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사 아피냐네시

Lisa Appignanesi
리사 아피냐네시

태어난엘레비에타 보렌스테인
(1946-01-04) 1946년 1월 4일 (76세)
폴란드의 우드
직업작가
언어영어
국적영국인/캐나다인
모교맥길 대학교
서섹스 대학교
주목할 만한 작품로딩 더 데드
Mad, Bad, Sad
배우자
아이들.

리사 아피냐네시 OBE FRSL[1] (Elżbieta Borensztejn; 1946년 1월 4일 출생)은 영국계[citation needed] 캐나다인 작가, 소설가, 자유표현운동가. 2021년까지 왕립문학회 회장을 지냈으며, 영국 PEN 회장, 프로이트 박물관 런던 회장을 역임했다. 그녀는 올가 토카르츠크가 수상한 2017 부커 인터내셔널 상을 수상했다.

그녀는 세인트 베네트 홀 명예교수, 옥스포드, 킹스 칼리지 런던 영어학과 초빙 교수로, 브레인 앤드 마인드 시리즈로 웰컴 트러스트 피플상을 수상했다. 그녀의 책 Mad, Bad, and Sad: A History of Woman and the Mind Doctors, A History of the Woman and Mind Doctors, 2009년 영국의학협회상 과학에 대한 대중적 이해도 부문에서 수상하였다.[2] 그녀는 BBC에 프로그램을 만들고 출연하는 것뿐만 아니라 <뉴욕 리뷰 오브 북스>, <가디언>, <옵저버>에 기고했다.

전기

개인 생활과 교육

아피냐네시는 1946년 1월 4일 폴란드의 우우두에서 헤나와 아론 보렌스테인의 딸 엘레비에타 보렌스테인(Elżbieta Borenstejn)으로 태어났다.[3] 그녀의 출생에 이어 그녀의 부모는 프랑스 파리로 이주했고 1951년 그녀가 자란 캐나다 퀘벡 몬트리올로 이민을 갔다.[4]

그녀는 몬트리올에 있는 맥길 대학에서 공부했는데, 그곳에서 그녀는 맥길 데일리지의 특집 편집자였다.[5] 1966년에 그녀는 학사 학위를 받았고 1967년에 (에드가 앨런 포에 관한 논문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작가 리처드 아피냐네시와 결혼했다. 결혼 후 그 부부는 영국으로 건너갔고, 그녀는 1970년에 서섹스 대학에서 비교 문학에서 DPhil 학위를 취득했다.[5] 이 기간 동안 그녀는 파리와 비엔나에서 시간을 보냈고, 프루스트, 무실, 헨리 제임스라는 책이 된 논문을 썼다: 여성성과 창조적 상상력:[5] 1974년에 출판되었다. 이 커플은 영화감독인 조쉬 아피냐네시를 낳았고 1981년에 이혼했고 1984년에 이혼했다.[3]

그녀의 후기 파트너였던 당시 남편은 프로이트의 '여성'을 함께 쓴 케임브리지의 역사철학 교수인 존 포레스터였다. 이 부부의 딸 카트리나 포레스터하버드대 행정사회학과 조교수다.[6] 리사 아피냐네시는 런던에 산다.

학술사업

아피냐네시는 맨해튼의 한 사회조사기관에서 작가로 1년 근무한 후 영국으로 돌아와 에섹스 대학에서 유럽학 강사로 일했다.[5] 그 후 그녀는 뉴잉글랜드 칼리지에서 강의를 했고 1976년에는 작가 및 독자 출판협동조합의 창립자 중 한 명으로 리처드 아피냐네시, 존 버거, 아놀드 웨스커 등이 참여했으며 마르크스와 프로이트에 관한 제목이 있는 그래픽 초보자 시리즈를 시작했다. 1975년에 그녀는 카바레의 역사인 The Cabaret을 출판했는데,[4]의 신판은 2005년에 나왔다.

ICA

1980년 그녀는 학계를 떠나 런던에 있는 현대미술연구소(ICA)의 토크 및 세미나 소장이 되었고, 그곳에서 10년간 머물며 ICA 회담 프로그램이 "지적 욕조"로 명성을 얻는 데 일조했다.[4] ICA에서 그녀는 포스트모더니즘프랑스의 아이디어 책들을 포함한 Documents 시리즈를 편집했다.[4] 1986년 ICA 부국장이 되어 ICA-텔레비전 지부를 창설하여 1988년 영국의 헨리 무어채널 4유혹을 배출하였다.[7] 그녀는 전일제 집필을 위해 1990년에 ICA를 떠났다.

글쓰기

1991년에 그녀는 베스트셀러 소설인 기억과 욕망을 출판했다. 프로이트의 생애, 사상, 그리고 여성과의 관계에 대한 주요 연구인 프로이트의 여성들(존 포레스터와 공동 집필)은 1992년에 출판되었다.[5] 이것들뿐만 아니라 그녀는 스릴러를 포함한 몇 개의 다른 소설 작품들을 썼다. 그녀는 또한 2008년에 상을 받은 Mad, Bad, Sad: Women and the Mind DoctorsAll About Love(2011)를 썼다.[8][9][10]

Appignanesi 살만 루시디에 프랑스 television,[11]지그문트 프로이트에 BBC라디오 4,[12]라디오 프로그램의 토요일 리뷰, 시작 이번 주와 여자의 아워 등 2개의 계열 BBC3에 대한 예술과 아이디어 Nightwaves 프로그램을 제시하자 프로그램의 다양한 정확한 원인들에 대하고, 뉴를 위해 쓰여진 두편의 영화 co-written다. 쓰는 것 파트너십.[13] 아피냐네시는 BBC의 뉴스나이트레이트 리뷰를 포함한 많은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문화 해설자로 출연했다. 그녀는 Slaboj ZizekSodies의 "폭력"을 포함한 "Profile Books"에서 수지 오바흐의 "The Big Idemes" 시리즈의 총 편집자였다. 그녀는 오픈 대학교의 뇌 행동 연구소 연구원으로 일했고,[5] ICA(2000–06)의 의회 의원이었으며, 2008년부터 2014년까지 런던 프로이트 박물관의 의장을 역임했다.[14] 그녀는 가디언,[14] 옵저버, 인디펜던트, 데일리 텔레그래프뉴욕 서평에도 기고했다.[5][11] 그녀는 영국 언론사의 독립 모니터인 Impress Project의 전 회원이다.

2004년에 그녀는 잉글리시 펜의 부총재 그리고 그 다음 대통령 (2008–11)이 되었다. 그녀는 영어 PEN과 함께 한 작업의 일환으로 2006년 인종차별종교 혐오법에 대한 영국 펜의 항의의 일부를 구성하고 표현의 자유를 보호하는 강력한 조항을 삽입하여 영국 정부의 법안 수정을 유도하는 데 도움을 준 글 모음인 "Free Expression is No Fairm"을 편집했다.[14] 그녀의 대통령직 하에서, 잉글리쉬 펜은 명예훼손 개혁에 관한 보고서를 발표했는데, "자유언론은 팔리지 않는다"는 것은 영국이 쓸모없는 신성모독과 범죄 명예훼손 법률을 없애는 데 도움이 되었고, PEN PINTER Prize를 설립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아피냐네시는 또한 영국의 상위 101명의 여성 공공 지식인 중 한 명으로 뽑혔다.[15]

아피냐네시는 찰스 테일러상,[16] 유대인 계간지붕 문학상 후보에 올랐으며, 그녀의 소설 '메모리맨'영연방 작가상 최종 후보에 올랐고 캐나다 홀로코스트 픽션상을 수상했다.[16] '죽음을 잃다'는 그녀의 부모가 어떻게 아리아인으로 세상을 떠나 점령당한 폴란드를 살아남았는지를 묘사하고 있다.[17] 매드, 배드, 사드워릭상 후보에 올랐고 사무엘 존슨상 후보에 오랫동안 이름을 올렸으며 여러 상을 받았다.[18] 존 버거와 함께 그녀는 넬라 비엘스키의 작품을 번역했다. 그 해스콧 몬크리프 문학 번역상42번이나 수상했다.

1987년 그녀는 오르드레 아츠와 레트르의 체발리에가 되었다.[16]

아피냐네시는 2013년 새해 문학예우에서 대영제국 최고훈장(OBE)의 장교로 임명되었다.[19][20] 2015년[21] 왕립문학회 펠로우(People of the Royal Society)가 됐고, 2016년 왕립문학회 이사장이 됐다.[22]

선택한 작품

책들

리사 아피냐네시로서
  • 신뢰의 언어 (1973)
  • 프루스트, 무실, 헨리 제임스: 여성성과 창조적 상상력 (1974년)
  • 카바레(1975)
  • 프랑스의 아이디어 (1986) (편집자)
  • 포스트모더니즘(1988) (편집자)
  • Rushdie 파일 (1989) (Sara Maitland 편집)
  • 기억과 욕망(1991)
  • 프로이트의 여성(1992) (공동저자: 존 포레스터) (신판 2005)
  • 순수의 꿈 (1994년)
  • 좋은 여자 (1996년
  • 우리가 사랑을 위해 하는 일들 (1997년)
  • 죽은 자들의 죽음: 가족 회고록 (1999년)
  • 겨울의 죽음 (1999년)
  • 성역(2000)
  • 파리 레퀴엠(2001) (신판 2014)
  • 카바레(2004)
  • 발차기 오십(2004)
  • 메모리맨(2004)
  • 자유 표현은 위법 없음(2005)
  • Unholy Loves(2005); Sacred Ends로 영국에서 출판(2014)
  • 시몬보부아르 (2005)
  • Mad, Bad and Sad: Women and the Mind Doctors(2008)
  • 사랑에 관한 모든 것: 제멋대로인 감정의 해부(2011년)
  • 페미니즘의 50가지 그림자 (레이첼 홈즈, 수지 오바치와 함께 편집) (2013)
  • 열정의 재판: 사랑과 광기의 이름으로 한 범죄(2014년)
  • 일상의 광기 (2018)
제시카 에어로
  • 신뢰할 수 없음(1982)
  • 1남녀(1982)
  • 다루기 어려운 (1983)
  • New Discovery(1984)

서평

연도 검토기사 검토된 작업
2018 *Appignanesi, Lisa (22 February 2018). "Painting on the precipice". The New York Review of Books. 65 (3): 48–50.
  • Salomon, Charlotte. Life? Or theatre?. Overlook Duckworth.
  • Salomon, Charlotte. Life? Or theatre? A selection of 450 gouaches. Essays by Judith C. E. Belinfante and Evelyn Benesch. Taschen.

참조

  1. ^ "APPIGNANESI, Dr Lisa". Who's Who 2017. A & C Black. 2017. Retrieved 27 September 2017.
  2. ^ "The Brain and the Mind. Neuroscientists Meet Artists, Philosophers & Analysts". Retrieved 29 December 2012.
  3. ^ a b Elizabeth Lumley (2008), The Canadian Who's Who, University of Toronto Press.
  4. ^ a b c d 범죄 시간 잡지의 리사 아피냐네시의 프로필. 2009년 2월 28일 검색 2008년 5월 9일 웨이백 머신보관
  5. ^ a b c d e f g "Lisa Appignanesi – Abou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February 2009. Retrieved 28 February 2009.
  6. ^ "Katrina Forrester, Jamie Martin". The New York Times. 11 August 2019. Retrieved 20 May 2020.
  7. ^ "England's Henry Moore". BFI Film and TV Databa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January 2009. Retrieved 28 February 2009.
  8. ^ Groskop, Viv (3 February 2008). "Review: Mad, Bad and Sad by Lisa Appignanesi". The Observer. London. Retrieved 28 February 2009.
  9. ^ "An interview with Lisa Appignanesi". Bookslut.com. Retrieved 28 February 2009.
  10. ^ "Lisa Appignanesi's 'Mad, Bad and Sad'".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Retrieved 28 February 2009.
  11. ^ a b "Mad, Bad and Sad: A History of Women and the Mind Doctors from 1800". University of Warwic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February 2009. Retrieved 28 February 2009.
  12. ^ "BBC Radio 4 – Freudian Slips". BBC Radio 4. Retrieved 28 February 2009.
  13. ^ "New Writing Partnership: New Writing Season". New Writin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October 2007. Retrieved 28 February 2009.
  14. ^ a b c "Lisa Appignanesi – guardian.co.uk". The Guardian. London. 29 April 2008. Retrieved 28 February 2009.
  15. ^ "Here's a few you missed". The Guardian. London. 7 July 2004.
  16. ^ a b c "Welcome to Waterstones.com – Lisa Appignanesi". Waterstones. Retrieved 28 February 2009.
  17. ^ Angier, Carole (6 March 1999). "Beasts and the blonde Blondes: Losing the Dead by Lisa Appignanesi". The Independent. Retrieved 20 May 2020.
  18. ^ "BBC iPlayer - Error". BBC iPlayer.
  19. ^ "No. 60367".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29 December 2012. p. 9.
  20. ^ 국무조정실 "2013년 새해 우등상 목록"
  21. ^ "Royal Society of Literature » Current RSL Fellows". rsliterature.org.
  22.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June 2016. Retrieved 5 May 2016.{{cite web}}: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외부 링크