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모게스 FC
Limoges FC![]() | ||
풀네임 | 리모게스 축구단 | |
---|---|---|
설립됨 | 1947년 5월 31일 | 전(|
용해됨 | 2020년 1월 | |
그라운드 | 스타드 생라자레 리모게스 | |
역량 | 3,000 | |
회장 | 베누아트 라가지니 | |
관리자 | 드라간 크벳코비치 | |
리그 | 지역 1 누벨 아키텐 | |
2018–19 | 국가3그룹A, 8위(행정적 공개) | |
|
1947년 창단된 리모게스 축구단은 프랑스 리모게스에 본부를 둔 프랑스 협회 축구팀으로 프랑스 축구 리그 시스템의 6부 리그에서 마지막으로 활동한 팀이다.그들은 3,000명의 팬들을 수용할 수 있는 Stade Saint-Lazare에서 경기를 했다.
창단 당시 리모게스 풋 87, 1987년부터 2003년까지 리모게스 풋 87, 2003년 리모게스 풋 87, 2003년부터 2020년 해체 때까지 리모게스 풋 클럽으로 복귀하는 등 두 차례 이름을 바꿨다.2020년 1월 27일 현재 2020~21시즌부터 리모게스 풋볼로 구단 개혁을 하자는 제안이 존재한다.
이 클럽은 1958년부터 1961년까지 디비전 1에서 뛰었다.
역사
리모게스 축구 클럽은 1947년 레드 스타 애슬레티크 드 리모게스(Red Star Athlétique de Limoges)와 스타 리무진 유니버설 클럽(Star Rimumin Université Club, 1906년 설립)이라는 두 라이벌 클럽의 합병을 통해 결성되었다.[1]1957년, 아마추어 축구 최고 수준에서 처음 10년의 대부분을 경기한 후, 그들은 프로의 지위를 얻었고, 프랑스 2부 리그의 확장된 일부가 되었다.그들은 3위를 차지했고, 이로 인해 그들은 최고 부서로 승진했다.[1]
이 클럽은 프랑스 1부 리그에서 3시즌 동안 머물렀으며 최고 성적은 1959-60년에 10위였다.1961년 강등부터 1987년까지 구단은 2부 리그나 3부 리그에서 경쟁했다.그들은 1964년과 1965년 두 번 모두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기 위해 디비전 1로 승격할 뻔했다.이 기간 동안 두 차례나 쿠페 드 프랑스 8강에 올랐으며, 1962-63년 스타드 드 랭스와 1969-70년 스타드 레나이스에게 두 다리로 연장전 끝에 졌다.1972-73시즌 말에 그들은 3부 리그로 강등되었고 1977년에 2부 리그로 돌아왔다.[1]
1987년 6월, 디비전 2에서 7위를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클럽의 리더들은 500만 프랑 이상의 빚을 지고 파산을 선언했다.[2]리모게스 풋 87이라는 타이틀로 재탄생한 이 클럽은 행정적으로 프랑스 4부 리그로 강등되었다.[1]
1987년부터 2003년까지, 이 클럽은 프랑스 축구 4단계와 5단계에서 경기를 했다.2002-03시즌이 끝나갈 무렵, 클럽은 다시 파산하게 되었고, 행정적으로 프랑스 축구 리그 시스템의 6레벨로 강등되었고, 리모게스 풋 87은 해체되었고, 다시 태어난 클럽은 리모게스 풋 클럽의 옛 타이틀을 되찾았다.[1]
그 클럽은 즉시 Championnat de France 아마추어 2로 승격하여 2003-04년 디비전시회 D'Honneur Centre-Ouest(센트레-West) 그룹의 챔피언으로 승격되었다.2014년 챔피온나트 드 프랑스 아마추어 2에서 4급으로 승격하는 데 성공하기까지 5단계와 6단계에서 시간을 보냈으나 2014-15년 다시 강등됐다.[1]
2017년에는 새로운 4급 챔피온나트 내셔널 2로 승격했지만, 2017-18년에는 조 12위를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즌 중 행정부에 투입된 후 행정적으로 다시 5급으로 밀려났다.[3]2018-19시즌이 끝날 무렵, 그들은 대회의 재정 규칙을 지키지 않아 행정적으로 다시 지역 리그로 밀려났다.[4]
2020년 1월, 그 클럽은 강제 청산에 들어갔고, 고위 남성 팀들은 몰수 선고를 내렸다.[5]클럽의 스포츠 권리는 2020년 1월 24일 FFF에 의해 새로운 단체인 리모게스 풋볼에 배정되어 클럽에서 주니어 축구와 여자 축구가 계속되게 되었다.남자 시니어팀의 미래는 2019~20시즌 말에 결정된다.[6]
주목할 만한 선수들
프랑스 국제 선수:
마다가스카르 국제 선수:
경영이력
- 1951-55: 카밀 코틴
- 1957-62: 피에르 플라미온
- 1962-66: 모리스 블론델
- 1966-68: 로저 머스먼
- 1968-69: 모리스 블론델
- 1969-70: 모리스 캐일턴
- 1970–72:이본 구종
- 1972-74: 모리스 케일턴
- 1974년 – 1월 75일: 앙리 코왈
- 1975년 1월 – Juin 75: 슬로보단 스토호비치
- 1975-78: 앙리 코왈
- 1978-81: 앙리 스키바
- 1981-84: 로버트 드윌더
- 1984-85: 프랜시스 스미레키
- 1985-86: 이브 토도로프
- 1986-87: 로버트 드윌더
- 1987-88: 피에르 소리아
- 1988-89: 제라드 폰테네이와 자크 무예론
- 1989-90: 바스티안 라살레
- 1990 – 1997년 1월: 에디 후단스키
- 1997년 1월 – 2000년: 콜버트 말로트
- 2000–1: 장 이브 케르장
- 2001-2: 재키 레메
- 크리스토프 마틀 2002-3
- 2003-6: 스테판 루시
- 2006-7: 장자크 아이델리
- 2007-9: 피에르 소리아
- 2009-11: 크리스토프 라수드리
- 2011-14: 빈센트 가우드론
- 2014-15: 빈센트 가우드론과 니콜라스 르 벨렉
- 2015-16: 니콜라스 르 벨렉과 프란시스 라우트레테
- 2016-현재: 드라간 크벳코비치
참조
- ^ a b c d e f "Limoges Football Club" (in French). pari-et-gagne.com. Retrieved 27 January 2020.
- ^ "L'équipe du dimanche après-midi. LIMOGES FOOTBALL CLUB 1986-87" (in French). thevintagefootballclub.blogspot.com. Retrieved 27 January 2020.
- ^ "Le FC Limoges Sera Rétrogradé, au Minimum, d'Une Division" (in French). actufoot.fr. 8 May 2018. Retrieved 21 May 2018.
- ^ "DNCG : Trois clubs privés de National 3 en appel" (in French). foot-national.com. 17 July 2019.
- ^ "Le Limoges FC est mort, vive le Limoges Football !" (in French). footamateur.fr. 9 January 2020.
- ^ "La Fédération française de football donne son feu vert au Limoges Football" (in French). Le Populaire du Centre. 24 January 2020.
- ^ "Historiqu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December 2017. Retrieved 15 August 2016.
외부 링크
- 공식 웹사이트 (프랑스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