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비니아 그린로
Lavinia Greenlaw라비니아 그린로 | |
---|---|
![]() 2019년 그린로 | |
태어난 | 영국 런던 | 1962년 7월 30일
교육 | Kingston Polytechnic; 런던 인쇄 대학; Courtauld Institute |
장르 | 시; 소설 |
주목할 만한 상 | Forward Prize, 1997; 2001년 로마 수상이자 프리메라리가 테드 휴즈상, 2011 |
웹사이트 | |
www |
라비니아 엘레인 그린로(Lavinia Elaine Greenlaw, 1962년 7월 30일 출생)[1]는 영국의 시인, 소설가, 논픽션 작가다. 그녀는 첫 소설로 로마 수상을 받았고, 그녀의 시는 T. S. 엘리엇상, 전진상, 휘트브레드 시상을 포함한 수상 후보에 올랐다. 그녀의 2014년 코스타 시상은 A Double Sorrow를 위한 것이었다. 트로일루스와 크리세이드의 버전.[2] 그린로우는 현재 런던 로얄 할로웨이 대학의 창조적 글쓰기 교수(시)를 맡고 있다.[3]
전기
라비니아 그린로우는 런던에서 의학 및 과학적인 가정에서 태어났으며,[4] 누나와 두 명의 형제가 있다.[5] 그녀가 11살이었을 때, 그 가족은 런던에서 에섹스 마을로 이사했고 그곳에서 7년 동안 살았다.[6][5] 그린로우는 이 시기를 "중간적인 시간"이라고 표현했으며, "그동안의 기억은 체포되고, 별다른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린로우는 킹스턴 폴리테크닉에서 현대 예술을 읽기 시작했다. 그 후 그녀는 런던 인쇄 대학에서 공부했고 Courtauld Institute로부터 미술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녀는 임페리얼 과학기술 대학(1985–1986)에서 편집자로, 출판사 앨리슨 & 버스비(1986–1987)에서,[7][8] 이후 어스캔(1988–90)에서 편집자로 고용되었다.[9] 그녀는 또한 사우스뱅크 센터(1990-1991)와 런던 예술 위원회(1991-1994)에서 예술 관리자로 일했다.
그린로우의 프리랜서 예술가, 비평가, 방송인으로서의 경력은 1994년에 시작되었다.[10] 그녀는 과학 박물관에서 첫 번째 예술가가 되었고,[11] 그 이후 왕립 축제 홀, 런던 사무 변호사 회사(1997–1998) [7][9]그리고 왕립 의학 협회에서 거주하고 있다.[12] 2013년에 그녀는 웰컴 트러스트로부터 약혼 펠로우쉽을 수상했다.[13] 그녀의 사운드 작품 오디오 옵스큐라는 2011년 아르탕겔과 맨체스터 인터내셔널 페스티벌에 의뢰되어 2011년 7월 맨체스터 피카딜리 역, 2011년 9월과 10월 런던 세인트 판크라스 역에서 들었다.[14] 그것은 2011년 테드 휴즈 상을 수상했는데 심사위원들은 이를 "근거"라고 불렀다.[15][16]
그린로우는 런던 대학의 골드스미스 대학에서 가르쳤다. 2007년부터 2013년까지 이스트 앵글리아 대학교에서 창작문학과 교수를 지냈고,[11] 킹스 칼리지 런던(2015~2016년)과 프리 우니베르시테트 베를린(2017년)에서 초빙교수로 재직했다. 그녀는 현재 런던 로얄 할로웨이 대학의 창조적 글쓰기 교수직을 맡고 있다.[14][3]
그린로우는 2010년 맨체스터 시상을 심사한 뒤 2014년 제1회 폴리오상 심사위원장을 맡았다.[17][18] 그녀는 왕립문학회의 평의회원이며 전 시학회 회장을 역임했다.[11]
Greenlaw는 그녀의 삶의 대부분을 런던에서 살았다.[10][14][19]
글쓰기
주로 시인인 그린로우는 소설, 단편 소설, 연극, 논픽션도 썼다. 그녀는 라디오 다큐멘터리를 만들었다. 그녀의 음악을 위한 작품은 리차드 아이레스(Staatsoper Stuttgart/Komische Operater 베를린/Welsh National Opera and Royal Opera House, 2015)[14][20][21]가 작곡한 오페라 피터팬의 리브레토를 포함한다. 그녀가 저술한 출판물로는 <런던 리뷰 오브 북스>, <가디언>, <뉴요커> 등이 있으며, 2019년에는 <뉴 디반>에 기고했다. 동서양의 서정적 대화(깅코 도서관)[22][23]
그녀의 연구는 과학과 과학 조사에 대한 그녀의 관심을 바탕으로 하며 변위, 손실, 소속의 주제를 다룬다.[24][25] 비평가들은 그녀의 시가 정확성이 뛰어나다고 보아왔다; 그녀의 최고의 시는 "재독할 때마다 감상"[26]하게 만드는 복잡성과 용맹성을 담고 있다.
그녀의 전기 노트는 "그녀는 버지니아 울프의 밤과 낮, 헤르만 헤세의 유리 구슬 게임, 그리고 말라리아에 관한 다섯 가지 이야기 시리즈를 포함한 여러 편의 드라마를 라디오에 쓰고 각색했다. 그녀는 에밀리 디킨슨과 엘리자베스 비숍에 관한 다큐멘터리와 북극 한여름과 한겨울 여행, 영국에서 가장 어두운 곳인 발트해 여행, 런던의 빛, 그리고 해결책과 분분점 등 빛에 관한 여러 프로그램을 만들었다."[14]
그린로우는 회고록 작가이기도 하다. 커커스는 자신의 2007년 성인 책인 "소녀에게 음악의 중요성"을 이렇게 요약했다: "그린로우의 산문의 팽팽하고 서정적인 스러머는 그녀의 시인의 솜씨를 반영한다....잘 쓰고, 홀리고, 미묘하게 눈부셔."[27] 일부 질문 없는 대답(2021), 일부 회고록, 일부 선언문은 옵저버의 헤프지바 앤더슨에 의해 "접근성, 엄격성, 그리고 참고문헌의 틀에서 잡식성"으로 묘사되었다.[28]
수상 및 인정
라비니아 그린로우는 1990년 에릭 그레고리상, 1995년 예술위원회 작가상, 콜몬들리상, 그리고 장학금 여행 작가 협회상을 받았다.[14] 1994년 그녀는 멜빈 브래그, 마가렛 버스비, 비키 페더, 마이클 롱리, 존 오스본, 제임스 우드로 구성된 배심원단에 의해 20명의 신세대 시인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29] 1997년 그린로우는 두 번째 주요 시집의 제목인 "뉴스가 천천히 여행하는 세계"로 최우수 싱글 시상을 수상했다.[30]
그녀의 2001년 첫 소설인 올노스노버의 메리 조지로, 그린로우는 French Free du Premier Roman을 수상했다.[31] 그녀는 휘트브레드 북 어워드(현 코스타 북 어워드), T. S. 엘리엇 시상 등 다수의 문학상 후보에 올랐다. 그녀의 사운드 작품 오디오 옵스큐라는 2011 테드 휴즈 상을 시로 수상했다.[15] 그녀의 단편 "우리는 끔찍한 일을 보고 있다"는 2013년 BBC 전국 단편 소설상 후보에 올랐다.[32]
선택한 작품
- 1991년, Turret Books, The Cost of Lost Lost in Space (시), Turret Books, 1991, ISBN978-0854690916
- Love from a Foreign City, Slow Dancer Press, 1992, ISBN 978-1-871033-18-2
- 야간 사진(시, Whitbread 및 Forward Poets Prize), 파버 & 파버, 1993, ISBN 978-0-571-16894-1
- 뉴스가 천천히 여행한 세계, 1997년, ISBN 978-0571326358
- 2001년 7월 9일 플라밍고, ISBN 978-0-618-09523-0
- 민스크(시, T. S. 엘리엇, 포워드와 휘트브레드 시상 최종 후보), 파버, 2003, ISBN 978-0-571-22271-1
- 밤바다에 대한 생각 (Garry Fabian Miller의 사진, 2003, ISBN 978-1858942223)
- 무책임한 시대(노벨), 2006년 제4계급, ISBN 978-0-00-715629-0
- 소녀들에게 음악의 중요성, 파버, 2007, ISBN 978-0-375-17454-4
- 캐주얼 퍼펙트(시), Faber, 2011, ISBN 978-0-571-27816-9
- 여행 관련 질문: 아이슬란드의 윌리엄 모리스(논픽션), 노팅힐 에디션, 2011, ISBN 978-190790318-2.
- 이중 슬픔: 트로일루스와 크리세이드(시), 파버, 2014, ISBN 978-0-571-28454-2
- 사랑의 도시 수면(노벨)에서 파버, 2018 ISBN 9780571337620
- 빌트 모멘트(시), 파버, 2019 ISBN 978-0-571-347100
- 질문 없는 일부 답변(메모/매니페스토), Faber, 2021, ISBN 9780571368655
번역
- David J. Constantine; H. Constantine, eds. (24 October 2006). After-Images:Modern Poetry in Translation. Translated by Lavinia Greenlaw; Tom Kuhn; Adrian Mitchell. MPT Books. ISBN 978-0-9545367-6-3.
- Noshi Gillani (15 September 2008). Poems. Translated by Lavinia Greenlaw. Enitharmon Press. ISBN 978-1-904634-75-1.
텔레비전
그린로우는 BBC 다큐멘터리 '톱 오브 더 팝스: 1976년[33] 이야기 (2011년)와[34] 싱글의 기쁨 (2012년)
참조
- ^ "Lavinia Greenlaw, Debret's.
- ^ "A Double Sorrow: Troilus와 Criseyde의 버전," 던디 대학의 예술 리뷰. 2015년 9월 23일 회수됨
- ^ a b 2017년 5월 31일 런던대학교 로열 할로웨이에서 "라비니아 그린로우가 창의적 글쓰기의 석좌를 임명했다."
- ^ "Poet Lavinia Greenlaw To Read at Library of Congress December 23, 1997". The Library of Congress. 23 December 1997. Retrieved 14 June 2007.
- ^ a b 마리안 브레이스 "라비니아 그린로: 2006년 1월 6일 '중간 청년의 증언' '인디펜던트.
- ^ 2003년 10월 13일, New Statesman의 "Poetry – Essex Girl" 아담 뉴이.
- ^ a b 국제 문학 분기별 전기
- ^ 모히트 K. Ray (ed.), The Atlantic Companion to Literation in English, New Delhi: Atlantic Publishers, 2007, 페이지 221–222.
- ^ a b Greenlaw, Lavinia (Elaine)," Encyclopedia.com.
- ^ a b "Lavinia Greenlaw Bi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February 2007. Retrieved 14 June 2007.
- ^ a b c "라비니아 그린로" 영국 문학 위원회
- ^ '지도 라비니아 그린로에서' 하우스 퓌르 푸에시
- ^ Wellcome Trust는 2013년 9월 3일 "Wellcome Trust에서 세 개의 새로운 계약 펠로우십을 수상한다."
- ^ a b c d e f "생물학" 라비니아 그린로 웹사이트.
- ^ a b Flood, Alison, "2012년 3월 30일, The Guardian" "Lavinia Greenlaw가 테드 휴즈상 2011을 수상했다."
- ^ Kaite O'Reilly: "Ted Hughes Award for New Work in Poet 2011: Lavinia Greenlaw", 2012년 3월 31일.
- ^ Mark Brown, "Lavinia Greenlaw to the Polio prize for Polio," The Guardian, 2013년 7월 16일.
- ^ 마크 브라운 "포리오상, 2014년 2월 10일 '가디언' 8권의 첫 최종 후보작 발표"
- ^ "Goldsmiths College > Department of English & Comparative Literature". Retrieved 14 June 2007.
- ^ "라비니아 그린로" 로얄 오페라 하우스.
- ^ "Peter Pan Richard Ayres", WNO. 2014/2015년 보관.
- ^ "A New Divan". Gingko. Retrieved 14 January 2022.
- ^ "#Riveting Reviews: Rüdiger Görner reviews A NEW DIVAN: A LYRICAL DIALOGUE BETWEEN EAST AND WEST edited by Bill Swainson and Barbara Schwepcke, with forewords by Daniel Barenboim and Mariam C. Said". 5 January 2020. Retrieved 14 January 2022.
- ^ "Lavinia Greenlaw – Poetry Archive". Retrieved 14 June 2007.
- ^ Allardice, Lisa (19 March 2001). "A girl in my head". New Statesman. Retrieved 14 June 2007.
- ^ "책" 라비니아 그린로 웹사이트.
- ^ "The Importance of Music to Girls". Kirkus Reviews. 1 March 2008. Retrieved 14 January 2022.
- ^ Anderson, Hephzibah (1 August 2021). "In brief: Annie Stanley, All at Sea; Some Answers Without Questions; Unexplained Deaths". The Observer.
- ^ 라파엘 코스탐베이스켐피친시, "세상은 둥글다: 신비화와 라비니아 그린로우의 시" 6.1, 2008.
- ^ "Forward University", Forward Arts Foundation.
- ^ "Guardian Unlimited: Arts blog – film: Lavinia Greenlaw Profile". Guardian Unlimited. Retrieved 14 June 2007.
- ^ 2013년 9월 27일 BBC 라디오 4의 "앞줄의 라비니아 그린로 인터뷰"
- ^ 팝의 상단: The Story of 1976, BBC Four, 2011년 4월 1일.
- ^ The Joy of the Single, BBC Four, 2012년 11월 26일.
외부 링크
- Lavinia Greenlaw 웹사이트.
- 트위터에서 라비니아 그린로
- 라비니아 그린로 FSG
- 시 기록 보관소의 라비니아 그린로 2011년 10월 26일 회수
- 샬롯 런시, 2014년 2월 23일, "Something borned, something something, something something something blue"(
- 런던 대학교 로얄 할로웨이 "라비니아 그린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