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바야시 겐이치로

Ken'ichiro Kobayashi
고바야시 겐이치로
Japanse gastdirigent Ken Kobayashi in Concertgebouw Amsterdam Ken Kobayashi in , Bestanddeelnr 928-1669.jpg
1975년 로얄 콘서트게부 오케스트라를 지휘하는 고바야시 켄
태어난 (1940-04-09) 1940년 4월 9일 (81)
직업지휘자

고바야시 겐이치로(高野一郞, 고바야시 겐이치로, 1940년 4월 9일생)일본지휘자작곡가.일본에서 그는 팬들 사이에서 "코바켄"으로 알려져 있다.

전기

후쿠시마이와키에서 태어난 고바야시의 아버지는 고등학교 음악 교사였고, 어머니는 초등학교 교사였다.고바야시는 11세에 음악을 작곡하기 시작했으며, 도쿄 예술대학에서 이시케타 마레오(구성), 야마다 가즈오(지휘), 와타나베 아케오(지휘) 밑에서 작곡지휘를 공부했다.

고바야시는 1974년 헝가리 텔레비전에서 열린 국제 지휘자 대회에서 1등과 특별상을 수상했다.그는 독일, 오스트리아, 영국, 네덜란드에서 오케스트라를 지휘했다.고바야시는 도쿄 메트로폴리탄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교토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상주 지휘자였다.고바야시는 2010년부터 일본 필하모닉 오케스트라(1988-90), 수석 지휘자(1990-94, 1997-04), 음악 감독(2004-07) 및 지휘자상 수상자로 임명되었다.

고바야시는 간사이 관현악단과 규슈 관현악단의 수석 객원 지휘자를 역임했다.1998년부터 2001년까지 나고야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총괄 음악감독을 지냈고, 2001년부터 2003년까지 음악감독이 현재 지휘자상 수상자로 임명되었다.고바야시는 2011년 8월 요미우리 닛폰 교향악단의 특별 객원 지휘자에 임명되었고, 2012년 6월 도쿄 분카 카이칸의 음악 감독에 임명되었다.

유럽에서 고바야시는 1987-97년부터 헝가리 국립 교향악단(현 헝가리 국립 필하모닉)의 수석 지휘자를 역임했으며, 현재는 지휘자상 수상자로 활동하고 있다.고바야시는 2002년 프라하 스프링 국제 음악제에서 체코 필하모닉을 지휘한 최초의 아시아 지휘자였다.그는 체코 필하모닉에서 정기적인 객원 지휘를 맡아왔다.1996년 게르트 알브레히트가 수석지휘관악단에서 물러나고 1998년 블라디미르 아슈케나지가 등장하기 전까지 주로 오케스트라를 지휘했던 3명의 지휘자 중 한 명이었다.[1]

2006년 네덜란드 아르넴의 헤트 겔더스 오르케스트의 광대한 지휘자('영구 지휘자')가 되었다.도쿄예술대학 음악교수(현재의 명예교수직)를 역임하고, 도쿄음악대학 명예교수, 프란츠 리스트 음악학원 명예교수직을 맡고 있다.[citation needed]

그의 작곡에는 2000년 일본네덜란드의 400주년 기념 오케스트라를 위한 그의 파사카글리아가 포함되어 있다.고바야시는 1999년 네덜란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함께 초연을 지휘했다.[citation needed]

고바야시의 딸 아야노는 피아니스트다.그의 여동생인 이치노세 유코는 소프라노다.[citation needed]

고바야시는 1994년 헝가리 정부로부터 리스트 기념훈장(1986년), 헝가리 문화훈장(1990년), 헝가리 공화국 훈장 별과 함께 미들크로스(민간 최고 영예)를 받았다.2000년에 그는 Hanno R을 받았다. 프라하 국제협력글로벌 패널 재단이 공동으로 수여하는 엘렌보겐 시민상.[2]

외부 링크

참조

  1. ^ James R. Oestreich (26 March 2000). "A Great Orchestra Dancing Past the Graveyard". New York Times. Retrieved 6 November 2016.
  2. ^ 한노 R. 엘렌보겐 시민상 2014년 9월 3일 웨이백 머신(praguesociety.org)에 보관되어 2016년 11월 6일에 액세스.
문화청
선행자 헝가리 국립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수석 지휘자
1987–1997
성공자
선행자
이모리 다이지로(상설 지휘자)
나고야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총음악감독 겸 음악감독
1998-2001(일반 음악 감독), 2001-2003(음악 감독)
성공자
누마지리 류스케(총지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