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세 마리아 로사
José María Rosa호세 마리아 로사 | |
---|---|
![]() | |
태어난 |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 1906년 8월 20일
죽은 | 1991년 7월 2일 | (84세)
필명 | 페페 로사 |
언어 | 스페인어 |
문학운동 | 역사수정주의 |
주목할 만한 작품 | 히스토리아 아르헨티나 |
서명 | ![]() |
페페 로사로도 알려진 호세 마리아 로사(José Maria Rosa, 1906년 8월 20일 ~ 1991년 7월 2일)는 아르헨티나의 역사가로, 아르헨티나 민족주의 수정주의 역사학자들 중 가장 주목받는 역사학자 중 한 명이었다.
전기
로사는 1906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태어났다.그는 법학을 공부했고, 후에 고등학교와 대학에서 역사를 가르쳤다.1938년 산타페에 연방주의 연구소를 설립하여 수정주의 관점에서 아르헨티나의 역사를 연구하였다.그의 과거에 대한 관점은 현대 국가의 비판자들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었고, 5월 혁명 이후 국익의 국가 권력에 대한 경시 현상이 계속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였다.[1]후안 마누엘 드 로사스의 긍정적인 이미지와 더불어 그러한 관점들은 모든 수정주의자들이 공유했지만, 페론주의의 상승에 의해 분열되었다.페론 반대파였던 훌리오 이라주스타와는 달리 로사는 그의 정부를 지지했다.그의 지지는 레볼루시온 리베르타도라가 페론을 상대로 쿠데타를 시도했을 때 증가했다; 그는 페로니스트의 저항군에 가담할 것이다.
거기서부터 로사는 아르헨티나 인구의 역사에서 일하기 시작했는데, 그는 때때로 잠재적으로 혁명적인 것으로 보았지만, 항상 상류층에게 억압당한다.그는 페로니즘을 사회의 지연된 변화를 촉진할 수 있는 혁명적인 운동으로 보았다.[2]그는 1956년 아람부루에 대항한 발레 장군의 실패한 시도를 지지했다.정치적 반발을 우려해 우루과이로 건너간 뒤 스페인으로 건너가 1958년 돌아왔다.그는 후안 마누엘 드 로사스 국립역사연구소에 들어가 여러 차례 총장이 되었다.그는 페론 제3정부 때 파라과이 주재 대사로 임명되었다. 그는 그의 죽음에 따라 사임하고 그리스로 이주했다.그는 국가재편 과정에서 돌아왔지만, 그의 책들은 금지되어 공공도서관에서 반출되었다.그는 리네아라는 잡지를 창간했는데, 이 잡지는 여러 차례 검열을 받았다.1991년 7월 2일 사망하였다.
그의 요청으로 11월 20일은 1845년 부엘타 데 오블리주도의 전투를 기념하여 국권의 날(디아 데 라 술레스타니아 나시오날)로 선포되었다.아르헨티나의 역사에 대한 그의 생각은 두드러지게 받아들여졌고, 그의 추종자들에 따르면, 그것들은 현재 주류로 받아들여지고 있다.[3]
작동하다
- 마스알라 델 코디고 (코드 너머) (1933년)
- 역사 해석학 (역사의 종교 해석) (1936)
- 데펜사 이 페리다 데 누에스트라 무소속 에코노미카 (방위 및 우리의 경제적 독립성 상실) (1943)
- 아르티가스, 라 나시오날리다드(아티가스, 국적의 지도자) (1949년)
- La mision Garcia ante Lord Stringford (Stringford 경 이전의 Garcia 미션) (1951년)
- El condor ciego; la operta muerte de Lavalle (맹인 condor; Lavalle의 이상한 죽음) (1952년)
- 노스, 로스 대의원 델 푸에블로 (우리, 인민 대의원) (1955년)
- 아르헨티나 델 시티오 인디안 (인도 시에서 아르헨티나 주까지) (1958년)
- 라 카이다 데 로사스 (The fall of Rosas) (1958)
- El prunnamiento de Urquiza (Urquiza의 반란) (1960년)
- 아르티가스, 라 레볼루시온 데 마요네즈 라 유니다드 히스파노 아메리카아 (아티가스, 메이 혁명, 히스패닉계 미국인 부대) (1960)
- El revisionismo responseder(1964)
- 리바다비아 이엘 제국주의 금융에로 (리바다비아와 금융 제국주의) (1964)
- 라 게라 델 파라과이 이 라스 몬토네라스 아르젠티나스 (파라과이와 아르헨티나 몬토네라스 전쟁) (1965년)
- 독토르, 민병대는 독립국가(의사, 군, 영국 독립국가)(1968년)
- 역사학 델 수정주의 (수정주의의 역사) (1968년)
- 로사스, 누에스트로 동시대 네오 (로사스, 우리 현대) (1970)
- 역사 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 역사; 13권) (1970)
- 엘 페티체 데 라 콘스탄티온 (헌법의 페티시) (1984)
- 아나리스 데 라 종속시아 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 의존도 분석) (?)
참고 문헌 목록
- Gelman, Jorge; Raúl Fradkin (2010). Doscientos años pensando la Revolución de Mayo. Buenos Aires: Sudamericana. ISBN 978-950-07-3179-9.
- 호세 마리아 로사역사학과 수정주의 이오트로스 엔자요.1968년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멀린 편집국.
참조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호세 마리아 로사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스페인어) 전기
- 아르헨티나의 역사학자 호세 마리아 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