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르헤 카우즈
Jorge Cauz호르헤 아길라르 카우즈(Jorge Aguilar Cauz)[1][2]는 멕시코 혈통의 미국인 사업가로, 전 대통령이자 현재 백과사전 브리태니커(Britannica) 발행인으로, 2021년 5월 11일 임명된 직책이다.
교육
카우즈는 노스웨스턴대 켈로그 경영대학원 출신으로 브리태니커에 입사하기 전에는 안데르센 컨설팅과 A사의 경영 컨설턴트를 지냈다.T. 키어니.[3][4]
브리태니카 경력
카우즈는 1999년 브리태니카에 컨설턴트로 채용된 뒤 사장 선임에 앞서 다양한 임원(국제업무 수석부사장, 인터넷업무 최고운영책임자 등)을 역임했다. 그 기간 동안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전디지털 판을 발간하는 등 회사의 마케팅 전략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3]
카우즈의 임기 중 핵심 측면 중 하나는 백과사전 사업에서 인터넷이 기회이자 위협으로 부상했다는 것이다. 2000년 한 인터뷰에서, 카우즈는 인터넷이 지배하는 시장에서 "관련될 수 있도록 자유로워야 한다"[5]고 말했다. 브리태니카는 그 당시에 백과사전의 무료 온라인 버전뿐만 아니라, 무삭제 콘텐츠에 기꺼이 돈을 지불할 용의가 있는 독자들을 위한 온라인 구독을 도입했다. 그의 재임 이후 브리태니카는 사업모델을 디지털 출판사 모델로 전환하는 데 성공했고 수익은 낮은 반면 브리태니카는 2004년부터 수익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6]
2018년 카우즈는 브리태니카의 '고문'[1]이 됐다. 2018년부터 2021년까지 가족기금 운용, 브리태니커 지식시스템즈 이사,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그룹 이사, MIR 벤처스 매니지먼트 파트너 등을 역임했다.[citation needed]
브리태니카와 영어 위키백과
카우즈 임기 동안 브리태니카 관계자들은 위키피디아에 대한 비판에 거리낌 없이 나서게 되었는데, 많은 (비평가 포함) 이 위키피디아는 카우즈가 평가절하한 [7]위협인 브리태니카에 대해 상당한 경쟁적 위협으로 보고 있다.[8][dead link] 2006년 7월, 카우즈는 뉴요커에서의 인터뷰에서 개인적으로 논쟁에 뛰어들었는데, 이 인터뷰에서 그는 위키피디아는 "우아메리칸 아이돌이 줄리아드 스쿨에 있는 것처럼 브리태니카에게" "불규칙하고, 신뢰할 수 없는, 그리고, 그리고, 여러 번 읽을 수 없는, 평범한 글들로 선언할 것이다"라고 말했다.[9]
2008년 카우즈는 EB에서는 백과사전 콘텐츠의 온라인 협업에 참여하기 위한 새로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객관성과 높은 품질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전문가를 인정하는 것이 요구조건이라고 강조했다.[10] 2008년 4월, EB는 지식을 문서화하기 위해 "전문가의 말을 듣는다"는 WebShare라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2009년 1월 카우즈는 검색 순위에서 "내가 구글 CEO나 구글 창업자가 된다면 세계 최고의 검색엔진이 계속 제1의 링크인 위키피디아로 제공하는 것이 매우 [완전]할 것"이라며 "이것이 그들이 할 수 있는 최선인가"라고 비판했다. 이것이 [their] 알고리즘이 할 수 있는 것이다.[11]
2012년 3월 브리태니카가 인쇄된 백과사전 판매를 중단하겠다고 발표했을 때, 카우즈는 "브리태니카는 그렇게 클 수는 없지만, 사실적으로 항상 정확할 것"이라고 위키피디아의 더 큰 크기를 언급했다.[12]
참고 항목
참조
- ^ Jump up to: a b "Jorge Cauz Named CEO of the Britannica Group" (Press release). Encyclopedia Britannica Group. 11 May 2021.
- ^ "Jorge Cauz". Bloomberg L.P. Retrieved 2021-06-05.
- ^ Jump up to: a b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보도자료: 호르헤 카우즈 백과사전 2006-06-29 웨이백머신에 보관된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사장 지명
- ^ 브리태니카 블로그 프로필
- ^ 도트-커뮤니즘이 백과사전을 폐업시키는 방법 2006-08-10년 웨이백머신에 보관된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 ^ John Keilman (2008-11-03). "Encyclopædia Britannica Helps Prove That With Information, You Often Get What You Pay For". Chicago Tribune. Retrieved 2009-11-29.
- ^ Nicholas Carr (2005-10-03). "The amorality of Web 2.0". Rough Type. Retrieved 2006-07-15.
- ^ Leslie Walker (2004-09-09). "Spreading Knowledge, The Wiki Way". Washington Post. Retrieved 2006-07-26.[데드링크]
- ^ Schiff, Stacy (2006-07-31). "Know It All". The New Yorker.
- ^ 2008년 6월 3일 협력과 전문가의 목소리
- ^ Hutcheon, Stephen (2009-01-22). "Watch out Wikipedia, here comes Britannica 2.0". The Sydney Morning Herald. Retrieved 2021-06-04.
- ^ Bosman, Julie. "After 244 Years, Encyclopaedia Britannica Stops the Presses". Media Decoder Blog. Retrieved 2018-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