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 존 (연주)

King John (play)
허버트 비어봄 나무(1852–1917)는 윌리엄 셰익스피어 찰스 A의 '존왕'에서 존왕 역할을 맡았다. 부첼(1900)

윌리엄 셰익스피어역사극인 존 삶과 죽음은 헨리 2세아들이자 아키테인의 엘리노어이자 헨리 3세의 아버지인 영국의 의 치세를 극화한다.그것은 1590년대 중반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되지만, 1623년 First Folio에 [1]등장할 때까지 출판되지 않았다.

성격.

킹 존의 인물 가계도

개요

존 왕은 전쟁을 위협하며 프랑스 대사가 그의 조카인 아서를 위해 왕좌를 포기하라고 요구하는데, 아서는 프랑스 왕 필립이 왕좌의 정당한 상속자라고 믿고 있다.

존은 로버트 포크콘브릿지와 그의 형 필립 더 서자드 사이의 상속 분쟁을 판결하는데, 이 기간 동안 필립이 리처드 1세의 사생아라는 것이 명백해진다.리처드 1세와 존의 어머니인 엘레노어 여왕은 필립의 가문과 닮은 점을 인정하고 기사 작위를 받는 대가로 폴콘브리지 땅에 대한 권리를 포기하라고 제안합니다.존이 리처드라는 이름으로 필립에게 기사 작위를 내렸습니다.

토마스 나스트의 19세기 그림

프랑스에서는 필립왕과 그의 군대가 영국이 통치하는 앵거스 마을을 포위하고 시민들이 아서를 지지하지 않으면 공격할 것이라고 위협한다.필립은 많은 등장인물들이 리처드 1세를 죽였다고 믿는 오스트리아의 지원을 받는다.영국 대표단이 도착한다.그리고 나서 엘리너는 아서의 어머니 콘스탄스와 욕설을 주고받는다.필립과 존은 앵거스 시민들 앞에서 자신들의 권리를 주장하지만, 그들의 대리인은 그들이 누구든 간에 정당한 왕을 지지할 것이라고 말한다.

프랑스와 영국의 군대는 충돌하지만 확실한 승리자는 나타나지 않는다.각 군대는 승리를 주장하는 전령관을 파견하지만, 앵거스의 시민들은 두 군대 모두 승리를 입증하지 못했기 때문에 어느 쪽도 인정하지 않고 있다.

필립 더 서자드는 영국과 프랑스가 앙제르의 반항적인 시민들을 처벌하기 위해 연합할 것을 제안한다.시민들은 다른 제안을 제안합니다: 필립의 아들인 도팽 루이는 존의 조카 블랑쉬와 결혼해야 합니다.그 제안은 존에게 왕좌에 대한 더 강력한 권리를 주는 반면 루이스는 프랑스의 영토를 얻게 될 것이다.비록 화가 난 콘스탄스가 필립이 아서를 버렸다고 비난하지만, 루이와 블랑쉬는 결혼했다.

판돌프 추기경은 존이 교황에게 불복종하고 자신의 바람과는 달리 대주교로 임명했다는 공식 비난을 받고 로마에서 도착한다.존은 철회하기를 거부하여 파문당했다.판돌프는 비록 필립이 존과 막 가족관계를 맺어 망설이고 있지만 루이스에 대한 지지를 맹세한다.판돌프는 교회와의 연계가 더 오래되고 단단하다는 것을 지적함으로써 그를 설득시킨다.

전쟁이 발발하고, 오스트리아는 아버지의 죽음에 대한 보복으로 서자드에게 참수당하고, 앵거스와 아서 둘 다 영국에 의해 생포된다.엘레노어는 프랑스에 있는 영국 소유물을 책임지고 있는 반면, 바스타드는 영국 수도원에서 자금을 모으기 위해 보내진다.존은 휴버트에게 아서를 죽이라고 명령한다.판돌프는 이제 자신이 아서만큼 영국 왕좌에 대한 강력한 권리를 가지고 있다고 루이에게 제안하고, 루이는 영국을 침략하는 것에 동의한다.

"존왕", 4막, 장면 1, 휴버트와 아서 (보이델 시리즈의), 제임스 노스코트 (1789년)

휴버트는 아서를 해치는 걸 꺼려해요그는 몰래 그를 풀어준다.존의 귀족들은 아서의 석방을 촉구한다.존도 동의하지만 휴버트는 아서가 죽었다고 말한다.귀족들은 그가 살해당했다고 믿고 루이 곁으로 망명한다.존에게 더 가슴 아픈 것은 콘스탄스 부인의 사망 소식과 함께 어머니의 사망 소식입니다.사생아는 존이 그들의 금을 빼앗으려는 시도가 수도원들에게 불만스럽다고 보고한다.휴버트는 존과 격렬한 말다툼을 벌이다가 아서가 아직 살아있다는 것을 드러낸다.존은 기뻐하며 귀족들에게 소식을 전하기 위해 그를 보낸다.

가십 대장장이 에드워드 페니 (1769년

아서는 성벽에서 뛰어내려 죽는다. (그가 고의로 스스로 목숨을 끊었는지 아니면 위험한 탈출을 시도했는지는 해석할 수 있다.)귀족들은 존이 그를 살해했다고 믿고 휴버트의 간청을 믿지 않는다.존은 판돌프가 자신을 대신해서 프랑스와 협상하는 대가로 교황에게 충성을 맹세하며 판돌프와 거래를 시도한다.존은 그의 몇 안 남은 충성스런 신하 중 하나인 바스타드에게 프랑스에 맞서 영국군을 이끌라고 명령한다.

존의 예전 귀족들은 루이에게 충성을 맹세했지만, 판돌프는 존의 계획을 설명하지만, 루이는 그 계획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한다.영국 군대와 함께 도착해서 루이를 위협하지만 소용이 없다.전쟁이 발발하고 양측이 상당한 손실을 입게 되는데, 루이의 증원군은 바다를 건너다 익사하게 된다.많은 영국 귀족들은 죽어가는 프랑스 귀족 멜룬이 루이가 승리 후에 그들을 죽일 계획이라고 경고한 후 존의 곁으로 돌아간다.

존은 불만을 품은 수도승에 의해 독살되었다.그의 귀족들은 그가 죽을 때 그의 주위에 모인다.판돌프가 평화협정을 맺고 도착했다는 소식을 들을 때까지, 바스타드는 루이스의 군대에 대한 마지막 공격을 계획한다.영국 귀족들은 존의 아들 헨리 왕자에게 충성을 맹세하고, 바스타드는 이 사건이 내부 다툼이 외세의 침략만큼이나 영국의 운명에 위험할 수 있다는 것을 가르쳤다는 것을 반영한다.

원천

1623년에 출판된 셰익스피어 희곡의 제1폴리오에 나오는 존 의 첫 페이지

존 왕은 익명의 역사 연극인 존말썽꾸러기 시대 (1589년경)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데, 이 "명장 건축"[9]피터 알렉산더가 셰익스피어의 작품이 초기 [13]연극이라고 주장하게 만들었다.E. A. J. 호니그만은 존 [14]의 두 번째 아덴 판에 대한 서문과 1982년 셰익스피어의 [15]동시대에 대한 영향에 대한 그의 논문 모두에서 이러한 주장을 상세하게 설명했다.그러나 대다수의 [16]견해는 케네스 뮤어가 호니그만의 견해에 대한 반박에서 처음 진전된 으로, 트러블럼 통치는 존 보다 몇 년이나 앞선 것이며, 트러블럼 통치의 교묘한 줄거리는 그 시기에 비할 바 없는 것도 아니고 셰익스피어의 [17]개입에 대한 증거도 아니라고 주장한다.

셰익스피어는 홀린셰드의 연대기에서 파생된 특정한 언어적 연관성과 행동 [e]요점들을 말한다.호니그만은 연극에서 존 폭스행위기념물, 매튜 패리스의 역사학자와 라틴 웨이크필드 [19]연대기의 영향을 알아챘지만, 뮤어는 이 명백한 영향이 유사하거나 동일한 [f]문제를 포함하는 문제집권의 우선순위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날짜 및 텍스트

작곡 연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셰익스피어가 이것과 다른 연극들을 위해 그린 홀린셰드 연대기의 제2 개정판인 1587년과 프란시스 메레스[21]팔라디스 타미아에서 존 이 셰익스피어의 희곡 중에 언급되었던 1598년 사이에 있을 것이다.옥스퍼드 셰익스피어의 편집자들은 희곡의 희귀한 [22]어휘의 발생, [23]운문에서의 구어체의 사용, 일시정지 패턴,[24] 그리고 드문 운율로부터 연극이 리처드 2세 이후 헨리 4세 이전인 1596년에 작곡되었다고 결론짓는다.[25]

존 왕은 완전히 운문으로 쓰여진 셰익스피어의 두 극 중 하나이며, 다른 하나는 리처드 2세이다.

퍼포먼스 이력

로버트 B의 사진. 왕으로서의 맨텔

가장 먼저 알려진 공연은 1737년 리치가 드루리 레인 로얄 극장에서 공연을 했을 였다.1745년, 자코바이트 반란의 해, 경쟁작들이 코벤트 가든의 콜리 시버와 드루리 레인의 데이비드 개릭에 의해 무대에 올랐다.찰스 켐블의 1823년 작품은 셰익스피어 작품에서 역사적 정확성을 위해 노력한 19세기 전통을 시작하며 역사적 정확성에 대한 진지한 노력을 기울였다.이 연극의 다른 성공적인 작품들은 윌리엄 찰스 맥레디와 찰스 킨의해 무대에 올랐다.20세기 부활작에는 로버트 B가 포함되어 있다. 만텔의 1915년 작품(브로드웨이에서 상연된 마지막 작품)과 폴 스코필드가 바스타드로 출연하는 피터 브룩의 1945년 상연.

빅토리아 시대에, 존 왕은 셰익스피어의 가장 자주 무대에 오른 연극 중 하나였는데, 부분적으로 그 화려함과 미인대회가 빅토리아 시대의 관객들에게 적합했기 때문이다.그러나의 인기는 떨어졌다: 그것은 현재 셰익스피어의 가장 덜 알려진 연극 중 하나이며 극중 배역은 매우 드물다.[26]그것은 [27]1915년에 마지막으로 브로드웨이에서 네 번 공연되었다.그것은 또한 1953년부터 2014년까지 스트랫포드 셰익스피어 [28]축제에서 5번 공연되었다.

1865년 런던 드루리 레인 극장에서 공연된 연극에서 존 왕의 죽음

Herbert Beerbohm Tree는 1899년에 King John이라는 제목무성영화 버전을 만들었다.이 영화는 5막 7장에 나오는 왕의 죽음의 고통으로 구성된 단편 영화이며 셰익스피어 연극을 각색한 최초의 생존 영화이다. 존은 1951년 도날드 울핏과 1984년 BBC 텔레비전 셰익스피어 시리즈[29]각색작의 일부로 레너드 로시터와 함께 TV용으로 두 번 제작되었다.

조지 오웰은 특히 1942년에 정치관을 칭찬했다. "내가 소년일 때 읽었을 때 그것은 역사책에서 파낸 것으로 보였고 우리 시대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었다.음, 내가 봤을 때, 그 음모와 이중 교란, 불가침 조약, 부결, 전투 중에 사람들이 편을 바꾸는 것, 그리고 그것이 내게는 매우 최신인 것처럼 보였다."

선택한 최근 리부

로열 세익스피어 극단 스트랫퍼드 어폰 에이번에 근거한 그들의 전집 Festival,[30]의 일환으로 2012년 마리아 Aberg는 Bastard,[31일]의 역할과 2020년에, 엘리너는 로드가 연출한 여자, 피파 닉슨, 투표와 여자, 로지 Sheehy, 주조의 지시에 존 왕의 세가지 작품:2006년 조시 미키 루크가 연출한 제시했다.에서존 왕의 역할.이 회사의 1974-5년 작품은 존 바튼 감독에 의해 크게 다시 쓰여졌으며, 존 바튼은 존 트러블러블한 통치, 베일의 요한 왕(셰익스피어 자신의 자료로 생각됨) 및 다른 [32][33]작품들을 포함했다.

해군 부두의 시카고 셰익스피어 극장은 1990-1991년 시즌에, 그리고 2003-2004년에 [34]이 연극을 상연했다.

2016년 험프리가 연출한 우스터 레퍼토리 컴퍼니에서 존 왕 역을 맡은 필 리치는 우스터 대성당에 있는의 무덤을 마주하고 있습니다.

2008년, 뉴저지에 있는 허드슨 셰익스피어 회사는 연례 셰익스피어 시리즈인 파크스 시리즈의 일부로 존 왕을 제작했다.토니 화이트 감독은 중세를 배경으로 했지만 다민족과 성별을 바꾸는 캐스팅을 사용했다.Constance와 Dauphin Lewis의 역할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배우 Tzena Nicole Egblomasse에 의해 연기되었고 제시 스튜어드와 여배우 Sharon Pinches와 앨리슨 Johnson은 여러 남자 역할에 사용되었다.이 작품의 또 다른 주목할 만한 출발은 존 왕의 묘사이다.종종 비효율적인 왕으로 묘사되는 배우 지미 프라바실리스는 통치권에 집착하는 완고한 군주를 묘사했고 그의 타협을 꺼리는 그의 [35]몰락의 결과가 되었다.

뉴욕의 Theater for a New A Audience는 2000년에 등장인물들의 동기에 대한 관객들의 인식을 발전시키기 위해 Faulconbridge의 법정 현실정치 도입을 강조하면서 "뛰어난" 원작을 선보였다.감독은 카린 [36][37]쿤로드였다.

2012년,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밴쿠버의 바드 온[38] 더 비치에서 작품을 선보였다.또한 2013년 유타 셰익스피어 페스티벌에서 공연되었으며, 미국극장협회미국극장제작자연맹이 시상하는 미국 우수지역극장 토니상(2000년)을 수상했다.

이 연극은 제임스 데이크 감독[39]연출한 셰익스피어 글로브에서 마그나 카르타 800주년 여름 시즌 2015의 일부로 상연되었다.Royal & Derngate와 공동제작한 이 작품은 노스햄튼솔즈베리 대성당, 템플 처치The Holy Sepulchre에서도 공연되었습니다.

킹스턴어폰템즈 서리주 로즈극장은 셰익스피어 서거 400주년 및 존왕 서거 800주년 기념일인 2016년 5~6월 트레버경의 연극 연출을 맡았다.

우스터 레퍼토리 컴퍼니는 2016년 킹 [40]서거 800주기를 맞아 우스터 대성당 존의 무덤 주변에서 연극( 험프리 연출)을 공연했다.존 왕은 필 [40][failed verification]리치가 연기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1. ^ 1623년의 폴리오에서 엘리노어, 엘리노어, 엘레아, 엘레아로 다양하게 나타난다.현대 편집자들은 만장일치로 [2][3][4][5]엘리노어 형식을 선호한다.
  2. ^ First Folio는 "Britaine"라는 철자를 사용하며 심벌린에서도 "Britaine"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3. ^ 퍼스트 폴리오에서는 보통 그를 "돌핀"이라고 부르는데, 이것은 프랑스 제목 "도핀"을 문자 그대로 번역한 것입니다.
  4. ^ 브라운뮬러는 [6]윌슨의 뒤를 이어 4.3.87-89 거래소의 기준으로 휴버트 드 버그와의 신분을 거부한다.다르스트 당신은 귀족에게 용감합니까? ' 'HUBERT: 내 목숨은 아니지만, 나는 감히 황제에 맞서 내 무고한 목숨을 지킬 수 있습니다.'[7]
  5. ^ 난제 시대의 작가도 홀린셰드의 작품을 인용했지만, 존 에 홀린셰드에서 파생되었지만 다른 극에서는 전례가 없는 소재가 등장했다는 것은 두 작가 모두 독립적으로 [18]연대기를 참조했음을 시사한다.
  6. ^ 4월 1일에 엘레노어가 죽은 것을 제외하고, 뮤어는 호니그만이 주장했던 것처럼 웨이크필드 연대기에서가 아니라 엘레노어의 죽음과 4월 1일 홀린셰드의 [20]특정 페이지에 기재된 불길한 천상의 징조로부터 유래했다고 주장한다.

인용문

  1. ^ 윌리엄 셰익스피어. 왕.제시 M. 랜더와 J.J.M.에 의해 편집된 아덴 셰익스피어 제3시리즈.토빈, 블룸스베리, 2018, 65~102
  2. ^ Braunmuller (2008), 페이지 117.
  3. ^ Jowett (2005), 페이지 426.
  4. ^ 뷰린(1990), 페이지 60.
  5. ^ 호니그만(1965), 페이지 3
  6. ^ Braunmuller (2008), 페이지 277, fn 2.
  7. ^ Jowett (2005), 페이지 446.
  8. ^ 윌리엄 셰익스피어. 왕.제시 M. 랜더와 J.J.M.에 의해 편집된 아덴 셰익스피어 제3시리즈.토빈, 블룸스베리, 2018, 165
  9. ^ 틸야드(1956), 페이지 216.
  10. ^ 알렉산더 (1929), 페이지 201 ff.
  11. ^ 호니그만(1983), 페이지 56
  12. ^ 알렉산더 (1961), 페이지 85
  13. ^ 알렉산더(1929)[10]는 호니그만([11]1983년)과 알렉산더(1961년)[12]에서 인용했다.
  14. ^ 호니그만(1965), 페이지 18iii ff..
  15. ^ 호니그만(1983), 56-90페이지.
  16. ^ 뮤어(1977), 페이지 78-85.
  17. ^ Braunmuller (2008), 페이지 12.
  18. ^ 호니그만(1965), 페이지 13.
  19. ^ 호니그만(1965), 페이지 13-18.
  20. ^ 뮤어(1977), 페이지 82.
  21. ^ Braunmuller (2008), 페이지 2
  22. ^ 웰스(1987), 페이지 100.
  23. ^ 웰스(1987), 페이지 101.
  24. ^ 웰스(1987), 페이지 107.
  25. ^ 웰스(1987), 페이지 119.
  26. ^ 딕슨(2009), 페이지 173.
  27. ^ League, The Broadway. "King John – Broadway Show". www.ibdb.com. Retrieved 21 March 2018.
  28. ^ 스트랫포드 셰익스피어 페스티벌 제작사
  29. ^ 보류 (2002), 페이지 23.
  30. ^ Billington, Michael (4 August 2006). "King John Swan, Stratford-upon-Avon". The Guardian.
  31. ^ Costa, Maddy (16 April 2012). "RSC's King John throws women into battle Shakespeare lived in a man's world – but the RSC is recasting his 'battle play' King John with women in the thick of the action". The Guardian.
  32. ^ Cousin, Geraldine (1994). King John. Manchester, England: Manchester University Press. pp. 64 et sec. ISBN 0719027535.
  33. ^ Curren-Aquino, edited by Deborah T. (1989). King John : new perspectives. Newark: University of Delaware Press. p. 191. ISBN 0874133378. {{cite book}}: first1=범용명(도움말)이 있습니다.
  34. ^ "Chicago Shakespeare Theater: Production History". www.chicagoshakes.com. Retrieved 13 June 2022.
  35. ^ "THIS SUMMER ALL THE WORLD"S A STAGE Bard on the Boulevard Continues with 'King John'". Cranford Chronicle. 4 July 2008.
  36. ^ Brantley, Ben (21 January 2000). "King John". The New York Times.
  37. ^ Bevington, David; Kastan, David, eds. (June 2013). "King John on stage". Shakespeare: King John and Henry VIII. New York: Random House.
  38. ^ "Home". Bard on the Beach. Retrieved 21 March 2018.
  39. ^ Cavendish, Dominic (7 June 2015). "King John, Shakespeare's Globe, review: 'could hardly be more timely'". The Telegraph. Retrieved 24 June 2015.
  40. ^ a b "King John will be present for Shakespeare in the cathedral". Worcester News. Retrieved 4 May 2018.

원천

  • Alexander, Peter (1929). Shakespeare's "Henry VI" and "Richard III". Cambridge.
  • Alexander, Peter (1961). Shakespeare's Life and Art. New York University Press.
  • Dickson, Andrew (2009). Staines, Joe (ed.). The Rough Guide to Shakespeare. Rough Guides (2nd ed.). London, UK. ISBN 978-1-85828-443-9.
  • Jowett, John; Montgomery, William; Taylor, Gary; Wells, Stanley, eds. (2005) [1986]. The Oxford Shakespeare: The Complete Works (2nd ed.).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926718-9.
  • Holderness, Graham; McCullough, Christopher (2002) [1986]. "Shakespeare on the Screen: A selective filmography". In Wells, Stanley (ed.). Shakespeare Survey. Vol. 39.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52377-X.
  • Honigmann, E.A.J. (1983) [1982]. Shakespeare's Impact on his Contemporaries. Hong Kong: The Macmillan Press Ltd. ISBN 0-333-26938-1.
  • Hunter, G.K. (1997). English Drama 1586–1642: The age of Shakespeare. The Oxford history of English Literature. Oxford, UK: Clarendon Press. ISBN 0-19-812213-6.
  • McMillin, Scott; MacLean, Sally-Beth (1999) [1998]. The Queen's Men and Their Plays.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59427-8.
  • Muir, Kenneth (1977). The Sources of Shakespeare's Plays. London: Methuen & Co Ltd. ISBN 0-416-56270-1.
  • Shakespeare, William (1965) [1954]. Honigmann, E.A.J. (ed.). King John. Welwyn Garden City: Methuen & Co. Ltd.
  • Shakespeare, William (1990). Beaurline, L.A. (ed.). King John (The New Cambridge Shakespea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29387-7.
  • Shakespeare, William (2008) [1989]. Braunmuller, A. R. (ed.). The life and death of King John. Oxford World's Classics.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53714-3.
  • Tillyard, E.M.W. (1956) [1944]. Shakespeare's History Plays. London, UK: Chatto & Windus.
  • Wells, Stanley; Taylor, Gary; Jowett, John; Montgomery, William (1987). William Shakespeare: a textual companion.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812914-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