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세포폐암
Large-cell lung carcinoma대세포암 | |
---|---|
전문 | 종양학/펄몬학 |
대세포암(LCC, LCLC)은 작은 세포암과 선암 또는 편평한 분화의 세포질 및 건축적 특성이 결여된 미분화 악성 종양의 이질적인 집단이다. LCC는 폐의 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NSCLC(비소세포 폐암)의 일종으로 분류된다.
프리젠테이션
환자들은 일반적으로 비생산적인 기침과 체중 감소를 동반한다.[citation needed]
진단
LCC는 종양 세포가 소세포암, 편평세포암, 아데노카시노마 또는 기타 보다 구체적인 형태의 폐암으로 분류할 수 있는 가벼운 미시적 특성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사실상 "배제의 진단"이다.[citation needed]
LCC는 주로 무탄성 세포의 큰 크기, 세포질 대 핵 크기 비율, "소금-과-피퍼" 색소 결핍에 의해 소세포 폐암(SCLC)과 차별화된다.[citation needed]
분류
세계보건기구(WHO) "폐암 스키마의 역사 타이핑" 최신 개정판에는 다음과 같은 LCC 변종이 포함되어 있다.
- 폐의 거대 세포암
- 폐의 기저세포암
- 폐의 투명한 세포암
- 폐의 림프구피혈종성암
- 횡혈성 표현형을 가진 대세포 폐암
- 폐의 대세포 신경내분비암
대세포신경내분비암(LCNEC)
임상적으로 중요한 하위 유형 중 하나는 "대세포 신경내분비암"(LCNEC)[1]으로 신경내분비 세포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2]
또한, "복합형 대세포 신경내분비암"(또는 c-LCNEC)이라고 불리는 "하변량"이 새로운 시스템 하에서 인식된다. c-LCNEC로 지정되려면 종양은 다른 형태의 NSCLC의 10% 이상과 조합하여 10% 이상의 LCNEC 세포를 포함해야 한다.
병리학 영상
발생
대부분의 시리즈에서 LCLC는 모든 폐암의 5%와 10%를 차지한다.[citation needed]
간호사 건강 연구에 따르면, 대형 세포 폐암의 위험은 이전 흡연 이력과 함께 증가하며, 이전 흡연 기간은 30~40년으로 금연자에 비해 상대적 위험은 약 2.3년, 상대적 위험은 약 3.6년이다.[4]
또 다른 연구는 흡연이 대규모 세포 폐암의 주요 원인이라고 결론지었다. 현재 흡연자의 경우 하루 2갑 이상 흡연과 관련된 승산비는 남성이 37.0명, 여성은 72.9명으로 추산됐다.[5]
미국 코미디언 앤디 카우프만은 1984년 목숨을 앗아간 이 병의 주목할 만한 환자였다.
참조
- ^ Fernandez FG, Battafarano RJ (October 2006). "Large-cell neuroendocrine carcinoma of the lung". Cancer Control. 13 (4): 270–275. doi:10.1177/107327480601300404. PMID 17075564.
- ^ Cotran RS, Kumar V, Fausto N, Robbins SL, Abbas AK (2005). Robbins and Cotran pathologic basis of disease. St. Louis, Mo: Elsevier Saunders. p. 762. ISBN 978-0-7216-0187-8.
- ^ 흡연자들은 1년 이상의 기간 동안 현재 흡연자 또는 이전 흡연자로 정의했다. 백분율(%)은 Commons의 이미지 페이지를 참조하십시오. 참조:
- ^ Kenfield SA, Wei EK, Stampfer MJ, Rosner BA, Colditz GA (June 2008). "Comparison of aspects of smoking among the four histological types of lung cancer". Tobacco Control. 17 (3): 198–204. doi:10.1136/tc.2007.022582. PMC 3044470. PMID 18390646.
- ^ Muscat JE, Stellman SD, Zhang ZF, Neugut AI, Wynder EL (July 1997). "Cigarette smoking and large cell carcinoma of the lung". 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 Prevention. 6 (7): 477–480. PMID 9232332.
외부 링크
- [1] 세계보건기구 폐 및 흉막종양의 역사학적 분류. 제4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