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세 알레한드리노

José Alejandrino
호세 알레한드리노
1901년 아내와 함께 알레한드리노
필리핀 제12대 상원의원 선거구
재직중
1923년 11월 13일 ~ 1928년 7월 14일
임명자레너드 우드
앞에테오피스토는 긴고나 시니어.
성공자마누엘 카뮈
팜팡가 주지사
재직중
1900–1901
앞에프란시스코 디종
성공자프레데릭 덴트 그랜트
대한민국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재직중
1898년 6월 23일 ~ 1899년 1월 21일
앞에직급설정
성공자그라시오 곤자가(복지부 장관)
말로로스 의회 의원
재직중
1898년 9월 15일 ~ 1899년 11월 13일
선거구카탄두아네스
인적사항
태어난
호세 칸디도 알레한드리니 막당갈

(1870-12-01)1870년 12월 1일
비논도, 마닐라, 필리핀 대장, 스페인[1] 제국
죽은1951년 6월 1일(1951-06-01)(80세)
필리핀 마닐라
정당대중 전선(1941)
데모크라타 (1923-1928)
무소속 (1898–1901)
관계마머토 나티비다드 시니어 (처남)
마머토 나티비다드 (조혼)
호세 살바도르 알레한드리노 나티비다드 (조카)
베니토 나티비다드 (조혼)
모교산토 토마스 대학교 (BA)
겐트 대학교
직종.정치인
직업기사.
병역
얼라이언스 필리핀 제1공화국
근속연수1896–1901
순위 소장
전투/전쟁필리핀 혁명
필리핀-미국 전쟁

호세 칸디도 알레한드리니 막당갈(José Candido Alejandrinoy Magdangal[1], 1870년 12월 1일 ~ 1951년 6월 1일)은 필리핀 혁명 필리핀-미국 전쟁 기간 동안 필리핀 공화국군장군이었습니다.

그는 또한 필리핀 제12 상원의원 선거구 출신의 상원의원이었습니다.[2]

초기생

알레한드리노는 1870년 12월 1일 마닐라에서 팜팡가 아라야트 출신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처음에 마닐라의 아테네오 시립에서 공부했으며, 그의 동시대 사람들 중에는 호세 리잘, 후안 아라네타, 카예타노 아렐라노, 아폴리나리오 마비니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는 산토 토마스 대학에서 예술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고, 스페인과 겐트 대학에서 공부하여 화학 공학 학위를 받았습니다.[3]

프로파간다 무브먼트

스페인에 있는 동안, 그는 스페인과 필리핀 사람들을 위한 평등, 특히 식민지 행정에서의 평등한 기회를 요구하는 선전 운동의 일원들 중 한 명이었습니다. 그는 또한 1872년부터 해외에 거주하는 필리핀 자유주의자들로 구성된 단체인 La Solidaridad의 기여자였으며, 대부분 유럽 전역의 다른 대학에 다녔습니다. 이 단체는 식민지인 필리핀의 필요성에 대한 스페인의 인식을 높이고 군도와 스페인 사이의 더 긴밀한 관계를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4] 알레한드리노는 벨기에 겐트에서 출판된 엘필리버스터리스모의 오류를 수정하는 데 호세 리잘을 도왔습니다. 그는 또한 해당 원고의 사본을 배포하는 것을 도왔습니다.[3]

아기날도가 그 제안을 받아들이자, 알레한드리노는 홍콩으로 가서 펠리페 아곤치요, 호세 마리아 바사, 마리아노 폰세와 함께 콘세조 혁명을 조직하는 것을 도왔습니다. 이후 그는 미국의 합병을 지지하는 바사와 도로테오 코르테스가 이끄는 원이 아닌 필리핀 독립을 옹호하는 라솔다리다드의 수장이었던 아곤치요와 갈리카노 아파시블이 포함된 홍콩 위원회의 일원이 되었습니다. 1897년 2월, Alejandrino는 혁명가들을 위해 더 많은 무기를 얻기를 희망하며 일본으로 갔습니다.[3] 그는 1897년 12월 14일에 체결된 비아크나바토 조약에 따라 아기날도가 홍콩으로 망명했을 때 아기날도와 함께 있었습니다.[5]

필리핀-미국 전쟁과 전후의 생활

베니토 나티비다드 장군(좌측에서 2번째), 중령. 호세 알레한드리노(오른쪽에서 2번째)와 그들의 보좌관들은 캠프를 마쳤습니다.

1898년, 알레한드리노는 말롤로스 의회에서 일했고, 말롤로스 헌법 초안을 만든 두 위원회의 일원이 되었습니다. 9월 26일, 그는 농공상무부장의 직책을 맡게 되었습니다. 이후 아기날도는 알레한드리노를 육군 공병대장으로 임명하고, 불라칸칼루칸을 포함한 여러 지역에 참호를 건설하도록 지휘했습니다.[3]

알레한드리노와 그의 친구 안토니오 루나 장군은 철도를 점령하려는 미군의 북진을 지연시키기 위해 노발리체에서 칼루칸까지 방어선을 건설할 것을 에밀리오 아기날도 대통령에게 제안했습니다. 그러나 루나 장군이 아기날도에 충성하는 군대에 의해 살해되었기 때문에 이것은 실행되지 않았습니다. 대통령은 나중에 붙잡혔고 1901년 4월 29일 프레더릭 펀스턴 장군에게 무조건 항복했습니다.[6] 1901년 4월 12일, 알레한드리노는 개혁주의자 텔레스포로 추이디언의 딸인 아델라 추이디언과 결혼했습니다.[7] 같은 해 8월, 알레한드리노는 마닐라의 두 번째 도시 엔지니어로 일하겠다는 제안을 받아들였습니다.[6] 1925년, 총독 레너드 우드는 그를 필리핀의 12번째 상원의원 선거구의 상원의원으로 임명했습니다. 그는 1951년 6월 1일에 세상을 떠났습니다.[6]

저작물

  • 라 센다희생리오 (1949)[8]

미디어 묘사

참고문헌

  1. ^ a b "Film # 007772461 Image Film # 007772461; ark:/61903/3:1:3Q9M-CSMF-G92L-2 — FamilySearch.org". FamilySearch. Retrieved September 22, 2017.
  2. ^ "List of Previous Senators". Senate of the Philippin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23, 2007. Retrieved April 1, 2007.
  3. ^ a b c d "José Alejandrino". Senate of the Philippines. Retrieved 22 May 2012.[데드링크]
  4. ^ Dolan, Ronald E. (1991), "José Rizal and the Propaganda Movement", Philippines: A country study, Washington, D.C.: GPO for the Library of Congress
  5. ^ Agoncillo, Teodoro (1990) [1960]. History of the Filipino People (8th ed.). Quezon City: Garotech Publishing Inc. ISBN 971-10-2415-2.
  6. ^ a b c "April 29, 1901: General Jose Alejandrino surrenders in Pampang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September 2011. Retrieved 4 September 2012.
  7. ^ Pedrosa, Carmen. "Contribution of Chinese-Filipinos to the country". The Philippine Sta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April 2017. Retrieved 19 April 2017.
  8. ^ Ocampo, Ambeth R. (June 24, 2011). "Love in the time of revolution". Philippine Daily Inquirer. Retrieved May 25,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