기본적인 3코드의 록("로드러너"는 "시스터 레이"에 대한 오마주이다.

이후 1972년, 이 그룹은 프로듀서 킴 폴리와 함께 다른 음악들과 함께 몇몇 곡들을 재녹음했다.이 데모들은 1981년에 The Original Modern Lovers LP로 발매되었습니다.정기적으로 라이브로 연주했음에도 불구하고, 현대의 연인들은 음반 계약을 따내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1973년 후반, 리치먼은 녹음된 트랙을 폐기하고 올해 초 밴드가 버뮤다의 인버루리 호텔에서 레지던트 생활을 할 때 들었던 느긋한 지역 음악에 영향을 받아 좀 더 부드럽고 서정적인 사운드로 다시 시작하고 싶어했다.데뷔 앨범을 완성하기 위한 이러한 노력이 1974년 2월 오리지널 모던 러버스의 해체로 이어졌다.

조나단 리치먼과 현대의 연인

1975년 리치먼은 캘리포니아로 건너가 독립한 비서클리 레코드 레이블에서 솔로 가수/작곡가로 녹음했다.그의 첫 번째 음반 발매는 1975년 비서클리 차트버스터즈 편집본에 실렸으며, 어스 퀘이크 멤버와 루비누스의 지원을 받았다.수록곡 4곡은 비서클리가 발표한 싱글에도 수록됐다.

1976년 1월, 리치먼은 모던 러버스 드러머 데이비드 로빈슨, 전 루비노스 베이스 연주자 그렉 '컬리' 케라넨과 기타 연주자 리로이 래드클리프를 포함한 새로운 버전의 모던 러버스를 만들었다.현재 조나단 리치먼과 모던 러버스라는 새로운 그룹은 리치먼이 오리지널 모던 러버스들의 더 딱딱한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영향을 받은 일렉트릭 록에서 벗어나 1950년대 록앤롤과 팝을 혼합한 보다 부드러운 사운드로 전환하고 하모니 보컬에 더 큰 중점을 두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이 기간 동안 리치먼은 베리의 "Back in the USA", 전통적인 영적인 노래인 "Amazing Grace"와 "Angels Watching Over Me", 그리고 "Emaline", "Buzz, Buzzz, Buzzz, Buzzzzzzes"와 "Lydia"와 같은 오래된 팝송을 포함한 다른 작가들의 오리지널 노래와 소재를 혼합하여 녹음했다.

리치먼의 노래들은 직접적인 사랑 주제와 화성인, 레프레찬스, 아보미너블 스노우맨, 모기 등 좀 더 기발한 주제들을 섞었다.리치먼은 1977년 어린이 음악 스탠다드인 "The Wheels on the Bus"를 녹음하면서 모든 연령대의 청취자를 위한 음악을 만드는 데 관심을 보였다.

앨범 조나단 리치먼과 모던 러버스(Jonathan Richman and the Modern Lovers)는 오래된 모던 러버스 세션이 마침내 발매되기 3개월 전인 1976년 5월에 발매되었습니다.드러머 데이비드 로빈슨은 리치먼의 저음량 추구에 좌절하여 그룹을 떠나 릭 오카섹함께 밴드를 결성했다.

3인조로서 몇 달을 보낸 후, 리치먼은 새로운 드러머인 D를 찾았다.보스턴의 아방가르드 재즈 연주자 샤프는 후에 피아니스트 칼라 블리의 밴드에 합류했다.

1977년 Rock & Roll with the Modern Lovers가 발매되었고, 이 음반이 유럽에서 차트에 오르기 시작하자 케라넨은 대학을 다니기 위해 그룹을 떠났다.라이브 앨범인 Modern Lovers Live가 1978년에 발매되었고,[2] 베이스는 아사 브레브너가 맡았다.

Jonathan Richman,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밴쿠버, 키실라노, Soft Rock Cafe에서 산다(1984년)

영국에서 리치먼은 펑크 록계의 시조로 인정받았고, 그의 싱글들 중 몇 개는 히트했다."로드러너"는 영국 싱글 차트 11위에 올랐고 후속곡인 "이집트 레게"는 1977년 [6]말에 5위에 올랐다."Egyptian Reggae"는 자메이카 음악가 얼 제로의 레게 곡 "None Shall Escape the Judition"의 버전으로, 제로는 리치먼의 후기 버전의 [7][8]트랙에서 공동 작가로 인정받았다.

"Back in Your Life"는 1979년에 "Jonathan Richman and the Modern Lovers"라는 별명으로 발매되었지만, 절반 정도만이 백업 밴드를 등장시켰다.그 앨범의 균형은 Richman이 독주하는 것이었다.이 버전의 현대 연인들의 마지막 결별 이후, 리치먼은 몇 년 동안 안식년을 보내 메인 주 애플톤에 머물며 메인 주 벨파스트의 지역 바에서 연주를 했다.

1981년까지 리치먼은 조나단 리치먼과 모던 러버스라는 밴드명으로 다양한 음악가들의 조합과 함께 다시 한번 녹음과 투어를 하고 있었다.투어 밴드는 1981년 일부 기간 동안 5명의 백업 뮤지션과 함께 베이스 연주자 컬리 케라넨, 드러머인 Ken Forfia, 보컬이자 기타리스트인 엘리 마샬, 보컬 베스 해링턴과 함께 뉴욕 바텀 라인에서 공연을 가졌다.이 확장된 모던 러버스 그룹은 조나단 싱스, 록앤로맨스, 그리고 조나단 리치먼과 모던 러버스 앨범에서 많은 음악을 녹음할 것이다.

1981년부터 1984년까지 리치먼은 케라넨과 마샬과 함께 라이브로 가장 많이 연주했다.1985년, 그룹은 재편성되었고 베이스 연주자 아사 브레브너와 드러머 앤디 페일리로 구성되었다.1986년부터 1988년까지 리치먼의 콘서트의 대부분은 기타리스트 브레넌 토튼과 드러머 조니 아빌라와 함께 연주되었다.1987년 라운더 레코드와 계약한 리치먼은 모던 러버스(Modern Lovers)라는 그룹명을 사용해 마지막 앨범을 녹음했다.그 후, "현대 연인들"이라는 별명은 퇴출되었다.

솔로

리치맨 2014년 솔로곡

1988년부터 1992년까지 리치먼은 주로 그의 라운더 앨범 조너선 리치먼(1989년), 조너선 고즈 컨트리(1990년), 해빙파티 위드 조너선 리치먼(1991년)을 지원하기 위해 솔로 활동을 했다.I Jonathan 앨범(1992년)이 발매될 무렵, 그는 드러머 Tommy Larkins(자이언트 샌드, 야드 트라우마, 네이키드 피이트 등)와 퍼포먼스 듀오를 결성해 25년 이상 Richman과 함께 연주하고 녹음했다.

1993년, 그는 "Hot Nights"라는 트랙을 레드 핫 기구가 제작한 에이즈 치료 앨범 "No Alternative"에 기고했다.

항상 열렬한 컬트 추종자를 가지고 있던 리치먼은 1990년대에 코난 오브라이언과 함께 레이트 나잇에 연달아 출연한 덕분에 더 잘 알려지게 되었다.또 다른 경력 상승은 1998년 패럴리 브라더스의 영화 "There's Something About Mary"로 이루어졌는데, 리치먼과 라킨스는 그리스 합창단 2인조로 구성되었는데, 이 영화에서 그들은 액션을 틀에 넣은 상태에서 그들의 음악을 연주하면서 줄거리를 논평했다.그는 또한 패럴리 브라더스 영화 킹핀의 술집 장면에 잠깐 출연했고 2005년 코미디 영화 피버 피치에서 "As We Walk to Fenway Park"를 불렀다.

리치먼은 1990년대와 2000년대에 걸쳐 계속해서 앨범을 발매했는데, 스페인어 조나단, 테바스 a Emocionar! (1994년), You Must Ask the Heart (1995년), Surrend to Jonathan (1996년), I'm So Confused to Jonathan (1998년), Her Mystery Not of High Hill and Shadow (2001년) 등이 그 뒤를 이었다.1998년, 1970년대 초반의 모던 러버스 레코딩 라이브 앨범인 Live at the Long Branch & More가 발매되었습니다.2002년에 라이브로 촬영된 퍼포먼스Take Me to the Plaza」가 DVD로 발매되었습니다.

리치먼의 가장 최근 앨범은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에 있는 블루 애로우 레코드: 2016년 Ishkode! Ishkode!, 2018년 SA, 2022년 내 [9]방문?

악기와 테크닉

리치먼의 미니멀리즘 작곡 스타일은 엉뚱하고 어린아이 [10]같다고 묘사되어 왔다.그는 이렇게 말했다. "저는 글을 쓰지 않습니다.그냥 노래를 [11]만들어요.Richman은 경력을 통해 다양한 일렉트릭 기타와 어쿠스틱 기타를 연주해 왔습니다.1970년대 초반의 홍보 및 콘서트 사진(예: Precision Modern Lovers Order 앨범에서 재현된 사진)에서 리치먼은 흰색 펜더 스트라토캐스터를 사용하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그는 후에 스트라토카스터 디자인에 대한 애정을 표현하는 곡 ("Fender Stratocaster")을 썼다.

1970년대 후반, 그의 그룹 "The Modern Lovers"와 함께 일하면서, 리치먼은 종종 펜더 재즈 마스터를 연주했다.그는 [12]1978년 9월 16일 촬영된 네덜란드 TV 프로그램 탑팝에서 이 기타를 연주하는 것을 볼 수 있다."이집트 레게" 싱글의 표지에 사용된 동시대의 무대 사진은 리치먼이 태양 폭발의 스트라토캐스터를 연주하는 것을 보여준다.

Rock and Roll with the Modern Lovers 앨범과 같은 1970년대 후반 스튜디오 녹음에서도 리치만이 나일론 현의 어쿠스틱 기타를 연주했다.1979년 프랑스 TV 공연과 The Best of Jonathan Richman and The Modern Lovers 표지 사진에서 리치먼은 1970년대 후반의 이바네즈 모델 2453을 연기합니다.CW 할로우바디 일렉트릭 기타, 10년 후 [13]그가 널리 사용하게 될 에피폰과 비슷한 스타일의 기타.

1980년대 초중반, The Modern Lovers와 함께 일하면서 리치먼은 종종 하모니 헐리우드 할로우바디 일렉트릭 기타를 연주하는 사진이 찍혔다.이 기타는 리치먼의 'It's Time For' 앨범 뒷표지에 나와 있습니다.1980년대 후반, 리치먼은 금발의 1980년대 에피폰 리젠트 중공 전기 기타를 사용하여 솔로 콘서트를 자주 열었습니다.그가 조나단 리치먼과 함께 하는 파티 CD의 뒷표지에서 이 기타를 들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리치먼은 1992년 드러머 토미 라킨스와 듀오로 공연을 시작했을 때 여전히 그의 에피폰 리젠트를 무대에서 사용하고 있었다.깁슨 SG를 포함한 무대에서 다른 일렉트릭 기타를 잠시 연주한 후 리치먼은 나일론 현의 어쿠스틱 기타(클래식 및 플라멩코 스타일의)만을 연주하는 것으로 전환했다.리치먼은 1990년대 중반부터 나일론 현악기타를 연주해 왔다.

나일론 현의 어쿠스틱 기타로 바꾼 후, 리치먼은 처음에는 픽을 사용하여 그의 일렉트릭 기타 연주와 비슷한 스타일로 연주했습니다.결국 그는 기타 픽과 기타 스트랩을 모두 사용하지 않고 손가락으로만 연주하는 것을 선호했고 기타 연주, 춤 연주, 타악기 [14][15]연주 사이를 자주 오갔다.

리치먼은 또한 펜더 텔레캐스터와 다른 전기 및 어쿠스틱 기타를 연주하는 사진도 찍혔으며, 그는 그의 소리에 특별한 악기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리치먼은 2006년 척 프로핏과의 인터뷰에서 "기타가 아니라 연주자"라고 말했다.사실, 최근에 제가 쓴 플라멩코 기타는 진짜 플라멩코 기타도 아니에요.이건 제대로 된 나무가 아니에요.호두로 만들었습니다.탱글탱글해요.샀는데 [16]마음에 들어요.

1980년대 초중반 리치먼은 The Modern Lovers와 함께 하는 콘서트에서 테너 색소폰을 자주 연주했다.그는 그의 Modern Lovers 88 앨범에 수록된 곡인 "캘리포니아 사막 파티"에서 이 악기를 연주하는 것을 들을 수 있다.앨범에는 커버 사진에서 그가 악기를 들고 있는 모습도 담겨 있다.

사생활

그의 첫 번째 결혼은 1982년 버몬트의 게일 클룩과 결혼하여 딸 제니 레이와 아들 제이슨(이전 관계에서 게일의 아들)을 두었다.이 결혼은 '조나단에게 항복하라'(1996년) 개봉 직전에 이혼으로 끝났다.

2003년 리치먼은 캘리포니아 [17][18]치코의 니콜 몬탈바노와 결혼했다.그녀는 앨범 Not So Much to Be Loved to Love (2004)에서 보컬을 지원했다.

리치먼은 또한 치코에서 피자 오븐과 다른 [19][20]프로젝트를 만드는 아르케인 메이슨리라는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영향을 주다

2009년 바르셀로나 리치맨

현대 연인들의 첫 화신인 리치먼의 작품은 펑크록에 큰 영향을 끼쳤다.한 평론가는 그를 "펑크의 대부"[21]라고 불렀다.두 번째 솔로 앨범에서 브라이언 에노는 가사에서 리치먼의 밴드를 언급했고, 섹스 피스톨스조안 제트는 1970년대에 "로드러너"를 커버한 최초의 유명 아티스트 중 하나였다.버닝 센세이션스가 공연한 "파블로 피카소" 버전은 1984년 컬트 영화인 레포맨에 포함되었다.데이비드 보위는 앨범 Reality에서 "Pablo Picasso"를 커버했다.벨벳 언더그라운드의 창립 멤버 존 케일은 1975년 앨범 'Helen of Troy'에 수록되어 있으며 그의 라이브 쇼에 이 곡을 계속 수록하고 있다.이기팝은 '파블로 피카소'를 라이브로 공연하고 추가 소절을 썼다.에코와 버니맨은 1984년과 1985년 콘서트에서 "She Cracked"를 커버했고 수시와 밴시다운다운 에서 이 노래를 불렀다.

리치먼의 음악은 많은 얼터너티브 록 밴드들의 분위기를 설정했다. 예를 들어, "Prigent Femmes", "Galaxie 500", "The Might Be Giants" (로드러너는 존 플랜스버그가 음악가가 되도록 영감을 주었다고 알려짐), "The Man Who Who Who Who Woo" ("라는 헌사를 작곡한 가수인 위저, 툴리크래프트, 옌스 레크만, 프랭크 블랙 등이 있다.홀드 스테디 & 리프터 풀러, 맥 드마르코, 네르프 허더는 그에 대한 노래를 작곡했으며, 이는 밴드의 두 번째 앨범 하우미트 걸스에 수록되었다.영국의 컨트리 록 밴드 락킹버드는 1992년 리치먼에게 경의를 표하기 위해 싱글 "조나단, 조나단"을 발매했다.사일로들은 또한 현대 연인들의 "나는 곧다"를 다루었다.보스턴 스카펑크 밴드 D와 키즈 테이블은 집시EP에서 리치먼의 노래 "뉴 잉글랜드"도 커버했습니다.2001년 윔퍼스 멀티미디어에 의해 조나단 리치먼의 음악에 대한 헌정 앨범 If I Were a Richman: a Trivent to the Music of Jonathan Richman'이라는 헌정 앨범을 발표했다.

모던 러버스의 노래 "로드러너"가 영화 School of Rock 사운드트랙에 수록되어 있다.해설에서, 리차드 링클레이터 감독은 이 곡을 종종 "첫 번째 펑크 노래"라고 부르는데, 그 이유로 이 곡을 그 영화의 다른 모든 세밀 록 노래와 함께 포함시키고 싶다고 언급했습니다.래퍼 M.I.A는 2007년 앨범 칼라에서 "로드러너"의 오프닝 가사를 "Bamboo Banga" 곡에 포함시켰다.

프로듀서로서 리치먼과 드러머 토미 라킨스는 2009년에 Vapor Records에 등장한 빅 체스넛의 마지막 앨범인 Skitter on Take-Off를 제작했다.Chesnutt는 Richman의 말년에 여러 번 콘서트에서 그를 위해 문을 열었다.

음반 목록

스튜디오 앨범

1980년대 후반 도쿄에서 에피폰 리젠트 역을 맡은 조나단 리치먼

모던 러버스

조나단 리치먼과 현대의 연인

조너선 리치먼

라이브 앨범

  • 현대 연인들 '살아' (1977년)
  • Longbranch Saloon에서의 라이브 (1992)
  • 정확한 현대 연인 주문서(1994년)
  • Live at the Longbranch and More (1998)

(이 마지막 3장의 라이브 앨범은 1971-3년 같은 공연에서 나온 것이지만, 몇 곡의 다른 곡을 더하고 뺍니다.마지막 두 곡을 합치면 모든 곡이 수록됩니다.)[2]

컴파일

  • 조나단 리치먼 송북(1979년)
  • Beserkley Years: 조나단 리치먼과 현대 연인들의 최고(1986년)
  • 메가히트(1988)
  • 조나단 리치먼과 현대의 연인들의 23대 음반 (1990년)
  • 상냥함을 호소하다(1995년)
  • Radio On: Stop and Shop with the Modern Lovers (1997년)
  • 는 왕이 되어야 한다 (1998년)
  • 로드러너 (1998년)
  • The Best of Jonathan Richman & the Modern Lovers (1999년)
  • 이집트 레게 (2000)
  • 인트로스펙티브 (2000)
  • 액션 팩: 더 베스트 오브 조나단 리치먼 (2002)
  • 로드러너, 로드러너: 비서클리 컬렉션 (2004)
  • 뱀파이어 걸 (2006)
  • No Me Qujo De Mi Estella (2014년)

다양한 아티스트 편집출연

  • "로드러너"와 "정부 센터"의 대체 버전은 "뉴 텔러"와 "잇 윌 스탠드"와 함께 비서클리 차트버스터즈 1권(1975)에 처음 등장했다.
  • 현대 연인 킴 파울리가 제작한 비서클리 세션의 "나는 곧다"와 "정부 센터"는 워너 브라더스에 처음 등장했다. 컴필레이션 트러블 메이커(1980년)를 기록.
  • 헌정앨범 '검비 좋아'(1989년)
  • 레드조직이 제작한 HIV/AIDS 자선 앨범 No Alternative (1993)의 "Hot Nights" (라이브).
  • 머스타파에 대한 생각(1994)에 관한 '머스타파'와 '머스타파(Instrumental)'.
  • "Broken Promits"는 레이너 프타섹 헌정 앨범 The Inner Flame (1997년)[23]에 수록되었다.
  • Kinks 헌정 앨범 This Is Where I Belong (2002)의 "Stop Your Sobbing".
  • '사랑의 기원'(2003년), '가발 인 어 박스'.
  • 2006년 자선 앨범 "Colors Are Wrighter"에 수록된 "우리 개는 이제 늙어가고 있어요"

싱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미국의 문제

  • "로드러너" / "잇 윌 스탠드" (United Artists UP36006, 1975)
  • "로드러너" / ("Friday on My Mind" by Earth Quake") (Besercle B-4701, 1976)
  • "로드러너 (Once)" / "로드러너 (Twice)" (Besercley BZ 1, UK, 1976년)영국 No[22]. 11
  • '로드러너' / '파블로 피카소' (비저클리 PA-205, 1976년)
  • '뉴잉글랜드' / '화성의 화성인들이 온다' (Besercley B-5743, 1976)
  • "이집트 레게" / "아이스크림맨" (베서클리 6.1217, 1977)
  • '이집트 레게' / '바다의 롤러코스터'(Beserkley BZ2, UK, 1977)영국 No.5,[22] AUS No[24].50
  • "The Morning of Our Lives (Live)" / "Roadrunner (Thrice) (Live)" (Besercley BZ7, UK, 1977) 영국 No.29[22]
  • "뉴잉글랜드(라이브)" / "아스트랄 플레인(라이브)" (Besercley BZ 14, 영국, 1978년)
  • '압둘과 클레오파트라' / '아스트랄 플레인 (라이브)' (비서클리 11813, 1978)
  • '압둘과 클레오파트라' / '오 캐롤' (Besercley BZ 19, 영국, 1978년)
  • "버즈, 버즈, 버즈" / "압둘과 클레오파트라" (비서클리 6.12 311, 1978)
  • "Buzz, Buzz, Buzz" / "병원 (라이브)" (BZ 25, 영국, 1978년)
  • 마이 리틀 쿠켄하켄 / 로드러너 (스라이스) (라이브) (비서클리 11819, 1978)
  • '남미 민요(라이브)' / '아이스크림맨(라이브)'(1978)
  • "Lydia" / "Important in Your Life" (BZ 28, 영국, 1979년)
  • '그 여름의 느낌' / '이런 음악' (1984)
  • '그 여름의 느낌' / '이런 음악' / '태그 게임' (러프 트레이드 RTT 152, 영국, 1984년)
  • "나는 이제 막 살아간다" / "Circle I" (1985년)
  • "나는 이제 막 살기 시작했다" / "Circle I" / "Shirin and Fahrad" (Rough Trade RTT 154, 영국, 1985년)
  • '캘리포니아 사막 파티' / '하포가 하프를 연주할 때' (DRD 1D474, 스페인, 1988년)
  • '이집트 레게' / '로드러너' (1989)[2]

레퍼런스

  1. ^ 2011년 11월 2일 Wayback Machine에서 보관된 Jonathan Richman의 ASCAP 레코드
  2. ^ a b c d e f Strong, Martin C. (2000). The Great Rock Discography (5th ed.). Edinburgh: Mojo Books. pp. 814–815. ISBN 1-84195-017-3.
  3. ^ Henriquez, Ryan S. "Concert review at". Popmatters.com. Retrieved September 4, 2012.
  4. ^ Beeber, Steven Lee (2008). The Heebie-Jeebies at CBGB's: A Secret History of Jewish Punk. Chicago, Illinois: Chicago Review Press. pp. 49–62. ISBN 978-1556527616.
  5. ^ "저는 프로 가수이자 음악가인 조나단 리치먼입니다." 레딧, 2020.2021년 8월 20일 취득
  6. ^ Roberts, David (2006). British Hit Singles & Albums (19th ed.). London: Guinness World Records Limited. p. 462. ISBN 1-904994-10-5.
  7. ^ "The Originals by Arnold Rypens". Originals.b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14, 2012. Retrieved September 4, 2012.
  8. ^ "View topic – Egyptian Reggae – Jonathan Richman video clip !". Bloodandfire.co.uk. May 16, 2006. Retrieved September 4, 2012.
  9. ^ "Jonathan Richman". Bluearrowrecords.com. Retrieved October 21, 2018.
  10. ^ Greenman, Ben (November 17, 2013). "World on a String". The New Yorker. Retrieved October 6, 2015.
  11. ^ "Interview With Jonathan Richman". Synthesis Weekly. August 23, 20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7, 2015. Retrieved October 6, 2015.
  12. ^ "Jonathan Richman & The Modern Lovers - TopPop Special". Youtub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11, 2021. Retrieved May 5, 2019.
  13. ^ "Jonathan Richman 1979 live french TV". Youtub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11, 2021. Retrieved May 5, 2019.
  14. ^ Testa, Jim (October 21, 2018). "Jonathan Richman, truly one of a kind, entrances crowd at White Eagle Hall". njarts.net. Retrieved May 5, 2019.
  15. ^ "Concert Review: Jonathan Richman". thepitchkc.com. June 30, 2009. Retrieved May 5, 2019.
  16. ^ Prophet, Chuck (May 30, 2006). "Talking Fender Trash with Jonathan Richman". chuckprophet.com. Retrieved May 5, 2019.
  17. ^ "Descendants of Peter Montalbano - aqw03.htm". Montalbano.org. Retrieved September 4, 2012.
  18. ^ "CN&R > Music > '2 big sets, 2 big nights' > 01.30.03". Newsreview.com. January 30, 2003. Retrieved September 4, 2012.
  19. ^ K. Ross Hoffman, "Jonathan Richman - 스톤 메이슨, 명상가, 나의 개인적인 Rock'nroll 영웅 - 어떻게 나의 펜팔 친구가 되었는가", The Key, 2016년 4월 5일.2021년 8월 20일 취득
  20. ^ "Jonathan Richman Hand-Set Story", 신뢰할 수 있는 레터 프레스, 2010년 1월 28일.2021년 8월 20일 취득
  21. ^ "Brilliant Careers: Jonathan Richman" 2007년 2월 11일, 2001년 9월 4일 살롱웨이백 머신에서 아카이브.
  22. ^ a b c d "Official Charts Company". Officialcharts.com. Retrieved November 13, 2018.
  23. ^ "Various Artists - the Inner Flame: A Tribute to Rainer Ptacek Album Reviews, Songs & More AllMusic". AllMusic.
  24. ^ Kent, David (1993).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illustrated ed.). St Ives, N.S.W.: Australian Chart Book. p. 252. ISBN 0-646-11917-6.

추가 정보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