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티푸난 가

Katipunan Avenue
N11 (Philippines).svgN129 (Philippines).svg
C-5
카티푸난 가
카를로스 P 의원 가르시아 애비뉴[1]
C.P. Garcia Avenue (C-5 Road, Katipunan) - Ateneo-Miriam area (Quezon City)(2017-09-06).jpg
아테네오 마닐라 대학미리암 대학을 사이에 두고 있는 카티푸난 애비뉴의 한 구간.
경로 정보
공공사업고속도로[a] 부서 및 대도시 마닐라 개발청 관리
구성 요소
고속도로
주요 접점
보낸 사람 N129 (탄당 소라 애비뉴) / 매사세이 애비뉴
주요 교차점카를로스 P. 가르시아 애비뉴
N59 (오로라 대로 & 마르코스 고속도로)
P. 투아존 대로
N185 / N11 (보니 세라노 애비뉴)
에게화이트 플레인스 애비뉴 / 템플 드라이브
위치
주요 도시케손 시
고속도로 시스템
  • 필리핀의 도로

카티푸난 애비뉴(필리피노: 아베니다 카티푸난)은 필리핀 메트로 마닐라 퀘손 시의 주요 도로다. 필리핀 딜리만 대학에서 남북으로 운행하며, 최북단 지점에서 탄당 소라 애비뉴와 교차하고, 최남단 지점에서 후일 예수 그리스도 교회 마닐라 필리핀 사원에 이르고, 최남단 지점에서 화이트 플레인스 애비뉴와 교차한다.

이 거리는 카타라스타아산, 카갈랑갈랑간, 카티푸난ng ng mga anaka bayan(KKKK)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2]

이 도로는 필리핀 고속도로망국도 11호선(N11)과 국도 129호선(N129)과[3] 마닐라 간선도로망원주 5호선(C-5)의 구성요소다.

이 도로는 대부분의 구간에서 3개 차로가 있으며, 선별된 구간에서는 4개 차선으로 넓어지고,[4] 바랑게이스 화이트 플레인즈와 세인트 이그나티우스 내에서는 2개 차선으로 좁혀진다.

지난 60년 동안 민간단체와의 협상 실패로 정부가 보류했던 연장사업이 공공사업부와 도로부에 의해 부활되어 카티푸난과 커먼웰스 애비뉴, 그리고 바타산-산 마테오 도로 등의 교통상황 악화를 해결하게 되었다.[5] 2021년 2월 현재 이 사업은 70%가 완료된 상태다.[6]

건물들

그 길을 따라 아테네오 마닐라 대학, 미리암 대학, 필리핀 딜리만 대학 등 몇 개의 고등 교육 시설이 있다.[7] 발라라 필터 파크 내에 있는 마닐라 워터 시설의 위치이기도 하다. 카티푸난 가를 따라 있는 지역은 원래 저밀도 주거 지역으로 계획되었다. 그 길을 따라 인구가 많은 대학들 때문에, 그 지역에 수많은 콘도들이 세워졌다. 2009년 SM인베스트먼트 그룹은 산타 마리아 델라 스트라다 교구 교회 인근 카티푸난 가티푸난 가의 35,600평방미터(38만3,000평방피트) 부지에 스탠포드 레지던스라는 31층짜리 초고층 주거 프로젝트를 제안해 총 1,316채의 주거 및 상업 단지를 건설했다.[8] 이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SM이 종합구역 설정 조례(조례 제918호 S-2000호)를 면제받아 카티푸난 애비뉴의 해당 부분과 같은 주거지역의 건물 높이를 9m(30ft)로 제한해야 한다.[9] 지역 주민들은 면제에 반대했다.[10] SM은 이미 2009년 9월까지 이미 40%에 달하는 버클리 레지던스라고 불리는 카티푸난 애비뉴의 반대편에서 또 다른 고층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SM은 스탠포드 레지던스 프로젝트를 다른 장소로 옮길 의향이 있음을 시사했다.[11]

카티푸난 가에 위치한 학교 인근 주류 유통에 대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술집들은 계속해서 이 지역의 유흥가의 인기 있는 면모가 되고 있다.[12] 인기 있는 술집에는 월러스, VS팟, 랑콰이가 있다.

운송

이 도로는 일반적으로 자동차 교통량이 많은 것이 특징이며, 보행자의 편의를 위해 교통섬에 의해 중간에 나뉜다.[7] 2005년, MMDA는 마닐라 대학 근처의 카티푸난 애비뉴 지역을 메트로 마닐라에서 가장 위험한 14개의 교통 흑점 중 하나로 선정했다.[13] 2008년 MMDA는 도로변 유턴 구간을 일부 차단하는 교통재개 계획을 도입했다. 지역 주민들은 불만을 제기했지만, MMDA는 이 도로를 지역 주민들만이 아니라 많은 운전자들이 이용하고 있으며, 이 조치들로 인해 교통흐름이 개선되었다고 응답했다.[3] 나중에 MMDA는 U턴 슬롯 중 일부를 다시 열 수도 있다고 말했다.[14] 2010년 메트로폴리탄 마닐라 개발청(MMDA)은 도로변에 2000명의 교통 집행관을 배치해 교통 혼잡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발표했다.[15] 시 정부는 2006년에 아테네오 데 마닐라 대학 근처에 육교를 건설했다.[16]

카티푸난 애비뉴에서 전동 세발자전거가 공식적으로 금지된 지 오래되었지만, MMDA가 2008년 8월 오로라 대로 북쪽에 대한 금지를 시행하겠다고 발표하기 전까지, 이 금지가 항상 고르게 시행된 것은 아니었다.[17] 2008년 9월 알란 부치 프란시스코 케손 시의원은 이 금지조치의 예외를 제안했다. 그는 1992년 퀘존시 트리사이클 조례에서 세발자전거가 이 지역의 유일한 진입도로일 경우 세발자전거가 전국 고속도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허용했으며, 카티푸난 애비뉴가 C.P.의 u턴 슬롯과 연결되는 유일한 도로라고 밝혔다. 가르시아 [18]애비뉴 카티푸난 삼륜차 운전자들은 9월 중순에 항의하여 파업을 벌였다.[19]

가티푸난 역은 가티푸난 애비뉴와 교차하는 오로라 대로에 위치해 있다. 2호선의 유일한 지하역이며 LRTA 시스템 전체가 운행되고 있다.[20]

조경

2002년, 카티푸난 그린 프로젝트 자원 봉사자들은 도시가 물을 주고 다른 식물을 돌볼 수 있도록 MMDA에 2년 동안 로비한 후, 그 길을 따라 부게인빌라, 란타나 카마라, 페튜니아, 붉은 크리퍼, 그리고 다른 꽃 관목들을 심었다. 길가의 기업들도 손을 빌려주었다.[21] 2003년 MMDA는 교통 흐름을 개선하기 위해 도로변의 나무와 교통섬을 철거할 것을 제안했지만 지역 주민들은 반대했다.[7] 당시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필리핀 대통령이 해외 순방에서 돌아오기 전까지 말라카냥의 명령에 따라 나무 베기가 중단됐다.[22] 2009년 도로확장사업을 위해 도로확장사업을 위해 도로변 가로수를 자르고 있었다. 두번째 사례에서 환경자연자원부마닐라대학의 항의 끝에 MMDA에 중단을 명령했다.[23] MMDA는 이미 환경자원부(DENR)와 나무 제거에 합의했다고 밝히고, DENR은 나무를 제거하는데 있어 MMDA의 허술한 작업을 비판하는 등 양 부처 간에도 뒷말이 무성했다.[24]

사건

범죄

1996년 필리핀 경찰대(현 필리핀 경찰청)의 롤란도 아바디야 대령은 대낮에 카티푸난 거리를 따라 달리다가 동료 경찰관을 포함한 4명의 무장괴한에게 살해당했다.[25] 2002년, 한 경찰관이 그날 저녁 나이트클럽에서 그와 그의 사촌이 괴롭혔다고 인정한 한 소녀의 남자친구에 의해 찔렸다.[26] 2006년 9월 한 무장 강도가 그곳의 한 식당 손님들로부터 귀중품을 훔쳤다.[27] 2007년 6월, 은행 강도를 계획한 것으로 의심되는 경찰과 차량 절도범들은 길가에서 동이 트기 전 총격전을 벌였고, 범죄 혐의자 중 3명이 사망했다.[28] 2007년 8월, 길을 따라 일하던 지프니 견습생 3명이 경찰에 체포되었다. 그들의 시신은 나중에 길가에 버려져 고문당한 흔적이 보였다. 이 사건은 필리핀 인권위원회의 조사로 이어졌다.[29]

교통사고

2007년 11월, 한 트럭이 남쪽으로 이동하던 중 오토바이를 들이받아 연쇄 충돌을 일으켰고, 이 충돌은 트럭이 커피숍으로 돌진하면서 끝이 났다. 이 사고로 5명이 다쳤고, 차량 6, 7대가 파손됐다.[30] 2008년 한 남자가 음주운전을 해서 도로를 따라 치명적인 사고가 발생했다. 문제의 차량에는 전국검찰연맹 소속으로 표시된 차량등록판이 붙어 있었다. 발라라 지역에서 온 두 명의 십대들이 죽었다.[31]

교차점

오로라 대로-카티푸난 애비뉴 인터체인지

전체 노선은 케손 시에 위치하게 된다.

km[32]mi목적지메모들
화이트 플레인스 애비뉴
템플 (Zebra) 드라이브
EDSA는 화이트 플레인스 가를 통해 북쪽으로, 오르티가스 가와 템플 드라이브를 통해 C-5로 이동한다.
더비 스트리트화이트 플레인즈 구역. 게이트 액세스.
사랑야 가화이트 플레인즈 구역. 게이트 액세스.
로즈빌 거리화이트 플레인즈 구역. 접근 제한.
파인즈빌 거리화이트 플레인즈 구역. 게이트 액세스.
동일로1길세인트 이그나티우스 마을. 게이트 액세스.
11.9757.441 N185 / N11 (보니 세라노 애비뉴)신호등 교차점 번호 없음에서 N11로 경로 번호 변경, C-5 동시성 남단, DPWH 유지관리[33] 남단
라자 마탄다 거리Blue Ridge A Subdivision의 Northbound 세그먼트 부분.
두 구간 모두 서비스 도로를 따라 있으며 U턴 슬롯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리비스 터널의 북쪽 끝
선라이저 가남부행만
하이랜드 드라이브북행 전용 블루리지 A 구역. 접근 제한.
토마스 P. 카스트로 스트리트남부행만 역사적으로 Highland Drive의 계속은 1989년에 이름이 바뀌었다.
클리프 드라이브북행 전용 블루리지 A 구역. 게이트 액세스.
산토스 다존가 P. 투아존 대로좌회전 금지. 북쪽 방향 교차로에 대한 오른쪽/오른쪽 아웃.
큐바오(남행) & 마리키나(북행)로의 접근.
카티푸난 플라이오버 남단
N59 (마르코스 고속도로, 아우로라 대로)신호등 교차점 큐바오, 산후안, 마닐라, 마리키나 & 안티폴로 접근.
에스테반 아바다 거리남쪽 방향 서비스 도로만 해당.
사비르빌 가남쪽 방향 서비스 도로만 해당. 프로젝트 2 및 카미아스 로드에 접근하십시오.
초등학교 레인북행 서비스 도로만 해당. 아테네오마닐라 대학교의 게이티드 접근권.
마스터슨 드라이브 신부북행 서비스 도로만 해당. 아테네오 데 마닐라 대학교의 게이티드 접근권.
카티푸난 플라이오버의 북쪽 끝
로사 알베로 거리남부행만
F. 델라 로사 거리/대학길신호등 교차점 북쪽 방향 교차로에 대한 오른쪽/오른쪽 아웃. 아테네오 데 마닐라 대학교의 게이티드 접근권.
박9골목남부행만
B. 곤잘레스 거리/손톤 드라이브신호등 교차점 미리암 대학에 게이티드 접근권.
J. 에스컬레이터 거리남부행만 카티푸난 가로 돌아가라.
망얀가북행 전용 라 비스타 빌리지. 게이트 액세스.
판솔가
(Katipunan Avenue Extension
투마나 대교를 통한 마리키나 접근
13.944–
15.1060
8.664–
9.3864
카를로스 P. 가르시아 애비뉴신호등 교차점 교사 마을, 크러스 나 리가스, UP 빌리지, 필리핀 딜리만 대학으로의 접근.
경로 번호가 N11에서 N129로 변경됨
퀴리노 가남부행만 필리핀 대학교의 게이티드 접근권.
몬탈반가북행 전용 페디캡과 보행자만 접근할 수 있다.
슈스터 스트리트남부행만 필리핀 대학교의 게이티드 접근권.
H. 벤투라 거리북행 전용
15.7439.782매사세이 애비뉴필리핀 대학교의 게이티드 접근권.
북으로는 길이 계속된다. N129(탄당 소라 애비뉴).
1.000 mi = 1.609 km, 1,000 km = 0.621 mi

메모들

  1. ^ DPWH 정비는 보니 세라노 애비뉴 남쪽 카티푸난 애비뉴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다.

참조

  1. ^ "Waze" (Map). Free Driving Directions, Traffic Reports & GPS Navigation App by Waze. Waze. Retrieved 2020-10-12.
  2. ^ 야후! 싱가포르: 인기 있는 PH 거리 뒤에 있는 사람들과 이야기
  3. ^ a b "Philippine Daily Inquirer: Katipunan rerouting by MMDA draws flak from motorist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10-05. Retrieved 2010-12-03.
  4. ^ 필리핀 데일리 인콰이어러: 카티푸난 도로 계획은 크게 '아니오' 된다.
  5. ^ "Katipunan Ave. extension takes off after almost 6 decades". www.pna.gov.ph. Retrieved 2018-12-11.
  6. ^ "Katipunan Ave. Extension 70% complete". PTV News. February 8, 2021.
  7. ^ a b c 필리핀 데일리 인콰이어러: 리리브
  8. ^ 마닐라 게시판: QC 주민, 다단계 구조물에 구역제 면제를 허용하는 것에 반대
  9. ^ "The Guidon: David vs. Goliat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3-10. Retrieved 2010-12-03.
  10. ^ 필리핀 데일리 인콰이어러 : SM 콘도에 대한 제안 보류
  11. ^ "Manila Times: SM unit to transfer new project amid opposi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8-07. Retrieved 2010-12-03.
  12. ^ Philstar (September 14, 2017). "QCPD: Search of Katipunan bars a standard operation". Retrieved May 20, 2020.
  13. ^ 필리핀 데일리 인콰이어러: 메트로에서 가장 위험한 14개 지점
  14. ^ 필리핀 데일리 인콰이어러: MMDA는 다음과 같은 경우 U턴 슬롯을 다시 열 수 있다.
  15. ^ 필리핀 스타: MMDA는 2000명의 집행관을 배치하여 카티푸난, U-벨트를 제거한다.
  16. ^ 필리핀 스타: 노발리체스 교통을 완화하기 위한 새로운 QC 브리지
  17. ^ GMA 뉴스: 카티푸난 가에 세발자전거 금지를 엄격히 시행하는 MMDA
  18. ^ "Philippine Daily Inquirer: Quezon City council asked to allow tricycles on Katipun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2-11. Retrieved 2010-12-03.
  19. ^ "Philippine Daily news: Katipunan trike drivers hoping for a repriev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10-06. Retrieved 2010-12-03.
  20. ^ GMA 뉴스: LRTA는 6월 12일에 전통 무임승차를 제공한다.
  21. ^ 필리핀 데일리 인콰이어러: 꽃피는 카티푸난 애비뉴
  22. ^ 필리핀 데일리 인콰이어러: 팰리스가 카티푸난의 나무 자르기를 중단한다.
  23. ^ 필리핀 스타: DENR에서 MMDA로: 카티푸난 가의 나무 제거 중지
  24. ^ 필리핀의 별: MMDA: DENR 거래로 인한 나무 제거
  25. ^ "Philippine Daily Inquirer: SC upholds conviction of 5 men for ex-intelligence chief sla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9-05. Retrieved 2010-12-03.
  26. ^ 필리핀 데일리 인콰이어러: 카티푸난에 찔린 자
  27. ^ 마닐라 타임즈: 홀두프와 다른 미해결 범죄들
  28. ^ GMA 뉴스: 경찰은 차량 절도범 3명과 QC 총기 난사 사건에서 은행 강도들을 살해했다.
  29. ^ GMA 뉴스: CHR, QC경찰의 즉결 살인에 대한 조사
  30. ^ ABS-CBN 뉴스: QC 커피숍에 트럭 슬램, 차량 6대, 부상 5명
  31. ^ "Philippine Daily Inquirer: Driver of car who ran over, killed 2 scavengers was drun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10-06. Retrieved 2010-12-03.
  32. ^ "Quezon City 2nd". 2016 Road Data. Department of Public Works and Highway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2, 2017. Retrieved May 19, 2017.
  33. ^ "Road and Bridge Inventory". www.dpwh.gov.ph. Retrieved July 31, 2020.

좌표: 14°37′42″N 121°4′26″E / 14.62833°N 121.07389°E / 14.62833; 121.073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