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바
Subah of Lahore라호르의 수바는 중앙 펀자브 지역을 아우르는 무굴 제국의 소분지였으며, 그 일부는 현재 파키스탄과 인도에 속해 있다.
지리
라호르의 수바는 북쪽으로는 카슈미르 수바, 서쪽으로는 카불 수바, 남쪽으로는 델리 수바와 무탄 수바, 북쪽으로는 반자율 언덕 주와 접해 있었다.[1]
역사
Mughal 제어
1519년 바부르는 먼저 인더스 강을 건너 브헤라와 쿠샤브에 이르는 신드 사가 도압 전체를 장악하고 1524년까지 라호르를 해고하였다. 그리고 나서 그는 라호르에 있는 미르 압둘 아지즈를 포함하여 새로 점령한 영토의 주요 직책에 대표를 임명했다.[2] 그는 계속해서 쿠틸라, 하루르, 칼루르와 같은 몇 개의 주요 언덕을 차지하였다.[1] 1526년까지 인더스 강에서 수틀레지에 이르는 전 지역이 그의 지배하에 있었다.
바부르가 죽은 후 아들 캄란은 델리에 근거지를 둔 후마윤이 묵인하는 행위인 수틀레즈까지 이 지역을 합병했다. 현재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역의 자원이 부족한 후마윤은 셰르 샤 수리를 상대로 한 분쟁에서 고군분투하며 카불로 도망쳤다.[1] 그 지역은 이제 수르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셰르샤는 닐랍에서 라호르까지 지역을 노 대통령의 아프간인들과 함께 채우는 정책을 수립했다.[3] 그 다음 그는 무굴인들과 친하다고 의심하는 각하르족에 대한 캠페인을 시작했다.[3] 이 기간 동안 셰르샤는 젤룸 근처에 로타스 요새를 건설했다. 셰르 샤의 후계자 이슬람 샤의 사망 이후. 1556년 수르 제국은 네 개의 분리된 적대적인 분열로 분열되었다. 펀자브 지역은 델리와 아그라도 지배했던 시칸다르 수리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그러나 후마윤 휘하의 무굴군은 1556년 파니파트 전투에서 시칸다르를 격파하고 펀자브와 인도 북부를 가로질러 무굴 제국을 다시 세웠다.
그 후 24년 동안 무굴들은 펀자브에서 점차 권력을 공고히 했다. 현지 자민다르, 힐 요새, 아프간 기득권 잔당들을 진압하기 위한 캠페인이 이어졌다. 각하르족은 라이사랑의 아들 카말 칸 밑에서 공동 선택되어 무굴정치에 동화되었다.[1] 1566년과 1581년, 아크바의 이복동생인 미르자 하킴은 라호르 점령에 성공하지 못했다.
1580년에 악바는 그의 영토를 12개의 수바로 다시 조직했는데, 그 중 하나가 라호르 수바였다.
사양
1712년 바하두르 샤의 죽음 이후, 무굴 제국은 강력하고 경쟁적인 귀족들의 영향을 받은 일련의 통치자들에 의해 통치되었다. 제왕적 권위의 침식은 곧 지방 통치자들이 독립을 선언하기 시작한 지방에 영향을 미쳤다. 영토를 잃고, 지방에 대한 군사적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한 것이 제국 전역의 수입과 재정위기로 이어졌다.[1] 라호르 수바에서는 총독의 임기가 늘어나 세습직으로 보이기 시작했다.[4] 1713년에서 1745년 사이에 총독 역할은 아버지와 아들 압둘 사마드 칸과 자카리야 칸 두 사람만이 맡았다.[1]
자카리야 칸의 죽음은 수바에서 무굴 통치의 종말을 더욱 재촉했다. 황제 무함마드 샤와 그의 와지르인 캄루딘의 갈등은 후임 총독 임명 지연으로 이어졌다.[1] 결국, 캄루딘은 라호르와 무탄 수반의 주지사가 되었고, 그는 첫 번째 미르 모민 칸과 후에 야히아 칸을 두 수반의 주지사로 임명했다.[1]
자카리야 칸의 죽음 이후 강력한 정부의 부재는 야히야 칸의 발목을 잡았다. 그는 시크교도들의 증가된 습격과 고 자카리야 칸의 아들인 하야툴라 칸의 반란을 처리할 수밖에 없었다.[1] 1747년 3월 21일 하야툴라 칸은 전투에서 야야 칸을 성공적으로 물리쳤다. 야히야 칸의 축출은 합법적으로 임명된 총독이 수바에서 쫓겨난 첫 사례였다. 무굴 중앙정부와 자신의 지위를 합법화하려는 그의 시도가 실패하자 하야툴라 칸은 두라니 제국의 에미르인 아흐마드 샤 두라니와 동맹을 맺었다. 이에 무굴 정부는 그를 합법화하고 그가 두라니(Durrani)를 물리치면 카불, 카슈미르, 테타, 라호르(Lahore), 무탄(Multan)의 수바들을 그에게 부여하겠다고 제의했는데, 그가 받아들인 제안이었다. 1748년 1월 하야툴라 칸은 아프간인들에게 패배하고 델리로 도망쳤다.[1]
라호르를 점령한 아프간인들은 델리로 향했지만 1748년 3월 시린드에서 패배했다. 아프가니스탄 사람들을 배웅한 무굴들은 캄루딘의 아들 무이눌 멀크를 라호르와 무탄 수바스 총독으로 임명하였다. 두라니는 차하르 마할의 수입, 즉 시알코트, 구즈랏, 파스루르, 오랑가바드를 아프간인들에게 주는 평화협정을 맺게 되면서 2차 침공을 감행했다. 그 후 그는 최초의 나자르 칸, 차하르 마할의 수입을 거두기 위해 임명된 아프간인, 그리고 후에 하야툴라 칸에 의해 반란을 맞았는데, 둘 다 델리에 근거지를 둔 새로운 무굴 와지르의 선동으로 말이다.[1] 무이눌 멀크는 두 반란을 모두 성공적으로 물리쳤음에도 불구하고 차하르 마할의 수입을 내지 못해 두라니로부터 공격을 받았다. 델리의 중앙정부의 지원이 부족했던 그는 이전의 두 번의 선거 운동에서 자신을 도왔던 시크 용병들을 다시 입대시켰다.[1] 압달리와의 오랜 갈등은 수바 전역에 걸쳐 광범위한 파괴로 이어졌고 1752년 무이눌 멀크는 마침내 아프간군에게 패배했다. 라호르의 수바는 현재 아프간에 합병되었으나, 무이눌 멀크는 1753년 11월 4일 사망할 때까지 통치하게 되었다. 무굴들은 계속해서 수바에서 권위를 주장하였고, 1756년 잠시 수바를 재점령하기도 하였으나 순식간에 패배하였다.[1]
관리
수바는 총독에 의해 통치되었는데, 수부라 불린다. 그의 임무는 평화 유지, 북부 산간 지역 진압, 법정에서 사건 심리, 지방 관리 감독, 공익 사업 수행 등이었다.[1] 보통 한 명의 주지사가 임명되었지만, 악바르 통치 기간 동안 그는 한 명의 주지사가 법정에 나오거나 병에 걸릴 경우를 대비하여 두 명의 주지사를 임명했다.[5] 악바는 펀자브에서 앳카 카일을 경험한 후, 주지사들이 너무 강력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주지사를 이양할 필요가 있다고 더욱 믿었다. 이와 같이, 그 역사의 상당 부분 동안, 주지사들은 수바에서 짧은 기간 동안만 근무했다.[5]
디완은 모든 재정 업무를 담당했으며, 모든 파우즈다르, 자미다르, 아민다르, 카로리스, 콰닌고 등이 디완에게 수익 문제를 의뢰하도록 요구되었다.[1] 1595년 총독으로부터 독립하여 중앙정부에서 다이완-이알라의 직할하에 두게 되었다.
지방 박시가 군사를 통제했다. 그는 만사브다르들이 그들의 임무를 완수하도록 보장하고 그런 취지의 증명서를 발급했다. 박시는 수바의 공식 뉴스 기자로도 활동하여 중앙정부에 모든 일을 보고하였다.[1]
수바의 수도 라호르에서는 콰지(Qazi)가 임명되어 사건을 듣고 수사를 수행하고 판결을 내렸다.[1]
저명한 주지사
다음은 중앙 무굴 정부가 임명한 라호르 수바의 주목할 만한 주지사 명단이다.[5][6]
16세기
- 사이드 칸
- 라자 바관 다스
- 라이라이 싱
- 쿠화자 샴수딘 카피
17세기
18세기
참고 항목
참조
- ^ Jump up to: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Singh, Surinder (1985). The Mughal Subah of Lahore, 1581-1751: A Study of Administrative Structure and Practices. Panjab University.
- ^ Shyam, Radhey (1978). Babur. Janaki Prakashan. p. 291.
- ^ Jump up to: a b Prasad, Ishwari (1976). The Life and Times of Humayun. Central Book Depot. p. 92.
- ^ Singh, Surinder (1985). The Mughal Subah of Lahore, 1581-1751: A Study of Administrative Structure and Practices. Panjab University.
- ^ Jump up to: a b c >후세인, A. (1970) 악바 (1580년-1605년) 휘하의 주지사들. 인도 역사 의회의 의사진행 32, 269-277. www.jstor.org/stable/44141074에서 2020년 8월 1일 검색
- ^ 알리, M. 아타르 "샤 자한 휘하의 주지사 - 분석" 인도 역사 의회의 의사록, 제32권, 1970년, 페이지 288–319, www.jstor.org/stable/44141077. 2020년 8월 1일 접속.
추가 읽기
- Irfan Habib (1999) [First published 1963]. The Agrarian System of Mughal India, 1556-1707 (2nd e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8077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