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리사(지역단위)
Larissa (regional unit)라리사 Περιφερειακή ενότητα Λάρισας | |
---|---|
![]() 라리사의 행정 구역 | |
![]() 그리스 내 라리사 | |
좌표: 39°40˚N 동경 22도 30분 / 39.667°N 22.500°E좌표: 39°40′N 22°30′E / 39.667°N 22.500°E/ | |
나라 | 그리스 |
지역 | 테살리 |
자본 | 라리사 |
면적 | |
• 합계 | 5,381 km2 (2,078 sq mi) |
인구 (2011) | |
• 합계 | 284,325 |
• 밀도 | 53/km2(140/sq mi) |
시간대 | UTC+2 |
• 여름(DST) | UTC+3(EEST) |
우편번호 | 40xx, 41xx |
지역 번호 | 241, 2491, 2492, 2493, 2494, 2495 |
ISO 3166 코드 | GR-42 |
카 플레이트 | ρι (로 이오타) |
Larissa (Greek: Περιφερειακή ενότητα Λάρισας) is one of the regional units of Greece. 테살리 지역의 일부다. 수도는 라리사 시이다. 총인구 284,325명(2011년)이다.
지리
라리사는 그리스에서 두 번째로 큰 지역 단위로서, 아에톨리아-아카르나니아만 능가한다. 테살리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 북서쪽으로는 코자니, 북동쪽으로는 피에리아, 동쪽으로는 에게해, 남동쪽으로는 마그네시아, 남쪽으로는 프티오티스, 남서쪽으로는 카르디차, 서쪽으로는 트라이칼라의 지역 단위와 접하고 있다.
그리스에서 가장 높은 산인 올림푸스 산(2,917m)은 지역 단위의 북동쪽에 위치해 있다. 오사 산은 동쪽, 에게 해안에 위치해 있다. 파인디오스 강의 하류는 올림푸스와 오사 사이에 있는 템페의 베일을 통해 흐른다.
북부 지역은 숲으로 덮여 있지만, 지역 단위의 대부분은 비옥한 땅인 테살리안 평야다.
기후
라리사는 주로 더운 여름과 온화한 겨울의 지중해성 기후를 가지고 있다. 산지, 특히 북쪽과 올림푸스 산의 겨울은 더 혹독하다. 라리사는 종종 그리스에서 여름에 가장 따뜻하고 겨울에 가장 추운 지역이다. 역대 최고기온은 45.4℃(2000년)로 가장 낮았고 -21.6℃(1968년)로 가장 낮았다. 그 도시는 40 °C 이상의 기온을 매우 자주 경험한다.
관리
지역 단위인 라리사는 7개 자치구로 세분된다. 다음은 다음과 같다(인포박스의 지도와 같은 번호:[1]
현
라리사는 1882년 현(그리스어: νομός λάααααα)으로 만들어졌다. 2011년 칼리크라티스 정부 개혁의 일환으로, 지역 단위인 라리사는 구 현 라리사로부터 창설되었다. 현은 현재의 지역 단위와 같은 영토를 가지고 있었다. 동시에, 아래의 표에 따라, 자치체들을 재편성하였다.[1]
역사성
주: 그리스에서 지방은 더 이상 법적 지위를 갖지 않으며, 2006년에 폐지되었다.
역사
라리사 지역은 펠라스기아인들이 더 넓은 그리스 문화에 병합되기 전까지의 본거지였다. 이 지역은 침략을 받아 몇 세기 후 마케도니아 왕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제3차 마케도니아 전쟁 이후 로마 공화국에 의해 정복되었다. 로마 제국 시대는 오스만 제국이 차례로 계승한 비잔틴 통치가 뒤따랐다. 테살리의 일부는 그리스 독립 전쟁 중에 반란을 일으켰지만, 테살리는 오스만 터키의 통치하에 머물렀다. 1878년 베를린 의회에서 그리스에 수여되었고, 비록 타이르나보스, 엘라소나, 사란타포로 등 근대 라리사 현의 일부가 오스만으로 남아 있었지만, 마침내 1881년 헬레닉 왕국에 편입되었다. 1897년 그레코-터키 전쟁 당시 이 지역은 오스만족의 침략에 성공했지만 결국 그리스는 사소한 영토 손실만 인정했다. 현 북쪽 지역인 템페 계곡과 올림푸스 산은 1912-1913년 제1차 발칸 전쟁 때 그리스에 의해 점령되었다.
경제는 1881년 합병 이후 증가했고, 이후 북부는 1913년 이후 증가했다. 1920~1922년 소아시아에서 벌어진 그레코-터키 전쟁 이후 피난민들이 현으로 이주하였다. 현 전역에 그들을 위해 몇 개의 마을이 만들어졌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이 지역은 당파 활동의 주요 현장이었다. 그러나 점령과 그에 따른 그리스 남북전쟁은 지역 기반시설의 대부분을 파괴했다. 1950년대부터 GR-1은 1957년에 개통되어 1960년대에 템페 계곡으로 확장되는 등 도로망이 대폭 확대되었다. 1984년 테살리 대학이 문을 열었다.
이코노미
1970년대 이후 그것의 주요 경제는 제조업, 기업, 통신, 서비스다. 농업은 제2의 선도산업이다.
농업
Thessalian 평야는 과일(워터멜론, 멜론), 채소(토마토, 감자, 오이, 양파 등), 목화, 낙농, 소, 기타 농작물을 포함한 농작물로 유명하다.
커뮤니케이션
텔레비전
- TRT
- 테살리
신문
- 아그로티코이 에크파시 - 라리사
- I Alitheia - 파르살라
- 엘레프테리아 - 라리사
- I 포니 - 파르살라
- 이미리시오스 키리카스 - 라리사
- 타네아 티스 파르살루 - 파르살라
운송
E75번 고속도로가 다수 있으며 아테네에서 테살로니키까지 가는 간선 철도가 테살리를 가로지른다. 이 지역은 라리사(26km)에서 조금 떨어진 네아 안치알로스(Nea Anchialos)에 위치한 중앙 그리스 국제공항을 통해 유럽의 나머지 지역과 직결된다.
- 그리스 국도 1/E75, SE, Cen, E - 부분적으로 분할된 초고속국도
- 그리스 국도 3, S, Cen, NW
- 그리스 중부 고속도로 - 미래
- 그리스 국도 6, W, Cen, SE
- 그리스 국도 13호선
- 그리스 국도 제26호선
- 그리스 국도 30호선
- 라리사카르디차 로드, S, SW
- NW, 그레베나엘라소나길
- 라리사멜리보이아 로드, S, E
스포츠
스포츠 클럽은 다음을 포함한다.
- 라리사 체육 연맹 1964
- 아테네와 테살로니키 팀 외에 그리스에서 유일하게 우승을 차지한 축구팀 아틀리티키 에노시 라리사 FC.
- 올림피아 라리사 BC
- 기원전 1964년 A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