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라호스테스

Kharahostes
카라호스테스
인도시티아
Kharahostes Northern Satrap with Azes and Tyche Nandipada behind king.jpg
아제스의 이름으로 카라호스테스(혹은 그의 아들 무하트리아)의 동전.[1]
Obv.Azes riding, with corrupted Greek legend (ωΕΙΛΟN ωΕΟΛΛωN ΙΟϹΑΑϹ) for ΒΑΣΙΛΕΩΣ ΒΑΣΙΛΕΩΝ ΑΖΟΥ "King of Kings Azes", and Buddhist Triratna symbol behind the head of the king.
도시 여신 티케는 코르누코피아를 안고 왼손으로 서 있었다. 하로슈티의 전설 마하라자사 마하타사 다마키사 라자티라자사 아야사 "대왕은 달마왕의 추종자 아제스 왕"
군림하다기원전 10년 – 기원전 10년
카라호스테스의 동전 "아르타의 아들" 세 개의 펠릿 기호는 나타나지 않는다.
옵버스: 말을 탄 왕, 창은 평평하게 세운다. 그리스 전설 χαραηαωωειιιιι ιαπιιι (" αι (" (" ("("사트랩 카라호스테스, 아르타의 아들") 카로하티 민트 마크
역: 사자. 카로쉬의 전설 차트라파사는 카라우스타사 아르타사 푸트라사("아르타의 아들 사트랩 카라호스테스")를 찬양한다.

Kharahostes 또는 Kharaosta(그리스:Χαραηώστης Kharahṓstēs, ΧΑΡΑΗωϹΤΕΙ Kharahōstei(금석 고증);Kharosthi:𐨑𐨪𐨀𐨆𐨯𐨿𐨟 Kha-ra-o-sta, Kharaosta,[2]𐨑𐨪𐨩𐨆𐨯𐨿𐨟 Kha-ra-yo-sta, Kharayosta,[3]사카 *Xārahōsta에서, 북부 인도 대륙에서도 10년 – 10CE에", 거센 화려한"[4])는Indo-Scythian 통치자(아마satrap)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는 비록 또 다른 포탑 카라오스테스마투라에서 발견되었지만, 종종 아제스 2세의 이름으로, 그리고 아마도 마투라 사자의 수도에 새겨진 글에서 알려져 있다.[1]

그는 아마 아제스 2세의 후계자였을 것이다. 사리갖춤에서 나온 비문적 증거는 그가 인드라바르만 은빛 사리갖춤이 헌납되었을 때 이미 "압구왕"이었다는 것을 확실히 보여주는데, 이 사리갖춤은 5-6 CE Bajaur에 확실히 놓여 있다.[3] 그러나 야브구킹의 정확한 의미에 대해서는 약간의 논쟁이 있다. 리차드 살로몬에게 야브구쿠샨족의 방식대로 "트리벌 족장"을 의미하며, 기원전 1세기 말에 이미 카라호스테스가 왕위에 올라 기원전 10년에서 10년 사이의 통치 시기를 지지했음을 암시한다. 조 크립브에게 이것은 부주의한 서기의 오식이며, "Heir conflict"을 의미하는 "유바-King"으로 읽혀져야 하며, 따라서 Kharahostes가 실제로 CE의 첫 번째 부분으로 통치했던 해를 앞당길 것이다.[1]

코인 발견은 카라호스테스가 잘랄라바드 서쪽에 위치한 고대 도시 나가라하라를 기반으로 한 잘랄라바드 서쪽의 다룬타 지구 지역에서 통치했다는 것을 암시한다.[1]

아르타의 아들

하라호스테스의 동전은 그가 마우스 의 형제인 아르타[5]추크사사트랩의 아들이었음을 증명한다.[6]

F. W. 토마스와 헨드릭 빌렘 오브빙크에 따르면, 그의 어머니는 아야시아 카무아의 인 나다 디아카였다.[7][8] 그러나 스텐 코노우에 따르면 라주불라의 수석 왕비인 카무이아 아야시아는 카라호스테스의 딸이었다.[9]

카라호스테스의 왕조 마크.

하로호스테스의 동전은 쿠샨의 지배자 쿠줄라 카데피세스의 왕조 마크(3알이 합쳐진 것)와 다소 비슷한 왕조 마크(3알 안에 있는 원)를 지니고 있어 당대의 지배자였을 수도 있다는 암시를 낳고 있다.

마투라 사자의 수도 비문의 카라오스타는 보통 사트랩 카라오스타스 또는 카라호스테스와 동일시된다.[5] 그러나 조 크립브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마투라의 카라우스테스는 자신의 구체적인 동전으로 마투라에서 통치했으며 아마도 쿠샨비마 탁토에 의해 마투라를 정복하기 직전 소다사의 후계자였을 것으로 보이는 다른 인도-시티아 북부 사트라프로 간주되어야 한다.[1]

카라오스타의 알려진 동전은 두 가지 유형으로, 횡단면에 그리스 문자로 전설을 제시하고, 반대편에는 카로슈티어로 전설을 제시하는데, 아제스라는 이름의 둥근 형식과 세 개의 깃발 기호가 있는 것도 최근 그의 아들 무자트리아에 기인하는 것으로, 아르타의 아들로 자신의 이름에 세 개의 깃발 기호가 없는 네모난 형식이다.

네모난 동전에 등장하는 그리스와 카로시 전설은 이렇게 달린다.

XAPAHWCTEI ϲαταπιι ArTAYOY(그리스어: "Satrap Kharahostes, Arta의 아들")
Katrapasa Pra Kharaoṣtasa Artasa Putrasa (Kharoshti의 "Satrap Kharaosta, Arta의 아들")[10]

그의 동전 중 일부는 "아르타스" 대신에 "오르타스"라고 쓴다.

불교 헌신

Kharahostes는 몇 가지 불교적인 헌신으로 알려져 있다.

비마란 관

비마란 관에서 카라호스테스의 옷을 입지 않은 동전이 발견되었는데, 이것은 그의 통치 기간 동안 헌신이 이루어졌음을 암시한다.[1]

비마란 관에서 카라호스테스, 즉 그의 아들 무하트리아의 장식되지 않은 동전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그가 통치하는 동안 또는 그의 아들의 것이 개인적으로 아니더라도 그의 것이 헌납되었음을 암시한다.[1]

인드라바르만의 은으로 만든 사리품

카라호스테스는 또한 카로슈티에 있는 사리갖춤에 새겨진 글에서 묘사된 인드라바르만의 은빛 사리갖춤의 주인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다.[11] 그는 아마도 그 사리갖춤의 초기 소유주였을 것이며, 그 사리갖춤은 당시 아파카의 통치자 인드라바르마가 다시 칠해진 것이었다. 인드라바르만 은신처는 기원전 1세기 에 인드라바르만이 왕자로 바친 것이 틀림없다는 뜻으로, 인드라바르만 은신처의 이전 소유주인 하라호스테스가 그 이전(적어도 6세기 이전, d.바하우르 관을 먹었다).[3]

아들:무자트리아

조 크립브(2015년)에 따르면 이 동전 유형은 카라오스테스의 아들 무자트리아의 것일 수 있다.

또한 3개의 깃발 모양의 희귀한 네모난 동전들도 무하트리아의 이름으로 주조되었는데, 무하트리아는 이 동전들의 전설에서 그가 "하라호스테스의 아들"이라고 주장한다.[1]

조 크립브에 의한 최근의 연구(2015년)는 보통 카라호스테스의 것으로 여겨지는, 아제스의 이름으로 된 세 개의 깃발 기호를 가진 둥근 은화가 실제로는 무자트리아에 귀속되어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1]

참고 항목

참조 및 참고 사항

  1. ^ a b c d e f g h i Cribb, Joe (2015). "Dating and Locating Mujatria and the Two Kharahostes". Journal of the Oriental Numismatic Society. 223: 26–48.
  2. ^ 코노우 1929, 페이지 30-49, PLAT VII.
  3. ^ a b c Salomon, Richard (1996). "An Inscribed Silver Buddhist Reliquary of the Time of King Kharaosta and Prince Indravarman".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116 (3): 418–452. doi:10.2307/605147. JSTOR 605147.
  4. ^ 하르마타 1999, 페이지 412.
  5. ^ a b Harmatta 1999 페이지 201.
  6. ^ Marshall, John (1951). Taxila: an Illustrated Account of Archaeological Excavations Carried Out at Taxila under the Orders of the Government of India Between the Years 1913 and 1934. 1.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85.
  7. ^ Obbink, Hendrik Willem (1949). Orientalia Rheno-traiectina. Brill Archive. p. 333. GGKEY:S6C77GP5KP7. Retrieved 8 March 2012.
  8. ^ Thomas, F. W. (1907–1908). Epigraphia Indica. 9. Kolkata: Office of the Superintendent of Government Printing, India. p. 140-141.
  9. ^ 코노우 1929, 페이지 36, xxxv-xxxvi.
  10. ^ Lüders, Heinrich (1940). Philologica Indica. Göttingen: Vandenhoeck & Ruprecht. p. 252.
  11. ^ 아프라카라자 인드라바르만의 은신처에 새겨진 Nb 2세

원천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