림보 (부티크)
Limbo (boutique)
림보는 1965년 마틴(마티) 프리드먼이 뉴욕 맨해튼의 이스트 빌리지 부근에 있는 세컨드 어벤져스 24번지에서[1] 연 부티크였다. 이 상점은 1967년 같은 블록의 4번 세인트마크 플레이스로 이전했고,[1] 1975년 문을 닫았다(주소에서 41년 동안 펑크패션에 급조한 또 다른 역문화 의류매장인 쓰레기와 보드빌에 양보).
1968년 5월호 아이 매거진에서 노먼 스타인버그는 림보를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tuned-in' 세대의 이스트 빌리지 천장공'" 그는 계속해서 다음과 같이 썼다. "임보는 단순한 옷가게 그 이상이다. 남녀노소, 인종, 크레이즈, 색깔, 정치적 설득력이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어필하는 것은 사회적, 지적, 오락적 경험이라고 말했다. 2016년 회고록 '아메리칸 드림러: My Life in Fashion & Business'에서 토미 힐피거는 "림보는 세계 최고의 옷가게였다. [나] 피플스 플레이스를 그대로 느끼게 하고 싶었을 뿐이지, 더 시원할 뿐이다." 아다 칼훈(Ada Calhoun)은 뉴욕 매거진 'The 50th Cut'에 실린 '미국 빈티지의 탄생지 – 어떻게 이스트 빌리지 샵 임보가 중고 옷을 시원하게 만들었는가'라는 기사에서 "1960년대 후반에 이스트 빌리지 장면을 만든 거의 모든 사람들이 임보 스토리를 가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역사
패션계에 기여한 중요한 공헌 가운데 림보는 중고, 사전 세탁, 괴로움, 장식된 청바지를 최초로 판매한 부티크로 인정받고 있다.[2][3]
주인 마티 프리드먼은 리바이스 청바지를 동네 히피 고객들에게 팔았다. 중고 리바이스의 물량이 바닥나자 그는 새 청바지를 세탁하지 않고 가져갔으며, 이 청바지도 자신이 가지고 있던 브랜드로 세탁소에 보냈다. 한 소매업자가 새 청바지를 세탁해 낡고 낡은 효과를 얻은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이 아이디어가 히트를 쳤다. 게다가 프리드먼은 이스트 빌리지의 예술가들을 이용하여 이 청바지를 패치, 스티커, 기타 터치로 장식하여 200달러에 팔았다. 프리드먼은 1975년에 그 가게를 휴지통 & 보드빌에 팔았다.[3]
빈티지 정장, 드레스와 군복에서 고성소의 절충적인 상품 –에 original 의상 –은 free-wheeling은 옷의 표현, 바위 및으로부터 통보 받더군1960s—a 스타일과 관련된 소개하는 인도의 솜, 그리고 실크의 만들어졌습니다;롤 음악 그리고 급진적인 정치, 동양의 영적인 것과 해방된 설계된 sexua연한[4]
림보는 대중문화가 지배적인 문화로 자리 잡았던 것처럼 의복을 높고 낮은 문화 둘 다에 대한 가정을 비판하는 매체로 바꾸는데 일조했다. 그 가게는 또한 남녀 공용 의류의 개념을 정상화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다.[5] 뉴욕 신문의 패션과 스타일 섹션은 물론, 코스모폴리탄, 글래머, 라이프, 보그, 제트, 루오모 보그 등 전국지에도 정기적으로 실렸다.[6] 이 과정에서 인근 필모어 이스트에서 연주하는 뮤지션뿐만 아니라 뉴욕시 '반문화'의 '허버다셔'가 되었고, 이 매장은 필모어의 비공식 티켓 대행사 역할도 했다.[7] 이 상점은 재니스 조플린,[8] 지미 헨드릭스, 짐 모리슨부터 뉴욕 돌스와 벨벳 언더그라운드까지 록 스타와 아티스트들을 입혔다. 존 레논과 오노[9] 요코도 가게에 자주 들렀다. 앤디 워홀과 그의 "슈퍼스타"인 베이비 제인 홀저,[10] 니코, 비바, 그리고 에디 세드윅도 그랬다.
1966년 시카고 트리뷴(Chicago Trivune)에서 패션의 사진작가 겸 고참가자인 빌 커닝햄은 "파리의 최고 디자이너들조차 뉴욕에 도착하자마자 림보로 달려간다"고 보고했다.휴버트 드 기븐치,[11] 할스턴, 쿠르레주스, 그리고 다른 쿠튀르족들이 가게를 드나들었다. 랄프 로렌은 특히 "빈티지"와 특이한 의상으로 진열대를 채굴했고, 처음에 고객이었던 토미 힐피거는 후에 뉴욕 엘미라에서 차를 몰고 내려와 림보의 미리 세탁한 청바지와 함께 그의 차의 트렁크와 뒷좌석을 싣고 그의 상점에서 되팔았다.[12][13]
임보는 이스트 빌리지에서 방문하기 위한 목적지로서 다른 맨해튼 이웃과 도시 교외에서 유행에 민감한 사람들뿐만 아니라 다른 주와 해외에서 온 사람들을 끌어 모았다. 상점의 금속제 발걸음과 착륙은 한동안 그 광경을 관찰하고 볼 수 있는 장소였다.[14]
대중문화에서
수상 및 수상
1972년 9월 아트 디렉터스 클럽은 임보에게 광고, 편집, 텔레비전 아트 앤 디자인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하여 특별한 "공로 인증서"를 수여하였다.[15]
참조
메모들
- ^ a b Naureckas, Jim. "8th Street/St. Marks Place: New York Songlines". www.NYSonglines.com. Retrieved August 4, 2017.
- ^ 벨루오모 마이클 스포츠웨어 인터내셔널 매거진 USA 에디션 (vol 7, no 44, 1987년 10월/11월), 45페이지
- ^ a b 스포츠웨어 국제 청바지 백과사전
- ^ "리빙 앤 쇼핑: "이스트 빌리지 부티크"에서. 뉴욕타임스 (1965년 12월 8일)
- ^ "언더그라운드/패션" 큐 잡지 (1966년 7월 30일)
- ^ 1972년 2월/3월 루오모 보그
- ^ "틴 토크". 뉴욕포스트 (1966년 8월 18일)
- ^ "임보에서." 뉴욕포스트 (1968년 3월 30일)
- ^ "존 레논, 어디에 있니?" 에스콰이어 (1980년 11월)
- ^ 보그 (1976년 6월)
- ^ 보그 (1966년 2월 15일 ~ )
- ^ 영국 보그(2006년 9월)
- ^ 힐피거, 토미. "나의 뉴욕" 뉴욕포스트(2011년 4월 30일)
- ^ 오르테가, 토미. "1971년인데, 이미 1960년대를 그리워하는 목소리" 마을 보이스 웹로그(2010년 12월 28일)
- ^ 림보의 광고 제작자인 Ira Kennedy도 http://www.texfiles.com/irakennedy/aboutme.htm을 참조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