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스터 모레

Lester Moré
레스터 모레
개인정보
풀네임레스터 오리엘 모레 헤닝햄
출생의 날짜. (1978-07-15) 1978년 7월 15일 (43)
출생지쿠바의 시고 데 아빌라
높이1.80m(5ft 11인치)
포지션 앞으로
시니어 커리어*
몇 해 Apps (Gls)
1996–2007 치에고 데 아빌라 47(123)
2008 찰스턴 배터리 11(0)
2009 리버 플레이트 폰스 13(8)
2010 LA 아줄 레전드 1(0)
국가대표팀
1995–2007 쿠바 62(30)
* 2010년 6월 12일 현재 시니어 클럽의 등장과 골은 국내 리그에만 반영되고 정정됨
∘2008년 2월 22일 현재 국가 대표팀 상한선 및 골 수정

레스터 오리엘 모레 헤닝햄(Lister Oriel Moré Henningham, 1978년 7월 15일 출생)은 쿠바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 USL 프리미어 개발 리그로스앤젤레스 아줄 레전드에서 마지막으로 뛰었다.

그는 30골을 넣은 쿠바 국가 대표팀 사상 최다 골 기록이다.

경력

클럽

모레는 2008년 미국으로 망명하기 전 고향인 쿠바의 시고아빌라에서 10년 넘게 뛰었다.그는 2001년과 2003년에 Ciego de Avila와 함께 Campeonato Nacional de Futbol de Cuba에서 우승했다.그는 2002/03 시즌[1] 32골, 총 123골의 쿠바 리그 기록을 세웠다.[2]

2008년 찰스턴배터리와 함께 11경기에 등판한 뒤 시즌 막판 출격했다.2009년 클럽 아틀레티코 리버 플레이트 푸에르토리코에서 뛰다가 2010년 USL 프리미어 개발 리그아마추어 LA 아줄 레전드에서 뛰기 위해 전 쿠바 국가대표팀 동료 에더 롤단과 함께 미국으로 돌아갔다.[3]

국제

모레는 1995년 쿠바에서 데뷔해 1998년,[4][5] 2003년[6], 2005년, 2007년 골드컵 결승에서 선수단을 지냈다.[7]

그는 또한 1996년과 2004년 사이에 17번의 FIFA 월드컵 예선전에 출전했다.[8]총 62개의 모자를 모아 29골을 넣으며 국가대표 득점왕에 올랐다.[9]

국제적 목표

점수와 결과는 쿠바의 골 집계를 먼저 나열하고, 점수란에는 쿠바의 골 뒤 점수를 나타낸다.
레스터 모레가 넣은 국제 골 목록
아니요. 날짜 장소 상대 점수 결과 경쟁 Ref.
1 1996년 5월 14일 케이맨 제도 조지타운 트루먼 보드든 스포츠 콤플렉스 케이먼 제도 5–0 5–0 199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2 1996년 6월 23일 스페인 항구 트리니다드 토바고 하셀리 크로포드 경기장 아이티 6–0 6–1
3 1996년 12월 15일 파나마 파나마시티 에스타디오 롬멜 페르난데스 파나마 1–3 1–3
4 2000년 5월 7일 쿠바 아바나 페드로 마레로 바베이도스 1–1 1–1 200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5 2000년 5월 21일 바베이도스 국립 경기장, 브리짓타운, 바베이도스 1–1 1–1
6 2002년 11월 27일 케이맨 제도 조지타운 트루먼 보드든 스포츠 콤플렉스 케이먼 제도 2–0 5–0 2003년 CONCACAF 골드컵 예선
7 3–0
8 2002년 11월 29일 마르티니크 1–0 2–1
9 2003년 3월 26일 마빈스타디움, 마코야, 트리니다드 토바고 앤티가 바부다 1–0 2–0
10 2–0
11 2003년 3월 30일 매니 램존 스타디움, 마라벨라, 트리니다드 토바고 트리니다드 토바고 2–1 3–1
12 2003년 7월 14일 미국 폭스보로질레트 스타디움 캐나다 1–0 2–0 2003년 CONCACAF 골드컵
13 2–0
14 2004년 2월 22일 케이맨 제도 조지타운 트루먼 보드든 스포츠 콤플렉스 케이먼 제도 1–0 2–1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15 2004년 3월 16일 쿠바 아바나 페드로 마레로 파나마 1–1 1–1 다정하다
16 2004년 3월 18일 3–0 3–0
17 2004년 3월 27일 케이먼 제도 1–0 3–0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18 2–0
19 3–0
20 2004년 6월 12일 코스타리카 1–1 2–2
21 2–2
22 2004년 12월 21일 스타드 피에르 알리커, 포트 드 프랑스, 마르티니크 마르티니크 2–0 2–0 2005년 캐리비안컵
23 2005년 2월 20일 바베이도스 국립 경기장, 브리짓타운, 바베이도스 바베이도스 1–0 3–0
24 2–0
25 2005년 2월 22일 트리니다드 토바고 1–1 2–1
26 2–1
27 2005년 7월 7일 미국 시애틀 큐웨스트 필드 미국 1–0 1–4 2005년 CONCACAF 골드컵
28 2006년 11월 8일 스타드 피에르 알리커, 포트 드 프랑스, 마르티니크 아이티 2–0 2–1 2007년 캐리비안컵
29 2007년 1월 16일 매니 램존 스타디움, 마라벨라, 트리니다드 토바고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1–0 3–0
30 2–0

미국으로 망명

그의 대표팀 최종 출전은 2007년 6월 멕시코와의 CONCACAF 골드컵이었다.대회 기간 중 모레와 오스발도 알론소는 쿠바 팀 캠프를 탈출해 사실상 쿠바에서 망명했다.[10]

참조

  1. ^ 신테시스 바이오그라피카 - EuroRed(스페인어)
  2. ^ 예니에 마르케스 올파토 골레도어 - 후벤투드 레벨데(스페인어)
  3.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2-29. Retrieved 2010-06-21.{{cite web}}: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4. ^ CONCACAF 챔피언십, 골드컵 1998 - 전체 세부 정보 - RSSSF
  5. ^ CONCACAF 챔피언십, 골드컵 2003 - 2008년 10월 24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전체 세부 정보 - RSSSF
  6. ^ CONCACAF 챔피언십, 골드컵 2005 - 웨이백 머신에 2008-10-24 보관된 전체 세부 정보 - RSSSF
  7. ^ CONCACAF 챔피언십, 골드컵 2007 - 웨이백 머신에 2008년 12월 3일 보관전체 세부 정보 - RSSSF
  8. ^ 레스터 모레FIFA 경기 기록(보관)
  9. ^ 쿠바 - 국제 선수 기록 - RSSSF
  10. ^ 쿠바 탈주자 2명 시바스 트라이아웃-워싱턴 포스트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