킨키 키즈
KinKi Kids킨키 키즈 | |
---|---|
기원 | 일본. |
장르 | 제이팝 |
년 활동 | 1993년 | 의 현재의
레이블 | 조니즈 엔터테인먼트 |
관련 행위 | 제이 프렌즈 |
웹사이트 | 조니의 그물 |
회원들 | 도모토 고이치 도모토 쓰요시 |
킨키키키즈(キkiキ,, Kinki Kizzu)는 탤런트 에이전시 조니앤어소시에 소속된 도모토 고이치, 도모토 쓰요시로 구성된 일본의 듀오다. 비록 멤버들은 같은 성을 가지고 있지만, 그들 둘 다 킨키 지방에서 온 우박이기에 이 듀오의 이름이 붙여진 것뿐이다.[1] 킨키 키즈는 1993년에 결성되어 1997년 7월 21일에 정식 데뷔하였다.
킨키키즈는 데뷔 이후 가장 연속적인 싱글 1위(43편)를 기록했고, 일본 싱글 1위(25년, 1997년~2021년)로 가장 연속적인 1위를 차지해 기네스 세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2] 이들은 20개의 1위 앨범을 보유하고 있으며, 14개의 앨범이 연달아 발매되어 일본에서 3번째로 1위 앨범이 많은 아티스트가 되었다. 2천8백만 장의 실물 카피를 보유한 이들은 아시아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보이그룹 중 하나이며 일본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20명의 아티스트들이다. 1998년 이후 이 듀오는 도쿄돔에서 58번의 콘서트를 열어 돔에서 가장 많은 콘서트를 여는 아티스트가 되었다.
회원들
역사
1991 - 1993: 형성
이 두 사람은 1991년 5월 5일 요코하마 아레나에서 열린 히카루 겐지 콘서트에서 처음 만났다.[3] 비록 공식적인 이름을 가지고 있지 않았어 그때부터, 이 두 잡지 사진 촬영에 함께 출연하기로, 조니의 간사이 그룹, 도모토 브라더스와 W도모토 같은 몇가지 임시 이름을 할 때 SMA의 첫번째 일화에서 SMAP.[4][5]백업 댄서 였기 Kanzai Boya로 1992년 말에 의해 도입되기 전에 시작했다.Pv아리따운 쇼 키스 시타? 1993년 4월 4일 시작된 SMAP의 리더 나카이 마사히로 씨는 두 사람이 정규 편으로 출연했을 때 그들의 이름은 '킨키 키즈'라고 발표했다.
1994 - 1996: 돌파구, 버라이어티 쇼 및 드라마
1994년 7월부터 1994년 9월까지 코이치, 쓰요시 모두 닝엔 시카쿠라는 첫 드라마에 함께 출연했는데, 마지막 회에서 최고 시청률 28.9%를 기록했다.[4][6] 이 듀오는 짧은 시간 안에 인기를 얻었고 1994년 12월 31일 부도칸에서 첫 콘서트를 열었다.[3] 1995년과 1996년에는 츠요시가 드라마 《키디치 쇼넨노 지켄보 1·2》에서 킨디치를 맡았고, 코이치는 드라마 《이 나키 고 2》, 《긴로 카이키 파일》에서도 주연을 맡아 모두 평균 시청률 20% 이상을 달성했다.
1996년 4월부터 1996년 6월까지, 이 두 사람은 매우 다른 배경을 가진 친구들을 연기하면서 다시 한번 드라마 와카바노코로에 함께 출연했다. 츠요시는 동생들을 돌보기 위해 일하는 알코올 중독자 아버지와 함께 소년을 연기했고, 코이치는 부유하지만 사랑하지 않는 가정에서 자란 소년을 연기했다. 일본에서 가장 많이 시청하는 음악 품종 중 하나인 LOVE LOVE Aishiteru가 킨키키즈, 요시다 다쿠로가 1996년부터 방영하기 시작하면서 일본 젊은 세대들 사이에서 기타 공부 붐이 일었다. 이 2인조는 또한 1996년에 소르 이케 킨키 다이보켄과 소르 이케 킨키 다이호소 같은 이름을 딴 버라이어티 쇼를 가졌다. 1996년 12월 31일, 코이치의 드라마 긴로 카이키 파일의 주제곡이었던 미드나잇 셔플의 일부를 부르면서 코하쿠 우타 가센에서 곤도 마사히코의 조연으로 공연하였다.
1997 - 1999: 데뷔 및 밀리언셀러 히트
콘서트를 열고 여러 편의 고평가 품종과 드라마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이 듀오는 1997년 7월 21일에야 CD에 데뷔했다. 이들은 싱글 가라스노 쇼넨과 앨범 A앨범을 더블 발매하며 데뷔했다. 오리콘에 따르면, 두 곡 모두 100만 장이 넘게 팔렸고,[3][7] 이 두 곡은 첫 번째 싱글과 첫 앨범이 모두 100만 장 이상 팔린 두 번째 아티스트가 되었다.[7] 8월 23일부터 8월 24일까지, 그들은 NTV의 연례 텔레톤 24시간 텔레비전의 주요 성격 진행자로 임명되었다. 10월 18일부터 12월 20일까지 킨키키즈(KinKi Kids)는 보쿠라노 유키 미만 시(Bokura no Yuki Miman City)라는 세 번째 드라마에 함께 출연했으며, 주제곡 아이사레루 요리 아이시타이(Aisarru Yori Aishitai)도 11월 12일 발매되었다. 이 싱글은 오리콘 총 4주 동안 1위를 차지했고, 차트가 끝날 때까지 100만 장 이상이 팔렸다.[7] 연말까지 가라스노 쇼넨은 나미에 아무로의 '축하할 수 있니'에 이어 오리콘 연간 차트 2위에 올랐다.
1998년, 킨키 키즈는 조니의 그룹 V6, TOKIO와 함께 모리스 화이트, 다이앤 워렌, 엘튼 존, 존 본 조비, 마이클 잭슨 등 유명 뮤지션과 협업한 J-FRIENDS라는 특별한 자선단체를 결성하였다.[4][8][9][10] 1998년 1월 21일 발매된 J-FRIENDS의 싱글 아시타 가 키코루/어린이 홀리데이는 계속해서 100만 부 이상이 팔렸고, 연말까지 오리콘 연간 차트에서 12위에 올랐다.
1998년 7월 29일 발매된 이 듀오의 싱글곡 젠부 다키시메테/아오노 지다는 4주 연속 1위를 정점을 찍고 100만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며 연간 차트 10위에 올랐다. 게다가 그들의 1997년 싱글 앨범 "아사레루 요리 아이시타이"는 연간 차트에서 8위를 차지했다. 1998년 12월 31일, 킨키키즈(KinKi Kids)는 도쿄돔에서 콘서트를 열고 2016년까지 매년 새해에 도쿄돔 콘서트를 개최하기 시작했다. 1999년, 이 듀오의 7번째 싱글 플라워는 백만 부 이상이 팔린 오리콘 차트에서 10위를 차지하여, 이 듀오의 4번째 백만 부 싱글이 되었다. 이 2인조는 1999년 12월 31일 코하쿠 우타 가센에서 특별 게스트로 초청되었다.
2000 - 2003: 아시아 투어, 기네스 세계 기록
2000년에는 타이베이 101과 홍콩 컨벤션 센터에서 각각 개최되어 2월 22일부터 2월 27일까지 진행되었던 대만과 홍콩에서의 두 번째 아시아 투어와 그들의 두 번째 백만장자 앨범 KinKi Single Selection을 보았다.[11][12] 이 듀오는 2000년 3월 8일 츠요시가 작사, 코이치가 작곡한 음악이 오리콘 1위에 오르며 일본 아이돌 아티스트로는 처음으로 혼자서 작곡한 싱글 1위를 차지했다.
데뷔 이후 13차례의 킨키 키즈 싱글이 모두 오리콘 1위를 차지한 데 이어, 이들은 데뷔 싱글 이후 최다 연속 1위 싱글 기록을 갖고 있어 2002년 판의 참고서 기네스 세계기록에 이름을 올렸다.[13] 일본의 한 뮤지컬 예술가가 기네스북에서 인정받은 첫 사례였다.[13] 아일랜드 그룹 웨스트라이프가 이 듀오의 인가 전에 기네스 세계기록에 의해 이 기록 보유자로 등재된 것은 그들이 그룹으로 데뷔한 이후 7회 연속 영국 1위 싱글을 만들었기 때문이다.[13]
킨키키즈는 2002년 12월 26일부터 2003년 7월 28일까지 도쿄 돔, 오사카 돔, 나고야 돔, 후쿠오카 돔, 삿포로 돔에서 첫 5개의 돔 투어 '킨키키즈 돔 F콘서트 ~Fun Fan Forever'를 개최했다.
2004 - 2006: 기념일, KinKi Single Selection II
2004년 12월 24일 킨키키즈(KinKi Kids)는 20번째 싱글 Abniversary와 2번째 컴파일 앨범 KinKi Single Selection II를 발매하여 오리콘 싱글 차트 및 앨범차트 1위에 올랐다. 이는 한 아티스트의 싱글과 앨범이 동시에 오리콘 1위를 차지한 것은 이번이 7번째였으며, 데뷔 싱글과 앨범에 이어 이 듀오의 두 번째 성과였다. 게다가, 기념일은 2005년 연간 차트에서 6위를 차지했다. 이 듀오는 2005년 12월 24일부터 2006년 1월 1일까지 오사카 돔과 도쿄 돔에서 "킨키 키즈 H TOUR - Have A Nice Day-" 콘서트를 열었다. 도쿄돔에서 24번의 콘서트를 연 그들은 롤링스톤즈를 제치고 돔에서 가장 많은 콘서트를 여는 아티스트가 되었다.
2007 - 2008: 10주년 기념일
2007년 7월 21일 데뷔 1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킨키 키즈는 2007년 7월 18일 39라는 제목의 베스트 히트 앨범을 발매했다. 숫자 3과 9는 일본어로 '산규'(三")로 발음되며 영어로는 '고맙다'와 비슷하게 들리는데, 이는 킨키키즈가 지난 10년간 응원해준 팬들에게 고마움을 표시한다. 이 앨범에는 팬들이 투표한 상위 11명의 노래와 코이치, 츠요시의 두 개인 14곡의 노래 리스트가 총 39곡에 달하는 등 제목이 수록되어 있다.[14] 39권은 첫 주에 약 30만 1천 부가 팔렸다.[15] 같은 달, 이 2인조는 데뷔 이후 25번 싱글로 자신의 기록을 연장함으로써 가장 연속적인 1위 싱글을 달성한 공로로 기네스 세계 기록으로부터 다시 한번 인정을 받았다.[16][17] 2007년 7월 22일, 도쿄돔에서 10주년 기념 콘서트를 열었는데, 약 6만 7천 명의 팬들이 몰려 돔에서 열린 콘서트 중 가장 큰 규모였다. 이 기록은 앞서 나가부치 쓰요시가 1992년 자신의 콘서트에 6만5000명의 관객이 몰렸을 때 갖고 있던 것이다.[18]
2008년 5월 31일, 이 두 사람은 8년 만에 첫 여름 투어를 발표했다. 이 투어는 2008년 7월 21일 도쿄 돔에서 시작되어 11주년 기념식과 함께 도쿄 돔 콘서트 최다 개최 기록을 연장했다.[19][20]
2009 - 2015: J 앨범, K 앨범, L 앨범, M 앨범
이들은 2009년 1월 28일 오리콘 차트 1위에 데뷔한 28번째 싱글 '야쿠소쿠'(oku", "Promise")를 발표해 기네스 기록을 연장은 물론 1위 싱글로 최다 연속 오리콘 기록을 경신했다.[21] 2009년 10월 28일 발매된 이 듀오의 29번째 싱글 "Swan Song"( (スソンソ, 수완 송우)은 오리콘 차트 상위권에 데뷔하며 기록을 연장했다.[22] 그들의 14집 앨범 J 앨범은 2009년 12월 9일에 발매되어 오리콘 1위를 차지했다. 2010년 말에, 이 듀오는 30번째 싱글 "Family: 히토츠니나루코토"(가족 ~ひとつにな,,, "가족: To Be One)), 츠요시가 작사한 가사와 코이치가 작곡한 음악으로. 다이너스티 워리어 7의 주제곡으로도 사용된 그들의 31번째 싱글 "타임"이 그들의 기네스 세계 기록을 다시 연장했다. 이 듀오는 2011년 11월 9일 오리콘 차트 상위권에 데뷔한 K 앨범을 발매했다. 킨키 키즈는 2012년 새 싱글 '카와타 카타치노 이시'(変わたた,, "오드형 돌")로 시작했다.[23] 이 듀오는 2013년 12월 4일과 2014년 12월 10일에 16집과 17집 L 앨범과 M 앨범을 발매했는데, 둘 다 오리콘에서 1위를 차지했다.
2016 - 2017년: 20주년
이 듀오는 2016년 7월 20일 싱글 바라(Bara)를 타이유(Taiyou)에 발매하면서 데뷔 20주년을 시작했으며, 이어 2016년 9월 21일 앨범 N앨범 발매, 2016년 11월 2일 싱글 미찌와 테즈카라 유메(Michi Wa Tezukara Yume no Nana)가 발매되어 오리콘 1위를 차지했다. 킨키키즈(KinKi Kids)는 지난 2016년 9월 29일부터 11월 12일까지 16년 만에 첫 아레나 투어를 개최해 1994년 첫 콘서트를 가졌던 부도칸으로 돌아왔다. 2016년 12월 31일, 듀오는 정식 참가자로 고하쿠 우타 가센에 첫 출연(1996년과 1999년 게스트로 현지에서 공연한 적은 있지만)하여 데뷔 싱글인 가라스노 쇼넨을 공연하였다. 2017년 7월 12일, 이 듀오는 38번째 싱글 "The Red Light"를 발매하여 오리콘 1위에 올랐다. 1997년 이후 매년 싱글 1위를 차지한 킨키즈는 B'z를 추월해 일본 1위 싱글로 최다 연속 1년차 아티스트가 됐다. 이 2인조는 7월 15일과 16일에 요코하마 스타디움에서 20주년 기념 행사를 열었다.[24] On 21 July 2017, the day commemorate the 20th anniversary of debut, the sequel of 1997 drama Bokura no Yūki Miman City starred Koichi and Tsuyoshi was aired as a special drama Bokura no Yūki Miman City: 2017 in NTV, and the music show LOVE LOVE Aishiteru, hosted by KinKi Kids and ended in 2001, revived for one night only in Fuji Television.
2018 - 현재: 토파즈 러브, O 앨범
킨키키즈(KinKi Kids)는 2018년 1월 24일 제39회 싱글 '토파즈 러브/데스티니(Topaz Love/Destiny)'를 발매했는데, 이 싱글은 세 번째 자작곡이다(쓰요시의 연기와 코이치의 음악). 그것은 다시 1위에 올랐고 2009년 이후 이 듀오에게 가장 잘 팔린 싱글이다. 2018~2020년 발매된 3개의 후속 싱글은 모두 1위에 오르며 데뷔 이래 가장 연속적인 1위 싱글과 일본 1위 싱글의 기록을 각각 42편과 24년으로 연장했다. 이 듀오는 2020년 12월 23일 4년 만에 첫 스튜디오 앨범을 발표해 20번째 1위 오리콘 1위에 올랐다. 21개의 앨범을 발매하여 20개의 앨범이 1위에 올랐으며, 하마자키 아유미와 결탁하여 일본에서 3번째로 많은 1위 앨범을 가지고 있는 아티스트가 되었다.
음반 목록
스튜디오 앨범
- A 앨범 (1997)
- B 앨범(1998)
- C 앨범(1999)
- D 앨범(2000)
- E 앨범(2001)
- F 앨범(2002)
- G 앨범: 24x7(2003)
- H 앨범: 손(2005)
- I 앨범: ID (2006)
- 파이(2007)
- J 앨범(2009)
- K 앨범(2011년)
- L 앨범(2013년)
- M 앨범(2014년)
- N 앨범 (2016)
- O 앨범(2020)
필모그래피
솔로 활동은 도모토 고이치 또는 도모토 쓰요시를 각각 참조한다.
텔레비전(호스트 또는 일반)
연도 | 제목 | 역할 | 참고 |
---|---|---|---|
1993-1994 | 카요 빈빈 하우스 | 조수 | |
1993-1996 | 키스 시타? SMAP | 정규 | |
1993-1997 | 아이돌 온 스테이지 | 연주자 | |
1994 | 초진 도지 볼 덴세쓰 | 연주자 | TV 스페셜 |
1994 | 이츠모 카가야쿠 아이돌 | 연주자 | TV 스페셜 |
1995-2020 | 뮤직 스테이션 | 연주자 | 116회 |
1996 | 소레이키킨키다이보켄 | 호스트 | |
1996-1997 | 토키킨 | 정규 | |
1996-1998 | 소레이키킨키다이호소 | 호스트 | |
1996-1997 | 마케타라 아칸! | 호스트 | |
1996-1997 | 바리킨7켄야노센랴쿠 | 호스트 | |
1996-2001 | LOVE LOVE 아이시테루 | 호스트 | |
1996-2016 | 코하쿠우타가센 | 관류체 | 3회(특별 게스트: 1996,1906; 공식 게스트: 2016) |
1997 | 24시간 텔레비전 | 호스트 | 텔레톤 |
1997 | 스타 도끼리 다이사쿠센 | 호스트 | |
1998 | 규! 다키시메타이 토 | 호스트 | |
1998-1999 | 킨키키즈노규! | 호스트 | |
2001-2014 | 도모토 브라더스 | 호스트 | LOVE LOVE 아이시테루의 성공 |
2006 | LOVE LOVE 도모토 브라더스 10수넨 스페셜 | 호스트 | TV 스페셜 |
2013-2017 | 노래들 | 그들 자신들 | 4부작 (연출) |
2014-현재 | 킨키키즈노번번번 | 호스트 | |
2015 | 도모토 브라더스 2015 | 호스트 | TV 스페셜 |
2015 | 이노치노우타 | 호스트 | TV 스페셜 |
2016 | 도모토 브라더스 2016 | 호스트 | TV 스페셜 |
2016 | 도모토 브라더스 모수구 크리스마스 스페셜 | 호스트 | TV 스페셜 |
2017 | LOVE LOVE Aishiteru가 16년 만에 부활 특집으로 돌아온다. | 호스트 | TV 스페셜 |
2017 | 도모토 브라더스 2017 | 호스트 | TV 스페셜 |
2018 | 도모토 브라더스 2018 | 호스트 | TV 스페셜 |
2019 | 도모토 브라더스 2019 | 호스트 | TV 스페셜 |
2020 | 도모토 브라더스 2020 | 호스트 | TV 스페셜 |
텔레비전(배우로서)
연도 | 제목 | 역할 | 참고 |
---|---|---|---|
1994 | 닝엔시카쿠 | 코이치 - 카게야마 루카 쓰요시 - 오바 마코토 | 주요 역할 |
1996 | 와카바노코로 | 츠요시 - 아이자와 다케시 코이치 - 카이 후지키 | 주연 |
1997 | 보쿠라노유우키미만시 | 코이치 - 야마토 츠요시 -타케루 | 주연 |
2000 | 마하부이로쿠 빅 다이사쿠센 | 그들 자신들 | TV 스페셜; 게스트 |
2003 | 무코도노 | 그들 자신들 | 에피소드 6; 게스트 |
2017 | 보쿠라노유우키미만시티 : 2017년 | 고이치 - 야마토 신도 츠요시 - 타케우타키카와 | TV 스페셜; 주연; 1997년 드라마의 속편 |
영화
- 1992년: 200X 넨 쇼
- 1994: 슛!
무대
- 1993년: 또 다른 사람
더빙 역할
콘서트
- 95년 (1994년 12월 ~ 1995년 1월)의 KinKi Kids 킥오프
- KinKi Kids 95 SEART CONCERT (1995년 3월 - 5월)
- 95년 SUMMER 시작(1995년 7월)
- 긴키라키니킨키키즈96(1995년 12월 - 1996년 1월)
- 로슨, 킨키 키즈 96 (1996년 1월 - 2월)
- 킨키 나고야 도쿄 3ka SHOW (1996년 4월~5월)
- 킨키 키즈 96 나쓰 다! 제닌슈고! (1996년 7월~8월)
- SHOW Gattsu SHOW (1996년 12월 - 1997년 1월)
- 로슨, 킨키 키즈 1997년 2월 (1997년 2월)
- KinKi Kiss In Dream Spring SHOW (1997년 3월~5월)
- 소보 콘서트 (1997년 7월~8월)
- 해피 데이트 (1997년 12월 - 1998년 1월)
- 로손, 킨키 키즈 98 (1998년 1월 - 2월)
- 킨키 키즈 98 스프링 콘서트 해피 데이트 (1998년 5월)
- 1998년 하계 콘서트 (1998년 7월~8월)
- '98~'99년 겨울 콘서트 (1998년 12월~99년 1월)
- 1999년 하계 콘서트 (1999년 7월~8월)
- 윈터 콘서트 (1999년 12월)
- 킨키키즈 돔 콘서트 「토쿄돔의 러브러브2000」(2000년 1월)
- 제1회 아시아 투어 킨키 키즈 밀레니엄 콘서트 인 홍콩 (2000년 2월)
- KinKi Kids Selection Stadium Tour King Of SUMMER 2000 (2000년 7월 - 9월)
- 도모토돔데다닌키킨키키즈콘서트 2000~2001 (2000년 12월~2001년 1월)
- KinKi Kids Returns! 2001년 홍콩 타이페이 콘서트 투어(2001년 5월)
- KinKi Kids FILM CONCERT 2001 SUMMER (2001년 8월)
- 킨키 키즈 돔 콘서트 '민나 겐키 카이?'(2001년 12월2002년 1월)
- 킨키키즈 돔 F콘서트 ~Fun Fan Forever~(2002년 12월2003년 1월)
- 킨키키즈 돔 F콘서트 ~Fun Fan Forever·Eien no BloodS~ (2003년 5월~6월)
- KinKi Kids 24x7 G TOUR (2003년 12월 - 2004년 1월)
- KinKi Kids DOME TOUR 2004-2005 ~Font de Anniversary~~ (2004년 12월~2005년 1월)
- KinKi Kids H Tour -Have A Nice Day- (2005년 12월 - 2006년 1월)
- 킨키키즈콘서트 투어 2006-2007 「겨울의 조화 -iD-」(2006년 12월~2007년 1월)
- 도쿄돔에서 열린 킨키키즈 10주년 기념식(2007년 7월)
- We ön' 39!! 그리고 U?KinKi Kids Live in DOME 07-08 (2007년 12월~2009년 1월)
- 킨키키즈킨큐투어킨키유콘서트。(2008년 7월~11월)
- 킨키키즈킨큐투어킨키유유콘서트。다이니단(2008년 11월2009년 1월)
- 킨키키즈 콘서트 투어J (2009년 12월~2010년 1월)
- 킨키 키즈 2010-2011 ~키미모 도모토 패밀리 ~ (2010년 12월~2011년 1월)
- King·KinKi Kids 2011-2012 (2011년 12월 - 2012년 1월)
- 킨키키즈콘서트 2012-2013년 15년(2012년 12월~2013년 1월) 감사
- L 앨범 스페셜 라이브 (2013년 12월)
- 킨키키즈콘서트 2013-2014 「L」 (2013년 12월~2014년 1월)
- 킨키키즈콘서트 「메모리와 순간들」 (2014년 12월~2015년 1월)
- 2015-2016 콘서트 킨키 키즈(2015년 12월~2016년 1월)
- 우리는 킨키키즈 라이브 투어 2016 ~TSUYOSY & KOICHI~ (2016년 9월~11월) 입니다.
- 우리는 킨키키즈 돔콘서트 2016-2017 ~쓰요시&유앤코이치~ (2016년 12월~2017년 1월)
- MTV 언플러그드:킨키키즈 (2017년 5월)
- 킨키 키즈 파티!~20년 감사~ (2017년 7월)
- 킨키키즈콘서트 20.2.21~모든 일이 다 이유가 있어~ (2017년 12월~2018년 1월)
- 킨키키즈콘서트 투어 2019-2020 Tanks 2 YOU(2019년 12월~2020년 1월)
- 킨키키즈 선물선택 2020년 크리스마스(2020년 12월, 온라인)
- 킨키 키즈 오 쇼가츠 콘서트 2021년 (2021년 1월, 온라인)
리셉션
오리콘 스타일은 2006년 일본 10~49세 연령층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판매곡 1위 '행복한 인사말'(60만8790장)을 일본에서 4번째로 인기 있는 발렌타인 데이 곡으로 꼽았다. 가장 인기 있었던 곡은 1986년 데뷔 싱글 '발렌타인 키스'로 31만7000장밖에 팔리지 않았다. 상위 5위 안에 든 다른 곡들은 (순서에 따라) 드림스 컴 트루(248만8630부), 마쓰토야 유미의 발렌타인 라디오(160만6780부), 마일즈 데이비스의 마이 퍼니 발렌타인(My Funny Valentine) 순이었다.[26]
수상
연도 | 식 | 상 | 지명자/작업 | 결과 |
---|---|---|---|---|
2000 | 제26회 텔레비전 드라마 아카데미상 | 베스트 테마송 | 「나쓰노오사마」(여름눈) | 원 |
2003 | 제35회 텔레비전 드라마 아카데미상 | 베스트 테마송 | "솔리티: 신지쓰노사요나라"(원격)[27] | 원 |
참고 항목
참조
- ^ "KinKi Kids Biograph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9, 2010. Retrieved October 15, 2009.
- ^ "Weekly Oricon Chart". Artistdirect, In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18, 2012. Retrieved January 18, 2012.
- ^ a b c "Shounen Club Premium". (in Japanese). July 15, 2007. NHK.
{{cite episode}}
: 누락 또는 비어 있음series=
(도움말) - ^ a b c "Kinki Kids Biography". Artistdirect, Inc. Retrieved October 21, 2009.
- ^ "Johnny & Associates, Inc". Jame-World. Retrieved October 16, 2009.
- ^ 人間・失格 たとえばぼくが死んだら(人間失格) (in Japanese). TVdrama-DB. Retrieved October 23, 2009.
- ^ a b c "1997 Million-Seller List" (in Japanese). RIAJ. Retrieved October 17, 2009.
- ^ "Next 100 Years" (in Japanese). Johnny's ne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21, 2009. Retrieved October 23, 2009.
- ^ "Love Me All Over" (in Japanese). Johnny's ne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6, 2009. Retrieved October 23, 2009.
- ^ "People of the World" (in Japanese). Johnny's ne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21, 2009. Retrieved October 23, 2009.
- ^ "KinKi Kids 2000 Biography" (in Japanese). Johnny's ne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25, 2009. Retrieved October 28, 2009.
- ^ "2000 Million-Seller List" (in Japanese). RIAJ. Retrieved October 17, 2009.
- ^ a b c キンキ13連続初登場1位をギネスが認定. Nikkan Sports (in Japanese). January 3, 200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5, 2002. Retrieved June 5, 2010.
- ^ "YesAsia 39". YesAsia. Retrieved October 15, 2009.
- ^ "Hamasaki ties Nakamori for singles record". Tokyograph. July 23, 2007. Retrieved October 28, 2009.
- ^ "A Record Weekend for Kinki Kids". Japan Zone. July 23, 2007. Retrieved October 23, 2009.
- ^ "MoMusu, KinKi Kids set records with new singles". Tokyograph. April 30, 2007. Retrieved October 28, 2009.
- ^ "KinKi Kids hold largest Tokyo Dome concert ever". Tokyograph. July 22, 2007. Retrieved October 28, 2009.
- ^ "KinKi Kids announce summer concert tour". Tokyograph. May 31, 2008. Retrieved October 28, 2009.
- ^ "KinKi Kids return to Tokyo Dome". Tokyograph. October 13, 2009. Retrieved October 28, 2009.
- ^ "Charts: KinKi Kids, Kumi Koda". Tokyograph. February 4, 2009. Retrieved October 28, 2009.
- ^ 2009年11月第2週のシングルランキング情報. Oricon (in Japanese). Retrieved November 8, 2009.
- ^ "KinKi Kids get 32nd consecutive No.1". Oricon. Retrieved January 17, 2012.
- ^ "KinKi Kids to hold 20th anniversary live at Yokohama Stadium". Tokyohive. 6Theory Media, LLC. May 8, 2017. Retrieved May 12, 2021.
- ^ "KinKi Kidsが日本語版の主演、F1映画『RUSH』". Auto Sport. 2013-10-24. Retrieved 2017-05-14.
- ^ 大公開!『バレンタインソング』といえばこの曲! [The Great Exhibition! When speaking of a "Valentine song", this is the song!] (in Japanese). Oricon Style. February 3,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17, 2010. Retrieved March 17, 2010.
- ^ "ザテレビジョン ドラマアカデミー賞: 第35回ドラマソング賞「solitude~真実のサヨナラ~」KinKi Kids" (in Japanese). Television Drama Academy Awards. Retrieved October 31,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